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모노폴리 넘버원

[문구/GIFT] 모노폴리 넘버원

보드게임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사진출처 : http://www.boardgamemall.co.kr/)

모노폴리 보드게임은 정말 유명한 게임이죠?
1935년에 미국 대공황때 만들어진 게임인데, 지금까지도 여전히 사랑받는 게임이 바로 '모노폴리'게임이라고 해요.

모노폴리 게임은 뭐니뭐니해도 '경제'에 대해서 제대로 배울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데요.
글을 읽고 셈을 할 수 있다면 누구나 아주 즐겁게 게임할 수 있답니다.

*** 구성 ***


커다란 게임판입니다. 아주 두껍고 탄탄한 종이 게임판입니다.


설명서를 꼼꼼히 읽고서 게임을 해야합니다.
게임 규칙들이 몇가지 있는데, 그 규칙을 제대로 알고 게임을 해야 
훨~~~씬 흥미롭고 재미난 게임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요게 뭘까요?^_______^
게임말이에요. ㅎㅎㅎ 게임말들이 저렇게 다양한 모양이랍니다. 넘 귀엽고 재밌는 모양들이죠?


이건, 빨갛고 좀 더 큰 집은 호텔이구요. 초록색은 일반주택입니다.
게임을 하면서 땅을 먼저 구입하고
같은 색의 땅을 모두 구입했을 때 건물을 지을 수 있는데요.
그때 주택 먼저 하나씩 짓구요. 마지막에 호텔을 세울 수 있어요.
땅만 가지고 있을 때랑 건물이 있을 때랑은 임대료가 다르기때문에
내 경제 상황을 잘 살펴보면서 건물을 지어 나가면 좋답니다.


파란 카드는 사회사업기금 카드, 주황색 카드는 복불복 카드입니다.
게임 판 위에 놓는 위치에 따라 저렇게 놓고 게임을 시작하면 되는데요~
카드를 뒤집었을 때 나오는 내용에 따라서
돈이 나갈 수도 있구요 벌수도 있어요~ㅎㅎ
요 카드들 때문에 훨씬 흥미진진해진다네요.


색색의 카드들을 땅에 대한 권리증 카드구요.
철도 권리증과 공사기관 권리증카드 등 28장의 권리증이 있어요.


마지막으로 경제 활동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이죠?
바로 money!!! 돈입니다.^^
지폐가 그 종류별로 1 모노폴리달러부터 500 모노폴리달러까지 있어요.
저 화폐단위는 모노폴리달러라고 부르는데요.
울 가족은 줄여서 '모달'로 부르며 게임을 했답니다.


*** 게임 시작 ***

은행을 운영할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은행은 게임도 함께 할 수 있어서 1인 2역이 가능해요.
시작 전에 각 똑같은 지폐의 양을 나눠줍니다.(설명서에 나온 대로...^^)
민서군은 저렇게 가지런히 놓더라는....


각각의 게임말을 선택한 후, 출발 지점에 놓습니다.
자동차는 아빠, 다리미는 민서, 모자는 엄마의 게임말입니다.^^


주사위 2개를 던져서 나오는 수를 더한 후 그 수만큼 나아갑니다.
'바르셀로나'라고 적혀 있는 곳에 도착했네요.
이렇게 도시명이 적힌 곳에서는 그 땅의 권리증을 은행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습니다.
물론 구입하기 싫으면 경매에 부치구요.


권리증을 구입했습니다.
권리증을 보면 저렇게 기본 임대료 부터 건물의 갯수에 따른 임대료가 적혀 있습니다.


이번엔 민서가 던졌어요.
저렇게 주사위 2개가 같은 숫자일 경우는 한 번 더 던질 수 있답니다.
하지만 연이어 계속 나오면 그또한 안좋아요. 감옥에 갈수도 있거든요..ㅋㅋ (룰이 참 재밌죠?)


민서군이 엄마가 권리증을 구입한 땅에 들어왔습니다.
우선 기본임대료를 민서에게 받아야 겠죠?


앞서 같은 숫자였기에 한 번 더 주사위를 던진 민서군.

 
게임말을 다시 움직였는데, '사회사업기금'이라고 적힌 곳에 도착했네요.
이럴 땐 그 '사회사업기금 카드'를 한 장 가져가서 펼쳐 보고 그 지시대로 하면 된답니다.


도로 정비를 위한 비용을 지출해야하는데, 다행히 민서군은 건물이 없어서 패스!


순서대로 주욱 주사위를 던지면서 권리증을 사기도 하고
복불복 카드나 사회사업기금 카드가 있는 곳에선 카드를 펼쳐보고 지시대로 합니다.


아빠가 이번엔 권리증 구입을 하지 않는다해서
은행에서 경매에 부쳤습니다.^^
사실, 이 게임의 묘미 중 하나가 바로 이 경매입니다.
경매를 통해서 아주 저렴하게 구입할 수도 있지만
꼭 필요한 땅의 권리증일 경우는 자꾸 금액이 높아져서 원래 가격보다 더 비싸게 구입하게도 되거든요.^^


중간 정도 게임을 진행 했을 때 모습입니다.
민서군의 돈이 많이 줄어들었네요..ㅋㅋ
저도 권리증을 꽤나 많이 구입했구요.^^


게임 중에 이렇게 당사자들끼리 원하는 권리증을 매매할 수 있어요.
도도 좀 더 올려 받았습니다. 이또한 당사자들끼리 적정 금액을 조율하면 되지요.


저렇게 똑같은 색깔의 부지의 권리증을 모두 갖게 되었다면
주택을 지을 수 있게 됩니다.


요렇게 민서가 주택을 하나 지었습니다.^^
임대료가 올라갑니다.


현금이 없을 때는 자신의 권리증을 은행에 저당 잡힌 후
카드 뒷면에 적힌 일정액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민서군이 돈이 부족해서 '유라시아 횡단열차' 권리증을 저당 잡혔네요.


저당 잡힌 것을 되돌릴 땐 10% 이자를 더해서 은행에 내야 저당이 풀립니다.
이자까지 계산해야 하는 게임~ㅎㅎ


게임판의 형세를 보셔요!!ㅋㅋㅋ
바로 앞은 엄마의 자리.... 빨간색 저당잡힌 권리증이 잔뜩...ㅜ.ㅜ
민서군 또한 마찬가지 ㅜ.ㅜ


게임이 종료 된 마지막 게임판의 모습입니다..^^
아빠가 이겼다지요.
민서군이 제일 먼저 파산을 하고
그 다음 연이어서 저도 파산을 했습니다.ㅜ.ㅜ


우리집 게임 규칙이, 이긴 사람이 정리한다!~이기 때문에, 정리는 아빠 몫......!
그럼 민서군은 뭐할까요?
게임에서 졌다고 속상해서 자기 방 안에 있는 자기만의 집 속에 들어가 설움을 달래는 중이라지요..ㅋㅋ
찍지 말라고 하는걸 한 장 찍어봤어요..ㅎㅎㅎ


*** 게임의 매력 ***

내 땅의 권리를 갖게 되면서부터 게임의 재미가 시작됩니다.
현금을 주고 구입한 순간부터 그 땅을 어떤 용도로 어떻게 사용할지 잘 생각해야 하거든요.
내게 꼭 필요한 권리증이~ 다른 게임자에게 있다면 
내가 가지고 있는 권리증으로 협상을 통해 교환 할 수도 있구요.
같은 색의 부지를 모두 구입해서 건물을 지을 수도 있습니다.
임대수익을 통해 돈을 벌어야만 하는 게임이기에
돈을 벌지 못하고 파산하면 지게 됩니다.
경매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도 내 자산을 관리하는데 좋구요.
내 자산 상황을 잘 파악해서 아껴야 할 때와 과감히 투자해야 할 때를 아는 것도 필요합니다.
정말이지........... 경제!!! 게임을 통해 제대로 배우겠죠? ㅎㅎ

또하나,,,,, 이 매력도 무시못한답니다.
뭐냐면요..... 바로바로 돈계산(수셈^^)이 빨라진다는 것!!! ㅋㅋ
처음 이 게임을 할 땐 돈을 내고 거슬러 받을 돈이나
자기가 내야 하는 돈을 계산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더니,
지금은 무척 빨라졌습니다.
거스름 돈도 척척 알아서 은행에 얘기하고 맞는지 계산도 금방 하구요.
임대료 받을 때에도 두 배를 받아야 할 때엔 두 배 계산도 잘하구요.
저당권 풀 때 비록 10%이지만 이자계산도 척척 한답니다.
개인적으로 전 요렇게 셈이 빨라진 점도 아주아주 만족스러워요.ㅎㅎㅎ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