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평소 지도를 무척 좋아했습니다. 반세기 이상의 세월에 걸쳐 한국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이따금씩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참고하도 했습니다. 개리 레드야드의 말입니다. 저는 한국 지도에 대한 이 긴 글이 저의 한국사 연구 성과엣 가장 뜻 깊은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2008년 말 국립중앙박물관의 장상훈 학예연구관이 이 글을 번역 중이며, 유재현 사장이.....
한국인들은 천오백 년 이상 지도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한국의 경계는 대부분 바다로 정해졌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나라의 대체적인 윤곽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지도학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라는 특정한 환경 속에서 등장하여 발전해 왔다. 한국의 옛 지도들이 특정한 모습이나 특성을 띠게 된 것은 제작 당시의 기술이나 관념, 사회 경제적인 여건에 연동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