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에 대해 김용규, 김유림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은유 없이는 우리의 사고도, 언어도 없다. 그뿐 아니라 제반 학문도, 예술도 없다. 우리의 모든 정신 활동이 ‘은유로부터’ 시작하고, ‘은유와 함께 이뤄진다. 다시 말해 은유는 우리의 모든 생각과 언어와 행동을 지배한다.”
은유란 것을 별스런 것이라 생각하는 이도 있긴 하겠지만, 사실은 우리의 모든 생각과 말이, 그리고 거기서 파생되는 모든 것이 은유로 점철되어 있다. 이를테면, “시간이 빨리 지나간다.”라는 표현을 쓸 때, ’시간‘이라는 개념을 ’빠른‘ 속성을 지닌 다른 것에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은유를 ’천재들의 표상‘이라고 하면서 은유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사실은 은유는 천재들의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것이다. 다만 그것을 얼마나 유효적절하게 쓰는가, 그 연결이 얼마나 참신하냐 등이 관건일 뿐이다.
김용규, 김유림은 ’은유‘에 관한 3부작의 첫째 권에서 은유의 그런 보편적인 속성과 함께, 놀라운 능력을 이야기한다(이어서 출간되는 2부, 3부에서는 그 은유를 사용하는 실습 편이라고 한다). 앞서도 얘기했듯이 은유란 우리 사고와 말, 행동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방법이지만, 그것을 잘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천재만이 그럴 수 있거나, 시인만이 그런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은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훈련함으로써 창의적인 사고를 하고, 설득력 있는 글과 말을 사용하는 것은 또 다른 이야기일 뿐이다.
2, 3권에서 실제 실습을 한다고는 했지만, 이 첫 번째 책에서도 은유를 배우고 활용하는 데 대한 학습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학습은 최근의 뇌과학 등의 성과에 기초를 둔 ’교육신경과학‘이라는 분야에 바탕을 둔 것인데, 사실은 누구나 아는 것이기도 하다. 즉, ’따라-하기‘, ’분석-하기‘, ’실습-하기‘가 핵심이다. 많은 반복 학습, 단순한 반복이 아닌 이해에 기초를 둔 학습, 그리고 부단한 연습, 실습은 은유에 관한 학습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의 학습에 적용되는 내용일 것이다.
그러면서 은유를 만드는 묘책도 소개한다. 그것은 지금 당장 따라해 볼 수도 있는 것이란 점에서 ’꿀팁‘인 셈인데(사실 그래도 실제 따라하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 싶기도 하다. 그래서 공부 방법에 대한 책을 읽는다고 모두 공부를 잘 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는 ’보조관념을 떠올리는 법‘에 관한 것이다. 즉, 사물은 의인화하고, 비사물은 비인의화를 하라는 것이다. 이미지를 중심으로 보조관념을 떠올리고, 도식과 도표를 활용하라는 조언도 한다. 두 번째는 ’관찰력을 기르는 법‘을 이야기한다. 여기서는 특히 셜록 홈스의 방법과 함께 에이미 허먼의 방법을 강조한다. 허먼의 방법은 그림을 오래 동안 관찰하는 것이다. 미술관에서 관람객이 미술품 하나를 관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7초라는데, 관찰력을 기르기 위해 3시간 동안 관찰하거나, 혹은 관찰한 것을 기억한 후 그려보고, 다시 원래 그림과 비교하여 채워넣고, 하는 작업을 해보라는 것이다. 마지막은 ’부대주머니 훈련법‘이다. 이것은 신문에서 낱말들을 조각조각 낸 것들을 주머니에 넣고 무작위로 꺼내 그것들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우리나라 예능프로그램에서도 그 비슷한 것을 하던 걸 보았는데, 역시 지금이라도 당장 해볼 수 있는 방법이다.
다시 얘기하지만 은유는 우리 사고의 모든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은유를 잘 만들어내고, 잘 활용하는 것은 우리 사고를 넓히고 깊게 하는 것이다. 2, 3권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