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예스리커버] 나는 불안할 때 논어를 읽는다

[도서] [예스리커버] 나는 불안할 때 논어를 읽는다

판덩 저/이서연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코로나 확진자였다. 7일이라는 자가격리 기간중에 책을 많이 읽을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을 거라 생각했는데 단 한 권도 읽지 못했다. 기침을 오래 하니 머리도 멍한 기분이고 말이 잘 들리지 않아 귀도 고장이 난 기분이었다. 주어진 시간이 비록 휴가처럼 여겨졌지만, 아이들 모두 확진이 된 상태에서 나까지 확진이 되고 보니 매끼니가 힘들었다. 여전히 밥먹는 일과 청소에서 자유롭지 않았기에 휴식은커녕 오히려 몸과 마음이 더 지쳐갔다. 그래서 논어를 읽었다는 건 아니다. 논어를 읽으니 그나마 좀 마음 누일 곳이 생겼다.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는 어른들의 사춘기 오춘기를 앓고 있은지 오래, 불쑥 화가 날때도 있고 나도 모르게 울컥일 때도 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공허와 우울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다 조금은 앓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 않을까한다. 나만 아프고 나만 고독하다는 말은 그래서 잘못된 사고이다. 삶은 누구나 아프고 누구나 힘들다. 한참 자라고 있는 아이들 역시도 사는게 너무 힘들다는 말을 한다. 이것을 깨달아가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라면 너무 잔인한 말일까.

 

삶은 늘 전쟁의 연속이다. 삶이라는 수레바퀴가 돌아가는 동안 깔리지 않으려면 끊임없이 달려야만 한다. 하나의 관문을 넘어서면 또 다른 문이 가로막고 있다. 문제는 점점 복잡해지면서도 다양해진다. 문제의 연속에서 답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인생이라는 기출문제는 사지선다형이 아니다. 주관식인데다가 서술식이다. 어떤 답이든 맞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지만 틀리다고는 할 수 없는.

 

그렇기에 삶은 늘 숙제의 연속이다. 그래서 논어를 읽는 이유이기도 하다. 삶에 아직도 풀지 못하는 숙제들. 너는 왜 그렇게 살고 있나? 아님 나는 왜 이렇게밖에 못사나, 뭐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잘못된 것일까 하며 뒤를 돌아보고 싶을 때가 논어를 읽어야할 때다.

 

이 책의 저자 판덩은 지식 서비스 프로그램 판덕독서의 저자다. 한 번쯤 들어보았을 말들도 판덩의 해석으로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공자의 말 군자불기 君子不器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반대로 군자는 그릇이다.”라는 말을 생각해보자. 이는 군자가 항아리처럼 작은 충격에도 깨지기 쉽게 연약하다는 이야기이다. 깨지기 쉬운 그릇처럼 약한 사람은 어떤 모습일까?

 

안톤 체호프의 단편 관리의 죽음을 통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어지는 한 관리의 어처구니없는 죽음을 떠올려보면 이해하기 쉽다. 한 관리가 오페라를 보다 재채기를 했는데 자신도 모르게 튀어나온 재채기라 입을 제때 가리지 못했다. 그의 침은 앞좌석의 지체 높은 장관에 튀었다. 관리는 즉시 죄송하다고 말했지만 어쩐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관리는 이후 장관을 매일 찾아가 사과를 한다. 매일 반복되는 사과에 지쳐버린 장관은 관리에게 불같이 화를 내고,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관리는 소파에 누워 차츰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약간 어이없게 느껴지는 이야기지만 실제로 소심함으로 인한 죄책감으로 스스로를 비극에 가두어버리는 사람을 흔히 볼 수 있다.

 

관리의 죽음은 장관으로부터 받은 스트레스 때문이 아니다. 관리 스스로 자신을 보잘 것 없고 나약한 사람으로 단정지었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내면의 그릇이 너무 작고 약했기 때문에 비극적인 삶의 결말을 맞이한 것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풍부하게 상상하고, 다른 사람들의 인생의 다양한 측면을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하며, 그들 스스로 삶의 선택권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그들이 깨지기 쉬운 그릇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블랙스완으로 유명한 저자 나심 탈레브는 위기에 부러지지 않고 깨지지 않는 단단함을 안티프래질이라 하였다. 작은 충격에도 깨지는 그릇이 되기 보다 안티프래질의 강인한 정신력이 있다면, 삶에 바람 좀 분다하여 넘어지지 않을 것이다. 윌리엄 제인스는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마음의 태도를 바꿈으로써 자기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라 하였다. 우리가 지고 있는 고통의 총량을 행복으로 바꾸려면 논어는 필수관문이 아닐까.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6

댓글쓰기
  • 스타블로거 goodchung

    저도 이 책 읽었습니다. 군자불기와 관련해 저자는 단단해서 깨지는 그릇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는데 보통 주어진 형식이나 형태에서 생각이니 관념을 환경이 바뀌어도
    바꾸지 않는 그런 특성으로 설명하는 곳도 많은 것 같습니다.

    2022.03.25 14:14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청은

      내면의 중요성을 새삼 생각하게 되는 사자성어였어요 ~

      2022.03.25 14:34
  • 스타블로거 khori

    논어를 손에 잡을 때를 돌아보면 스스로 보이지 않는 벽을 맞주할 때와 같은 생각이 많이 듭니다. 군자불기에 대한 제 나름의 생각은 그릇의 외형보다 그릇의 본질을 이해야하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런것이 인간이 갖은 하나의 올바르고 원대한 원칙일 수도 있지 않을까합니다. 동시에 그릇이 안된다는 말 그대로 자신의 역량과 분야에 획을 그어 한계를 설정하지 않는다는 생각도 함께 합니다. 갖다 붙이기 나름이지만 그러면 외유내강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요. ㅎㅎ 나심탈레브의 말처럼 이러면 확률이 좀 올라가지 않을까해요.

    2022.04.24 12:55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청은

      그릇의 본질을 안다는 건 최고의 경지 아닌가요 ㅎㅎㅎㅎ
      그동안 넘 바빠 블로그에 들어오질 못했는데 그래도 반가운 댓글이 있어 감사하네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2023.01.16 10:12
  • 문학소녀

    코로나로 고생이 많으셨군요.~
    저는 4월에 호되게 걸렸었지요...
    저도 책이 밀려있었는데, 코로나가 걸리는 바람에
    기한을 넘기게 되었지요.

    우리 마음을 단단하게 먹어야겠다는 말씀에 공감을 합니다.

    좋은 리뷰 잘 읽었습니다.~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2022.08.07 01:22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청은

      감사합니다 ~ 2023년도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2023.01.16 10:13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