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목을 보면서 그린북은 무엇을 말할까 하고 궁금증이 들었는데, 영화를 보면서 '그린북'이란 흑백 차별이 존재하던 시절 흑인이 투숙가능한 숙소를 기록한 책을 말한다는 것을 알았다.
1962년 나이트클럽의 기도일을 하던 '떠벌이 토니'(비고 모텐슨)는 갑작스런 클럽의 휴장으로 일자리를 잃는다. 천재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떨치면서 카네기 홀 꼭대기층에서 살던 흑인 피아니스트 돈 셜리 박사(마허샬라 알리)는 흑인에게 위험하기로 소문난 남부 투어 공연을 떠나기로 결심을 한다. 돈 설리는 운전도 하면서 자기를 지켜줄 운전사를 뽑는데 이탈리아 가족 공동체안에서 거친 남자로 살아가던 토니가 채용되고 둘은 함께 남부 투어를 떠난다.
1960년대 흑인이지만 교양인으로 살아온 돈 설리와 백인이지만 거칠고 험한 거리에서 인생을 배운 토니, 하나부터 열까지 취향이 다른 둘이 함께 하는 여행은 시작부터 삐걱거린다. 웃겼던 장면은 켄터키에서 '켄터키 후라이드 치킨'을 먹어야 한다는 토니와 포크가 없어서 먹지 않겠다는 돈 설리 박사간의 실랑이다. 토니의 설득에 못 이겨 치킨 맛을 본 '돈 설리'는 결국 손에 쥐고 닭다리를 뜯는다.
토니는 거칠지만 이탈리아 가족 공동체와 거리에서 배워온 나름의 정의감을 가지고 있다.(심각한 범죄에 이르지 않는 정도) 집 하수구 공사를 했던 흑인이 쓴 컵을 버려버리기까지 했던 흑인을 차별했던 토니인데 어마어마한 실력임에도 단지 흑인이라는 이유로 부당하게 차별받는 돈 설리를 보며 잘못을 자각하고 최선을 다해 그를 지킨다.
크리스마스 전까지 돌아오라는 부인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밤새 운전하다 지쳐버린 토니를 대신해 돈 설리가 운전하고 뉴욕으로 돌아오고, 토니 가족의 크리스마스 파티에 혼자만의 꼭대기첨탑에만 살던 돈 설리가 참석하면서 영화는 끝을 맺는다.
보는 재미도 있고 배우들의 연기도 좋고 의미도 있는 좋은 영화다. 난 비고 모텐슨이 언제가는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받기를 바란다. 반지의 제왕도 그렇고 상을 타기에 충분한 배우인데 받지 못하는 것이 참 안타깝다.
(Daum 줄거리 발췌)
1962년 미국, 입담과 주먹만 믿고 살아가던 토니 발레롱가(비고 모텐슨)는 교양과 우아함 그 자체인 천재 피아니스트 돈 셜리(마허샬라 알리) 박사의 운전기사 면접을 보게 된다. 백악관에도 초청되는 등 미국 전역에서 콘서트 요청을 받으며 명성을 떨치고 있는 돈 셜리는 위험하기로 소문난 미국 남부 투어 공연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투어 기간 동안 자신의 보디가드 겸 운전기사로 토니를 고용한다. 거친 인생을 살아온 토니 발레롱가와 교양과 기품을 지키며 살아온 돈 셜리 박사. 생각, 행동, 말투, 취향까지 달라도 너무 다른 두 사람은 그들을 위한 여행안내서 ‘그린북’에 의존해 특별한 남부 투어를 시작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