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박지웅 디카시 「시적용인」

 

 

  

  

  차 뒷문에 누가 시옷을 새겨놓았다

  人 자로도 보인다 사람부터 되라는 뜻인가

  씩씩거리다 시옷 옆에 를 긋는다

  시 속에 앉아 시동을 건다

  비싼 시 한 대 생겼다

  - 박지웅, 「시적용인」

 

 

자동차 뒷문을 누군가 예리한 송곳으로 긁었나 보다. 검은색 자동차라 그런지 긁힌 자국이 선명하다. 내 차가 아니어도 차 주인 마음이 어떨지는 충분히 짐작하겠다. 화가 난다. 저 상황에 처하고도 화가 나지 않을 이가 과연 있을까? 시인은 차 뒷문에 누가 시옷을 새겨놓았다라는 문장으로 시를 시작한다. 객관적인 상황을 표현한 것일까? 긁힌 자국을 보면 사람 인()으로 보인다. 이를 사람부터 되라는 뜻인가로 풀이하는 걸 보면 시인은 무언가 다르다는 느낌이 들기도 든다. 하지만 시인은 씩씩거리다라는 시어를 분명히 쓰고 있다. 시인이라고 일반 사람과 다를 게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누구나 씩씩거릴 수밖에 없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누구나 화가 나는 상황에서 시인은 그 화를 어떻게 내려놓고 있을까?

 

시옷 옆에 를 긋는다”. 시옷 옆에 를 그으면 가 된다. 누군가에게 긁힌 자동차가 한 편의 시로 변화되는 순간이다. 시인은 시 속으로 들어간다. 자기가 쓴 시 속으로 들어가는 기분은 어떨까? 시 속에서 시인은 시동을 건다. 부릉, 하며 시동이 걸린다. 맑다. 수없이 들어온 엔진 소리일 텐데 오늘은 한없이 맑은 엔진 소리가 울린다. “비싼 시 한 대 생겼다라는 구절로 시인은 시를 맺는다. “비싼 시라는 시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수리비가 많이 들 거란 얘기일까? 아니다. 말 그대로 시가 비싼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는 의미로 읽어야 한다. =욕망을 내려놓은 자리에서 시에 내포된 가치는 한없이 뛰어오른다.

 

시적용인이라는 제목으로 시인은 시로써 용인된 어떤 세계를 이야기한다. 마음을 내려놓는 일이 어디 일상적인 일이겠는가? 화가 난 마음은 물이 들끓는 주전자와 같다. 언제 화가 난 자신을 태워버릴지 모른다. 화가 난 원인이야 바깥에서 왔지만, 화를 진정시킬 방법은 오로지 안에만 있다. 화가 난 상황에 집착해 봐야 달라지는 건 전혀 없다. 화만 더 부추길 뿐이다. 어찌해야 할까? 시인은 시적용인에 방점을 찍고 있다. 상황을 그냥 놔두는 것이다. 상황을 그냥 인정(용인)하고 들어가는 것이다. 씩씩거리기만 하는 사람이 시옷 옆에 를 긋는이 마음을 떠올리기는 힘들다. 시인은 욕망의 바깥에서 시를 본다. 씩씩거리는 마음을 내려놓고 시를 본다. “비싼 시 한 대는 이렇게 시인을 새로운 세계로 인도하는 셈이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