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삶은 어차피 불편한 것이다

[도서] 삶은 어차피 불편한 것이다

현진 저

내용 평점 3점

구성 평점 4점

현진 스님의 티베트 여행 명상집.


책 속에 담겨진 사진 한장 한장 보면서 제일 먼저 든 생각은, '참 푸르다' 이었다. '파랗다'라고 말하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의 푸름, 지독하게도 푸른 하늘과 초록으로 덮인 풍경들. 그 속에서 또한 푸를 것 같은 사람들의 표정과 분위기. 아름답다고만 말하기에는 뭔가 많이 부족한 듯한 티베트의 자연과 정취들,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과 함께 잔잔하게 귓가에서 들리는 듯한 현진 스님의 언어들.

아마 티베트 사람들의 세상을 살아가는 마음가짐의 기본이면서 전부일 것만 같은 그대로를 담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삶이 불편할지라도 감사하고 고마운 마음으로 이번 생을 열심히 긍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게 그곳의 사람들일 거라고. 그들의 생각과 표정을 그대로 담으면서 동시에 끊임없이 던져주는 물음표들이 티베트와 그곳 사람들의 모든 것을 들려주고 있는 것이라고.


'우리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가끔 투정도 부리고, 뭔가 안 되는 것들에 대해서는 세상에게 원망을 하고, 마치 나는 아무 잘못도 없는데 왜 나에게만 이런가 싶어 잔뜩 입이 튀어나온 적이 너무 많아서. 흔하게 말하는 마음을 비우라는 그 말에도 딴죽 걸듯 그게 쉽냐고 목소리를 높이고, 한껏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이 못마땅하다고 핑계와 이유를 돌리면서도 정작 되돌아볼 생각은 안한 것 같다. 그 원인을 찾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좀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그 순간을 적극적으로 살아갈 생가조차 못하고 있었던 순간들이 얼마나 많았던지.


책을 다 읽고 보니 왜 명상집이라고 했는지 조금은 알 것 같다. 이 책이 풍기는 분위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그 마음을 그대로 들려주는 이야기들 때문이거나. 마음을 비워야 한다는 그 흔한 말의 의미도 조금은 알 것 같다. 티베트 그곳을 여행하고, 그곳의 풍경과 사람을 담은 사진들, 그곳과 그곳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마음가짐을 굳이 글로 옮겨놓은 이 책에 담긴 의미와 목적을 이제는 조금은 받아들 수도 있을 것 같다고.

그 모든 것의 가장 첫 번째 목적은 바로 이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싶었던 것, 그 편해진 마음으로 좀 더 다양하고 느긋하게 삶을 보고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고 속삭여주는 듯한, 조바심으로 하루하루 매 순간을 보냈던 것을 이제는 여유롭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을 주고 싶었던 것이라고, 그 모든 것이 감사와 감동의 순간이니 기억해두면 좋겠다고. 그러면 세상을 좀 더 부드러운 눈으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을 테니.


가끔 종교인들이 하는 이야기들을 듣거나 책을 볼 때면, 그들은 종교라는 틀 안에서만 하는 생활인이기에 세상 사람들과는 무언가 좀 더 다를 것이라 생각했다, 여러 가지로. 하지만 그들 역시 사람이고 세상과 소통하고 있으며, 단지 그들이 섬기는 신이라는 존재가 하나 더 있을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저마다 편안하고 기도하고 싶고 기댈 수 있는 대상을 하나쯤 가지고 있게 마련인데, 그게 사람마다 조금은 다를 뿐이라고…….


현진 스님이란 이름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만났다. 궁금해서 검색을 해보니, 다른 저서들도 많고 글로써 들려주는 이야기들이 편안한 느낌을 주는 분이신 것 같다. 아마도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계속해서 그런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누구나에게 마음의 평안을 주는 이야기는 늘 필요하므로.

가끔 이용하는 이동도서관에서 어떤 아주머니가 오시더니, 법정 스님의 책을 세권 고르시면서 나에게 어떠냐고 물으셨다. 내가 ‘읽어보지도 않았고 이런 류의 책을 잘 읽지 않아서 내용이나 그 책에 담긴 메시지는 별로 관심이 없다’고 말씀드렸더니,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법정 스님의 책 세 권을 대출해서 나가셨다. 그때 문득 그런 생각이 들더라. 뻔히 좋은 말만 가득 담겨있을 그 책을 굳이 읽는 사람도 있구나 싶으면서도, 왜 그런 책들이 자꾸 세상에 나올까 하고. 흔히 하는 시행착오들, 알면서도 다음에는 안해야지 하면서도 저도 모르게 하는 것들이 있다. 알면서도 다음에는 하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다시 하게 되는 일들이 왜 자꾸 일어날까. 그 생각과 맞아떨어지는 것 같았다. 이런 책들이 굳이 나오는 이유들이. '누가 그걸 몰라?', '알면서도 잘 안 돼.' 라고 핑계와 이유를 대는 이유를. ‘그래서 이런 책이 자꾸 세상에 태어나는구나’, 알면서도 안하는 것들 혹은 잘못된 것인 줄 알면서도 자꾸 다시 하게 되는 것들이 세상에서 사라지는 날까지 이런 책은 계속 나올 거란 생각이 든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7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블루

    종교인들이 쓰신 책을 많이 보지는 않지만
    한 번씩 보면 마음을 정화시켜주는 것 같아요.
    그래서 가끔씩 보게 되고 그래요.
    티베트라는 곳은 그 장소만으로도 명상이 될것 같은 곳이에요.
    여행 명상집이면 저도 궁금해지는걸요. ^^

    2011.11.18 09:16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뻑공

      저도 딱히 골라 읽지는 않는데, 취향이란 게 조금씩 변하기도 하나봐요. 전에 이거 봤을 때는 잘 몰랐던 것들이 하나둘씩 보이기도 해요... 사람 되어가려나봐요. ^^

      2011.11.18 15:39
  • 깽Ol

    안사라질거예요. 사람이니까..고로 계속 나오겠내요 ㅎㅎ
    종교인님들이 쓰신 책은 저도 거의 안읽지만 그래도 한번씩 읽으면 마음이 편안해지는게 괜
    찮긴 하더라고요. 특히 사람이 엄청 싫어질때..그럴때 읽으면 급반성모드...-.-

    2011.11.18 17:44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뻑공

      그러게요. 계속 나올테지요.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
      저는 종교인들이 쓰는 책 딱히 선입견은 없었는데요. 굳이 찾아서 읽지는 않아요. 근데 불교관련 쪽보다는 교회관련 쪽 사람들이 쓴 책에는 호감이 없어요. ㅡ.ㅡ;;;

      2011.11.25 10:13
  • 파워블로그 eunbi

    현진스님 책... 좀 전에 쓴 댓글과 묘하게 연결되어집니다...^^

    2011.11.18 20:09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뻑공

      ^^ 지금 마음이 많이 평안하신가요?

      2011.11.25 10:15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