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시리즈는 제일 좋아하는 책이다. 작가 개개인의 일상뿐만 아니라 보다 인간적인 이야기를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슬아 작가님을 좋아하고 동경하기 때문에 그의 일상이 궁금했던 것은 당연하다. 작품에서 본인의 이야기를 많이 풀어내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아무튼> 시리즈에서만 담을 수 있는 글이 있다. 나는 그 솔직하면서도 담담하고 유쾌한 그 글이 좋다. 게다가 주제가 '노래'라니. 이 시리즈와 이슬아의 만남은 말해 뭐해. 읽기도 전에 좋았다.
그래도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건, 하고 싶은 것을 더 잘해내고 싶어 하는 그 순수한 열정과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분명히 알고 직진하는 열렬한 애정이다. 나도 취미라는 게 있었던 때가 있다. 글을 쓰거나 기타를 치고,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는 그런 일들을 즐겼던 때가 있다. 이제는 사는 게 바쁘다는 핑계로 목적 없이 즐기는 행위를 관둔 지 오래다. 무언가를 제대로 배우고 싶다가도 시간이 없다는 변명만 늘어 놓게 된다. 그런데 이슬아 작가는 나보다 더 바쁘게 살면서도(<아무튼 출근>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의 하루를 본 적이 있어서 안다) 규칙적인 생활 속에서 일과 취미를 놓치지 않는다. 그 점이 정말 존경스러웠다. 그리고 그 취미에 대해서 <아무튼 노래>를 통해 더 자세히 알게 되어 기뻤다. 나 혼자 그와 더 가까워진 느낌이랄까.
이 시리즈를 읽으며 항상 생각한다. 나에게 <아무튼> 시리즈를 쓸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떤 주제를 내세울 수 있을지. 아무튼 탕수육, 아무튼 차, 아무튼 두부, 아무튼 제주, 아무튼 가족 등 생각나는 것은 많다. 아주 잘 안다고 생각하면서도 적당히 모르는 것들에 대해 끄적이는 일 정도는 할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아는 체 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알려는 노력이다. <아무튼 노래>에는 이런 나에게 일침을 가하는 문장이 있다.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는 동시에 약간은 알 것 같기도 했다. 약간 알 것 같다는 느낌이 언제나 무언가를 시작하게 한다."
약간 알 것 같다는 느낌이 무언가를 시작하게 한다니. 이 문장을 읽으면서 동시에 무언가를 쓰고 싶어졌다. 나는 쓴다는 것에 약간 알기 때문에. 약간만 알기 때문에 겁 없이 시작하고 부딪힐 수 있는 것이다. '동기'에 대해서 이렇게나 명료하게 정의한 문장이 있을까? 볼 때마다 감탄스러운 문장력이다. 나보다 어리지만 생각과 감정을 글로 풀어내는 능력은 한참 선배인 이슬아 작가의 글을 보며 언제나 다음 장을 기대하게 된다. 그런 기대를 품고 한 장 한 장 넘기다가 어느새 끝나 버리는, 그런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