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니콜 키드먼, 이와이 슌지의 추천 영화인 백화의 원작 소설인 가와무라 겐키의 소설 벽화는 작가의 외할머니의 치매 발병을 계기로 쓰였다. 어머니의 치매를 통해 잊혔던 과거를 기억해 내면서 엄마를 이해하게 되는 주인공 이즈미의 이야기다.
“그만두면 되잖아. 연금도 나오고, 생활비를 더 보내도 괜찮아.” “뭐든 안 하면…… 망가질 것 같아.” 엄마의 말에 뭐라 할 말이 없었다. 기계나 장난감처럼 인간도 망가진다. 숨기려는 것처럼 겹친 유리코의 손에 새겨진 주름이 눈에 들어왔다. p.92
나이가 들수록 무언가를 더 해야 한다는 걸 느끼게 된다. 그중에서 제일 와닿는 건 운동이다. 여기서 운동은 신체적 정신적인 것을 모두 포함한다.
둘이서 살아온 균형이 또다시 무너지려 한다. “애초에 50년도 살지 못했던 인간이 장수하게 되면서 암 환자가 생겼죠. 암을 치료하게 되어 더 오래 살게 되자, 이번에는 알츠하이머가 늘었어요. 아무리 발전해도 인간은 무언가와 싸워야만 합니다.” p.129
이즈미는 아내의 임신 소식을 듣고 부성애를 겪어보지 않은 아픈 과거를 가진 자신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 걱정하게 된다. 또 치매로 인해 변해가는 엄마를 보며 힘들어하고 아픈 과거를 떠올리며 본인이 좋은 아빠가 될 수 있을지 걱정한다. 하지만 나기사 홈에서 요양하는 엄마를 지켜보면서 엄마와 자신 사이의 소중하고 아름다운 기억하게 되고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엄마의 집을 정리하면서 찾은 엄마의 일기장을 통해 엄마를 이해하게 되고 이즈미는 더 발전하게 된다.
인간의 소지품은 기억과 비례하는지도 모른다. 죽음을 향해 가면서 필요한 물건이 조금씩 줄어든다. p.218
다행히 주인공은 엄마의 임종 전엔 엄마를 이해하고 더 사랑함을 느끼게 되지만 그 과정을 엄마는 함께 느끼지 못했다. 엄마는 때론 아이가 되고 때론 주인공을 알아보지 못했다. 그런 두 사람의 모습이 안타까웠다.
오랜만에 따뜻한 소설을 읽었는데 영화로는 어떻게 전개되고 주인공의 감정이 어떻게 표현되었을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