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어른의 태도

[도서] 어른의 태도

신재현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서평] 어른의 태도/신재현/위즈덤하우스

 

어른이라는 말은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어른이면 어른 다워야 한다고 말을 한다. 그런데 그 어른다워야 된다는 것은 어디까지를 의미하는 걸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가끔 내가 어른스러운 어른이가? 하는 고민에 빠질 때도 있다.

 

어른이 된다는 건 어쩌면 어른으로서 어느정도 무게감을 갖고 살아야 하는 거 라고 생각을 하던 나에게 정신건강 전문의인 저자는 어른의 태도에서

기분에 휘둘리지말고 당당하게, 흔들리는 마음이어도 편안하게, 무례한 사람을 무기력하게, 속마음,이제 감추지 말고 당당하게 총 4part 로 나누어 어른이기 보다 나라는 자신을 먼저 챙기라는 답을 던진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어른에 대한 태도가 아니라 관계에 관한 나를 바라보는 시선을 다르게 함으로써 나에 대한 관찰을 하게 한다.

 

그저 어른이니까 어른스러워야 한다는 무거운 사회시선 으로 부터 나의 마음을 먼저 바라봐야 하고, 그 저변에 있는 삶의 가치를 생각하게 한다,

 

어른의 태도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많은 관계들(가족, 친구, 이성, 직장내에서의 관계)로 부터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는 방법을 어렵지 않게 제시한다.

내가 하는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가 되었을 수도 있고, 내가 그런 상처를 받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러한 사실들에서 조금 떨어져 잠시 숨을 고른다면 그다지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

 

저자는 명상, 마음챙김 등을 설명하면서 숨을 고르게 한다.

마음 건강을 위한 나만의 세칸 필터 만들기파트를 통해

긍정적인 면을 바라보게 하는데에도 연습이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첫 번째칸 흔들리는 자신의 기분

두 번째 칸 지금의기분과 관련된 자동적이고 습관적인 생각

세 번째 칸 좀더 건강하고 합리적인 생각을 적는다,.

 

내가 행복하지 않으면 행복한게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그게 맞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내가 가끔 부리는 까칠함에 마음 불편해 하는 나 자신을 볼때가 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을 고장난 스키마. 갑질유발자, 흑백논리, 재앙화, 감정적추론, 긍정적인 면의 평가 절하등으로 설명한다.

 

지금껏 나를 먼저 챙기라는 책들은 많이 있었다.

그런데 스스로를 안아주라는 표현에서 나는 나를 바라보는 시선을 다시했다.

이책은 어른어서라기 보다 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면 읽어보길 추천한다.

 

 

<도서내용 중>

 

p68. 최고로 잘한 것에 대한 특급 칭찬만이 삶을 앞으로 끌고 나가는 것은 아닙니다. Best ,Good에 기준을 두면 삶은 늘 기준 미달이에요. 우리는 칭찬의 기준을 Not bad(‘나쁘지 않네!’)에 두어야 합니다. 나쁘지 않은 하루하면 충분히 괜찮은, 칭찬받을 만한 하루입니다.

 

p114. 현실의 기준에 나를 너무 맞추려고도 하지 말아요. 현실은 늘 버겁지만 때로는 마음을 내려놓고 좀더 자신에게 친절해도 돼요. 마음속 행복한 아이가 되는 때는 현실의 압박을 벗어 던지는 순간일 테니까요.

 

p128. 사람은 누구나 도망가고 싶은 순간들이 있습니다. 절대로 이상한게 아니에요. 그것은 본능이니까요.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기도 해요. 마음이 단단하게 중심 잡히려면 버티고 싸우는 일만이 답은 아니에요. 그러니 때로는 자신에게 도망가고 숨을 순간을 허락하면 좋겠습니다.

 

p180.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에너지를 쓰기도 부족하고 모자란 삶이에요. 나와 거리감이 있는 이들은 거리감이 있는 대로, 나를 싫어하는 이는 싫어하는 채로 그냥 내버려 두어도 됩니다. 결코, 모든 관계를 웃으며 대할 필요는 없어요.

 

p206. 바꾸지 못하는 것을 마주할 때그럴 수 있음을 받아들이고, 그것들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 보는 거죠. 마음을 활짝 열어 놓고 삶의 많은 것들이 그 공간을 다녀갈 수 있게 허용한다면 훨씬 더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p242. 타인의 이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받아들임입니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그런 자신을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입니다. - 내가 나를 이해할 수 있다면 비로소 자기 자신을 꼭 안아줄 수 있어요.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어른의태도#신재현#마음챙김#심리학#위즈덤하우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