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북클러버
아무튼, 클래식

[도서] 아무튼, 클래식

김호경 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3점

[서평] 아무튼, 클래식

이번 독서모임 주제는 '음악'입니다. 원래는 역사로 하려고 했지만 의견 합일이 되지 않아 좀 더 친숙한 '음악'을 주제로 선택했습니다. 음악 도서는 예술 분야 도서 중에서도 미술과 달리 잘 안 읽게 된다는 의견이 모여 정해졌습니다(저희 독서모임 멤버들 한정). 음악 도서 중 이번에 선정된 책은 「아무튼, 클래식」입니다. 여러 음악 도서 베스트 셀러 목록을 살펴보던 중 '아무튼, 피아노'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러고 보니 그 유명한 아무튼 시리즈를 한 번쯤 읽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음악관련 아무튼 시리즈 중 전자도서로 있는 작품인 '아무튼 클래식'을 선정했습니다. 사실 평이 좀 나뉘는 작품인듯 하여 좀 꺼려지기도 했지만, 클래식은 제가 워낙 듣기만 좋아하고 사전지식이 없다보니, 사전지식을 쌓을 좋은 기회라고 판단했습니다.

-줄거리-
「아무튼 클래식」의 김호경 작가님은 클래식 전공을 살려 클래식 음악 전문 기자로 활동을 하시다가 음악을 듣는 사람을 연구하는 일을 하고 계십니다. 이런 작가님의 이력에 맞게 이번 책은 기본적으로 클래식 전공자의 식견이나, 음악 전문 기자로 활동했을 때 했던 인터뷰 경험, 음악을 듣는 일('듣는 문화')에 대한 사색, 작가님이 좋아하는 연주자/작곡가/음악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사색, 식견 이런 말을 사용했더니 되게 딱딱한 책 같지만 결국 작가님의 경험, 직업을 바탕으로 한 일상적인 음악 사색이 모인 에세이라 전혀 딱딱한 느낌의 글은 아닙니다. 또한 저는 책 표지 문구를 보며 작가의 음악관련 추억에 대한 내용일 줄 알았는데 작가님 경험이 담겨있지만 어떤 마음 간질간질해지는 따뜻한 추억이 두드러지는 작품은 아니였습니다.

-예비독자들에게-
이번 도서는 기본적으로 아무튼 시리즈가 워낙 평이 좋다보니 기대를 했던 면이 없지 않았습니다. 읽어 본 제 개인적 감상은 '아쉬웠다'입니다. 어디까지나 제 감상이고, 독서모임에서 의견을 나누며 생각이 변하긴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아쉬운 점을 뚜렷하게 느낀 작품입니다(강점도 분명하고요). 먼저 아쉬운 점을 이야기하고, 이번 책의 강점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제가 느낀 아쉬운 점은 글의 구성입니다. 우선, 글의 흐름이 중간 중간에 끊깁니다. 물론 제가 전자책으로 읽었음을 감안해야 겠지만 기본적으로 제가 흐름이 끊긴다는 느낌을 받을 때마다 앞으로 가서 제 불찰인지 살펴봤거든요. 그런데, 여러번 검토를 하며 내린 결론은 흐름이 끊기는게 맞다는 겁니다. 한 꼭지 전개 속 소재 전환이 다소 매끄럽지 않았습니다. '이번 글 전개가 혹시 의식의 흐름대로 작성한 글이라서 한 꼭지안에 핵심과 관련없는 가변적인 내용이 들어가나?'라고 생각했죠. 그 부분에 그 내용이 들어갈 필요를 느낀 경우가 여러 번이라 아쉬웠습니다. 소재 중심으로 글이 구성되서 그런 게 아닐까 싶은데요. 제가 느끼기에 작가님 이력이 굉장히 클래식 이야기를 하는데 하나의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작가님의 클래식 전공자로서 느낀 감정이 두드러지고, 작가님의 기자 생활 경험이 두드러지고, 작가님의 음악을 듣는 일에 대한 사색이 두드러지니 3부 구성을 통해 내용이 결집되면 글의 흐름이 좀 더 매끄러워 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봤습니다. 두 번째로 이 책의 물성이 아쉬웠는데요. 제가 전자책에서 책의 물성을 이야기할 줄은 몰랐지만, '추천하는 음악' 장이 장 반복 되더라고요? 종이책은 어떨지 모르지만, 전자책을 산 독자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실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제 강점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우선 '추천하는 음악' 장과 책 초반에 있는 음악 QR코드입니다. 이번 책에서 소개된 음악이 워낙 많다보니, 좋긴한데, 너무 많아서 나중에 찾아보긴 하려나 의문이 들었었는데, 센스넘치게도 유튜브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서 QR코드를 넣어주고, 소개한 음악을 맨 마지막 챕터에서 정리해 주니 깔끔하게 이번 책의 음악이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는 제가 앞서 글의 흐름과 같이 글의 구성적 아쉬움을 이야기 했지만 그건 전개상의 문제이고, 기본적으로 작가님의 음악 관련 지식을 굉장히 잘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음악을 듣는 현상에 대한 통찰이나 클래식 전문 기자만이 알 수 있을 포인트, 음악 전공자만이 느낄 감정이 글 속에 군데 군데 스며들어 표현된 작가만의 포인트가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음악 관련 사색이 너무 좋아서 음악관련 인문학 도서로 기획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인상깊은 문구-
???음악은 늘 새롭고 나 또한 계속 변해간다. 그럼에도 어쩐지 한 번 좋아한 마음은 잘 바뀌지 않는다. 플레이리스트에 담기로 결정하는 건 한순간임에도 내보내는 일에는 영 미련이 남는다. 음악이 강아지처럼 살아 있는 존재도 아닌데 말이다. 어떤 방법으로도 결코 소유할 수 없는 예술이라는 점에서 듣는 사람과 음악 작품은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점점 더 가까워지기도, 더 좋아지기도, 혹은 심드렁해지기도 한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관계가 완전히 끊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삶의 순간순간마다 마음을 나눈 음악을 천천히 떠올린다.

???나는 오늘날의 ‘분절된’ 음악 감상 방식에 관심이 많다. 손쉽게 음악을 재생하고, 주도적으로 고르지 않은 음악을 무작위로 듣고, 듣는 도중 쉽게 다른 곳에 정신이 팔리고, 각종 소음과 시각적 자극으로 뒤섞이는 그런 음악 경험에 관심을 두고서 이런저런 복잡한 책을 뒤적이며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악보로만 공부하고 악보 안에서만 생각할 줄 아는 나 같은 사람은 악기나 컴퓨터 작곡 프로그램으로 뚝딱뚝딱 음악을 짓는 사람들이 어떤 논리와 과정으로 결과물을 내는지 모른다. 그리고 세상에는 음악학교 근처에도 가지 않고도 악기 하나, 작곡 프로그램 하나로 훌륭한 음악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무척 많다.

???에디터의 역할에 대해 “‘나’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당신’의 세계와 조우하며 동시대의 ‘우리’를 기록하는”* 일이라고 쓴 윤혜정 작가의 글을 읽으며 기자를 그만 둔 지금에야 뒤늦은 위안을 얻는다. 어떤 눈으로 그 음악을 들여다보느냐, 어떤 언어로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풀어내느냐에 따라 음악가와 독자 사이에 완전히 다른 징검다리가 놓일 수 있다.
-아무튼,클래식 중에서-

Ps. 우연히 '책읽아웃'에서 작가님 최근 신간 '플레이리스트'를 들었는데요. 듣는 문화에 대한 책으로 제 아쉬웠던 점을 달래줄 책이 아닐까? 기대됩니다. ㅎㅎ

#아무튼클래식 #김호경 #코난북스 #제철소 #위고 #아무튼시리즈 #책읽아웃 #플레이리스트 #음악도서추천 #책서평 #편집자지망생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