
김영수의 사기와 21세기
제1강 - 세상과 인간을 통찰한 3천년 통사
1. 사기와 노장사상의 비교
1) 노장사상 – 현실에 대해 비판적 독설을 가하고, 권력을 비웃고 조롱하는 글들로 채워져 있다.
현대인들에게 유토피아나 청량제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현실로 돌아오면 허망한 느낌이 있다.
2) 사마천 사기 – 철저하게 현실적, 인간에 관한 이야기로 온갖 부류의 사람들이 다 등장한다.
노장사상은 럭셔리한 사람들이 모여 여유로운 사람들이 항해하는 유람선과 같다.
사기는 시정잡배들이 함께 모여 항해하는 화물선(보물선)과 같다.
인간의 본질, 세상의 인심이란 무엇인가? 세상에 대한 통찰력, 어떻게 살 것인가? 삶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처절한 드라마와 같다.
2. 史記의 역사적 배경
1) 탄생 배경
진시황 – 최근 일벌레로 주목받음. 문자를 통일하고 각종 물건들의 규격화를 실행
Bc 221년 – 진나라 통일
210년 – 사망
유방 – 한나라의 제1대 황제. 시골의 이장 출신(정장)
술과 개고기를 좋아했다는 일화, 인간적인 매력이 있어 사람들이 주변에 몰려 들었다고 한다.
Bc 209년 유방의 봉기 – 천하를 갖고자 하는 욕심이 없었지만 톡목 건축 공사를 하기 위해 백성들을 동원했는데 정한 날까지 도착하지 않으면 죽임을 당함. 유방도 사람을 이끌고 공사장으로 가다 큰 비를 만나 도로가 끊기고 정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자 이왕 죽을 것 새로운 세상을 만들자며 봉기(진시황 사후 나라가 혼란 스러움) . 진승의 봉기가 먼저 있었다.
진승(진섭)의 봉기 - 계급이 낮은 농사꾼이었지만 그가 일으킨 반란은 진(秦) 제국을 멸망시키는데 기폭제가 됨. 아래 그가 한 유명한 말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 - ‘참새가 봉황의 뜻을 어찌 알리오’. 원래는 기러기란 뜻이었으나 후에 봉황으로 바뀜
Bc 206년 진나라 멸망
Bc 202년 유방 한을 건국(봉기 후 7년)
진나라 20년만에 망함
2) 역사의 분석
황제가 된 유방은 불과 20년만에 진나라가 멸망당하고 자신이 7년만에 새로운 황제가 된 원인을 분석하라고 명을 내림. 이 작업에 책임을 진 사람이 육가(陸賈)다
육가는 유방과 공신, 문무대관이 모여 진나라의 멸망 원인과 한나라의 건국 원인을 토론한 결과를 정리해서 신어(新語)라는 정치 평론서를 편찬했다.
육가가 시경에 나와있는 어려운 이야기를 하자 유방이 “나는 천하를 말위에서 얻었다!.”고 하자
유명한 말 “그것만으로 천하를 다스릴 수는 없다!.” 마상득지 마상치지(馬上得之 馬上治之)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경륜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한다. (멋진 육가^^)
육가의 시어로 부족함을 느낀 유방은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한나라를 홍보할 홍보물이 필요했는데 이 시대적 욕구에 따라 등장한 사람이 사마천이다.
시대에 맞는 사관, 사상과 이념을 완벽하게 알릴 홍보물을 요구 그래서 씌여진 것이 사기다.
3. 사기의 구조
130권으로 씌여졌다. 총 52만 6천5백자로 기록
1) 본기(황제에 대한 기록) - 12권
2) 표(연표) - 사마천의 천재성을 엿볼수 있다. 오늘날의 액셀과 같은 방법으로 연대를 정리 – 10권
3) 서 – 국가 시스템에 대한 논문과 같다. - 8권
4) 세가 – 제왕을 보필했던 제후들의 이야기) - 30권
5) 열전 –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 – 70권
사마천의 자서전
87%가 사람에 관한 역사책이다.
4. 왜 읽어야 하는가?
1) 재미있다.(열전이 특히)
2) 감동이 있다 (남성들이 읽으라- 삶이 힘든 사람들 진한 여운이 있다)
예양( 豫讓) - 중국 전국시대 지백의 신하.지백을 죽인 조양자에게 복수하려다 발각되어 칼로 자결함
사위지기용 여위열기용 (士爲知己用) (女爲悅己容)” 사기 권96 자객열전
‘남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인은 자기를 사랑해 주는 사람을 위해 단장을 한다‘
형가(荊軻) - 영화 영웅의 모티브가 됨
중국 전국시대의 자객으로 연나라 태자단의 부탁으로 진시황을 암살하려더 실패하고 처형당함
실패할 줄 알고 떠남 – 뒷모습의 쓸쓸함
3) 진퇴에 대한 지혜를 줌
4) 부조리한 세상에 대한 비판
5) 재능, 능력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동정
6) 복수관 – 은혜와 원수를 강조
7) 다양한 사람의 모습
8) 과학적 합리적인 사고방식
9) 경제관 – 열심히 돈벌어 부자가 되라.
그러나 부조리, 불법적으로 돈 버는 사람을 비판
‘창고가 차야 예절을 차리고 입고 먹는 것이 넉넉해야 명예와 치욕을 안다.’
사기 129권 화식열전에서
10) 독창성, 창의성
11) 사기를 읽어야 중국을 알 수 있다.
12) 갱유분서로 인해 학술서와 역사에 공백이 생길뻔 했는데 사기가 시대를 연결한다.
13) 사마천이란 사람의 삶
* 양개초 – 사마천은 역사학계의 태조대왕과 같은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