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이화여대 2022 봄 연속 콜로키움 [인공지능 윤리와 젠더 그리고 생태]의 일환으로 진행된, 김초엽 작가님의 강연(20220520)을 듣고 정리한 내용을 기록해본다. 2시간을 쉬는 시간 없이 달렸는데 전혀 지루하지 않았고, 작가님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작가님이 소개한 책을 여럿 나열해보자면, 엘리자베스 문의 [어둠의 속도]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그리고 김재아 작가의 [정전] 등이 있는데, 시간이 나면 찾아 읽어보고 싶다.

 


 

Chapter1. SF란 무엇인가?

- SF의 세계를 또다른 현실로 만드는 것은 미지를 탐구하는 것과도 같다. 이는 현실적으로 묘사되며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데, 판타지와 구분되는 부분이다.

- 현실의 재료를 가져와 다르게 하는, '낯설게 하기'를 통해 인지적 확장을 유도한다.

- 기존 순문학은 인간의 내면과 개인에 집중했다면, SF는 인간과 기술, 환경, 그리고 비인간 존재와의 관계망에 집중한다

- SF의 핵심 감정은, 알고 있던 세계 밖의 무언가를 마주할 때 인식의 변화와 확장이 이루어지며 느끼게 되는 '경이감'이다.

- 움벨트란, 하나의 생물체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세계로, SF는 다른 존재들의 움벨트를 경험하게 한다.

- SF의 과학은 허구의 과학이므로, 일종의 이상 환경을 구현한 실험실과 같다.

- 신경다양성 운동을 통해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Chapter2. SF와 개인의 관계

- SF는 하나의 개인이 그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서 출발한다.

- 집단의 한계가 자명함에도, 개인을 파고들어 한계를 확장하고, 세상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

- SF는 타인이라는 우주를 경험하며 인식을 확장하거나, 소외되는 주변부를 '중심'으로 바꾸거나, 또는 '중심' 자체를 해체할 때 유용하다

- 이렇게 다른 존재들이 어떻게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

- 소수자 예술, 토착 예술은 주변부 예술이다. 그것들은 오직 경계에서만 자랄 수 있다.

 

 

Chapter3. 작가님과의 QnA 

- [지구 끝의 온실]의 온실을 구체화할 수 있던 레퍼런스는 말레이시아의 숲 속 연구소 사진이었다.

- 처음부터 사명감이나 주제의식을 가지고 글을 쓰기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며, 이야기를 다루다 자연스럽게 주제가 구체화되는 경우가 많다.

- 소재는 과학 잡지나 책을 뒤적거려 찾을 때가 많으며, 이때 대중적인 글보다는 깊이 있는 개념, 낯선 지식 위주로 탐구한다.

- 작가의 스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어떻게 글을 나누고, 어떤 감정을 어느 순간에 느끼게 하는지 등의 연출에 많이 신경을 쓴다. 시선과 침묵의 흐름, 짜임 등.

- 타인을 빠른 흐름으로 재단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없는 인물을 소설 속에서 느리게나마 이해하고자 한다. 인물에게 이상한 점, 특이하게 여겨질 만한 요소를 하나 정도 부여하게 되는 이유이다.

- 단편에서, 읽는 이의 마음이 움직일 수 있도록 인물들의 시간을 띄엄띄엄 떨어뜨려 단절의 감정을 느끼도록 한다. 미련이나 후회를 좋아하기도.

 

 

아래는 작가님이 강연 자료에서 보여주셨던, 인상깊은 글이다. 두고두고 기억하고 싶어 기록해둔다.

 

한때는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이상하고 대중적이며 그릇된 생각이 존재했다. 이 생각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심지어 더 이상하고 똑같이 대중적이며, 똑같이 그릇된 생각으로 대체되었다. 사실, 달과 지구는 공통의 중심 주위를 돈다. 그리고 이 공통의 중심 쌍은 당신이 여기서 떠올릴 수 있는 모든 태양계 행성들을 빼놓더라도 태양과 함께 또 다른 공통의 중심 주위를 돌아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 여기에 은하계와 같은 엄청나게 많은 다른 대상들과 관련한 태양계의 움직임이 있다. 이쯤에서 당신이 우주 전체의 중심에서 보면 지구의 움직임은 정말 무엇처럼 보이는가 묻는다면, 단 하나의 대답은 이것이다.

무엇처럼도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런 중심은 없기 때문이다.

- 조애나 러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