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보고 제가 생각했던 질문입니다.
- 그렇다면 부동산을 알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인가?
- 저자가 생각한 부자는 무엇일까? 돈이 많은 사람? 부동산이 많은 사람?
- 부동산을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수요와 공급? 입지? 시세?
책을 읽고 난 소감은 부동산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자라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한다면 불광불급이네요.
- 불광불급(不狂不及) :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
저자도 얘기했지만, 책을 읽을 때는 목차를 보는 것이 많이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책을 쓰는 목적과 독자층을 파악한 뒤에, 뻐대를 구성합니다.
그래서 목차를 읽으면 전체적인 구성과 함께 저자의 의도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총 6개의 파트로 구분이 되어있습니다.
Part 1. 부동산 재테크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
첫 번째 파트에서는 저자가 얘기하고 싶었던 부자의 정의와
부자가 되기 위한 방법으로 부동산 투자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산을 오르는 길이 여러 갈래가 있듯이, 부자가 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죠.
주식을 통한 방법도 있고, 책을 쓰거나 음악을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상화폐를 통해 부자가 된 사람들도 나오고 있죠.
하지만, 저자는 부자가 되기 위한 방법으로 부동산 재테크를 추천합니다.
자신의 경험인 ELS 투자와 부동산 경매 투자를 비교하기도 하고,
직장인들이 부동산 투자를 했을 때 유리한 이유와 좋은 점도 얘기합니다.
부동산 투자에 대해 저자가 하고 싶었던 얘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t 2. 부동산 투자 워밍업
그럼 부자가 되기 위한 부동산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두 번째 파트에서는 이에 대해 얘기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고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마인드와 본인만의 원칙과 목표, 그리고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어떻게 세워야 할지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의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또한, 투자에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얘기합니다.
종자돈을 마련하고,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등 투자금을 어떻게 확보할 것이며,
투자의 열정을 이어가기 위해서 시간 관리를 어떻게 할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저자의 투자일지를 보면서, 놀랐고 제 생활에 많이 반성했습니다.
Part 3. 쉬운 경매로 재미있는 재테크 시작
세 번째 파트에서 저자의 실제 사례가 나옵니다.
첫 낙찰을 어떻게 했는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명도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경매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시세를 판단하는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원칙을 어기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한 검암 빌라 사례는
아직 부동산 투자를 경험하지 못한 이들에게 중요한 간접 경험이 될 것입니다.
Part 4. 지지 않는 투자를 하는 방법
이제 본격적인 투자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투자하기 좋은 물건이란, 지역적인 가치와 개별 물건의 가치가 모두 있는 것입니다.
부동산 투자라는 것이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경매는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얽힌 매듭을 푸는 일이기에
명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현명하게 처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입찰가를 산정하는 본인의 경험적 통계와 경매 물건을 일반 매매로 취득하는 사례는
부동산 투자를 하면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Part 5. 한 수 앞 선점으로 부자 되자
부동산 투자는 미래 가치를 봐야 합니다.
그 예로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례를 얘기하면서, 어떻게 투자를 다양화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건축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틈새시장을 알 수 있었고,
리모델링하는 아파트에는 어떻게 투자하는 지에 대한 설명도 좋았습니다.
수익형 부동산인 근린주택에 대한 투자 사례에서는 건물 투자와 지분 경매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Part 6. 투자 고수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투자의 고수란 어떤 사람일까요?
마지막 파트에서는 이에 대해 얘기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짤 것인지, 초보와 고수의 포트폴리오를 설명하고
역발상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그리고 세금에 대한 부분도 얘기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세금에 대한 저자의 생각에 많이 공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규모가 커졌을 때 사업자 등록에 따른 장단점을 설명하고 활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매매사업자, 법인으로 구분하여 자세히 설명해서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