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 보니 이 책을 읽은 책이었던 것이다. 리커버란 것을 잘 봤어야 하는 것인데.
죽음을 맞게 되었을 때 우린 어떠한 심리가 올까? 받아 들이기 힘든 상태에서 점점 나빠져서 우울함이 오기도 한다. 나만 왜이런 상황을 하면서 그간의 후회나 주변의 정리를 조금씩 하게 되어 가고 그렇게 사람들을 만나지 못했던 이들을 만나서 이야기하면서 앞으로 살 주변사람에게 알리게 되어간다.
우린 이렇게 죽음을 맞이 하는데 요즘에는 자살률이 점점 늘어가고 있으면서 우울증도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게 되었다. 우린 죽음이 두려운 것이 앞이 안보이는 내가 없는 상황이 있을 거란에 대한 두려움이 클 것이다. 의사의 상황에서 보게 된 여러 죽음이나 상황을 에세이 처럼 엮은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 등장하는 25가지 에피소드에는 뇌수술로 목숨을 건진 사람, 세상을 떠난 사람,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이야기들은 저자 자신이 ‘괜찮은 죽음의 조건은 무엇일까?’라는 화두에 답을 찾아간 30여 년의 여정을 대표한다.
누구에게나 한 번씩 주어지는 삶과 죽음, 우리는 대부분 '삶'에 더 치중한다. 어떻게 더 잘 살 수 있을지 평생에 걸쳐 애쓰는 반면, '죽음'은 우리에게 항상 외면당한다. 그러나 어떻게 하면 죽음이 참 괜찮을 수 있을지 생각하는 순간, 살아 숨 쉬는 현재를 위한 생각의 전환이 시작된다.
환자를 보는 의사의 시선에서 본 죽음의 사선에서 본 이야기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 가면서 살아가는냐는 각자의 몫이란 것에 죽어감에 있어서 그 만한 시간적 현재를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 있다.
나는 아직 죽음에 대한 생각을 담다하게 내가 나중에 죽음 맞이 할 때 담담히 맞을 수 있게 , 어느 정도 받아들임이 익숙하게 될 수 있게 지금의 살아가는 목적을 다시 부여 해줄 수 있는 삶의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