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 2020.11.22(일)

■ 공연 <가곡 다방>

■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 음악감독 : 나실인

   - 테너 : 이현, 이재욱

   - 바리톤 : 송창기

   - 소프라노 : 정선화, 정혜욱, 이아연

   - 배우 : 류창우, 이현주

   - 피아노 : 이미나

   - 기타 : 청상혁

   - 해금 : 양희진

   - 가야금 : 이가빈
공연 이름만 보고 가곡이라고 해서 전혀 모르는 어려운 음악들일 거라 생각했는데 들어본 시들이 연주 프로그램에 있어서 익숙한 듯한 느낌이지만 곡으로 들어본 적은 없어서 새로울 듯해서 보고 싶어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을 갈때마다 보이는 남산타워를 참 좋아하는데 오늘은 날이 흐려서 조금 아쉬웠다. 맑은날 국립중앙박물관 계단너머로 보이는 남산타워는 언제봐도 감동인데.

공연에 담긴 모든 걸 설명해 주는 게 포토존에 있는 문구 '한 사람의 인생은 한 나라의 역사와 같다.'라는 문구라고 생각한다. 가곡 다방에 주인이 이야기해주는 한 손님에 대한 이야기가 전체적인 내용인데 그 손님의 삶은 격변의 역사 그 중간에 있다. 일제강점기에 음악가로서 일본이 강요하는 노래 외에는 전혀 하지 못하는 삶을 살아가고 일제강점기가 끝난 후에는 그렇게 오랫동안 기다려오고 꿈꿔온 것과는 다르게 자유로운 삶이 찾아오지 않고 6.25전쟁이 찾아온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교과서에서 근대역사로 배워서인지 엄청난 과거처럼 생각되다가 주변 어르신들의 경험담이나 몇 년 전인지 가끔 들으면 새로운 깨달음처럼 한세대가 채 지나지 않은 일이라는 것이 다가온다. 어번 공연에서도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모두 겪은 이들에 대한 안타까움이 들다가 그 격변의 시대를 지나온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사람이 많은지 새삼 느껴졌다. 일제강점기에서의 해방 후 고작 5년 후에 6.25전쟁이 일어났으니까.

가곡 20곡을 단순히 들려주고 설명해 주는 데에서 끝나지 않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쳐내고 그 안에 가곡다방이라는 공간속에 흘러나오는 음악 때로는 음악회에서 보여지는 음악등으로 녹여내고 당시 인물들의 심정을 가곡으로 표현하는 등 뮤지컬과 비슥하게 느껴지면서 지루한 공연이 아니었다. 스토리를 보여주는 연기도 음악가들이 보여주는 것이라 큰 기대를 하지 않아서일까 보는데 불편하지 않을 정도라 만족했다. 연기하는 모습이 편안해서 자꾸 붑인가던 이현주 배우님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자꾸 눈이가 찾아보니 배우라고 나와서 놀랐다. 무대에서 노래도 잘하셨던 것 같은데.. 나의 착각인가.

가곡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처음 접하는 공연으로는 완벽했던 공연.

생각지도 못한 가야금의 소리에 반했다. 전통 가야금이 아니라 25현 가야금이 아닐까 추측만 해본다. 가야금 단독으로도 한번 들어보고 싶어졌다. 그게 몹시 길다면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 자신은 없지만.

[이 글은 공연사로부터 최대권을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