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습관
요즘 정말 바쁘지만 뭔가 일이 꼬이고
잘 되지 않고 바쁘기만 한거 같아
머릿 속이 복잡했다.
여러가지 고민을 하던 중 내 보물서재를
열었다가 기획자의 습관이라는 책이
눈에 들어왔다.
그래서 다시 책을 펼쳐들고 읽어내려가기
시작했다.
두번째 읽으니 내용이 더 와닿았고
도움이 되는 부분이 더 많았다.
기획이 없으면 사는대로 생각하게 된다
생은 기획한 대로 살아갈 필요가 있다.
현재 내 삶에 기획이 필요한 때이다.
사실 기획은 그리 거창한게 아니다
쉽게 말하면 어떻게 하면 되지? 라는 생각이
곧 기획이다.
기획은 "어떻게 하면" 이라는
방법의 차원과 "되지"라는 효과의 차원을
동시에 담고 있다.
원하는 결과를 먼저 정하고 그것이 효과로서
나타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기획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무엇을
얻으려고 하느냐이다. 그리고 그것을 왜
얻으려고 하느냐를 고민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왜"라는 말에 집중하면 내가 얻으려는 것의
이유가 명확해진다. 그리고 분명한 이유는
기존의 방식과 다른 새로운 방법을 찾게
만든다
저자가 말하는 기획의 단계는
1.구체적/학술적 스터티
2.현재 인식되는 방식(주로이미지 검색)
3.교차검색(관련 키워드 2개이상 섞어서)
4.키워드 요약, 나열
5.분류
6.나만의 관점으로 재정의
저자의 방법을 다시금 시도해보고 나에게
맞는 기획단계를 재정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획을 하는 단계에서는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떠오르며 휘발되기도, 기억되기도 하는데
이들을 최대한 붙잡아 인지능력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록과 정리가 필수적이다.
내가 잘 안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정리는 잘하는거 같은데 나는 기록이 부족하다
기록하는 습관형성이 필요하다.
기록하는 습관형성을 위해 노력해야겠다.
새로운 기획에는 공부가 필요하다
지금의 현상과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인사이트가 있어야 한다
대안까지 내세울 수 있으면 더 없이
휼륭하다.
공부를 통해 기획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더 나은 기획을 할 수 있는 내가 되는 그날까지
순간을 흘려보내지 않고 내 삶을 멋지게 디자인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