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영화의 제목인 ‘헌트’는 ‘사냥하다’라는 뜻이다. 결국 영화는 무엇인가, 혹은 누군가를 사냥하는 이야기이고, 마치 사냥을 하듯 어떻게 그 대상을 덫으로 몰아넣어 처리하느냐가 그 중심에 있다. 그리고 그 사냥감은 바로 전두환이었다.
사실 전두환을 암살, 혹은 제거하려는 계획을 소재로 한 영화나 창장물을 여러 편 본 적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강풀의 웹툰을 바탕으로 제작됐던 “26년”이라는 영화가 기억에 난다. 쿠데타로 정권을 잡고 자국민을 학살하며 권력을 유지한 독재자가 제대로 단죄를 받지 않고 편안하게 눈을 감는 일만큼 공분을 사는 일도 없을 터.
하지만 불행히도 실제로 그 일은 일어나 버렸고, 권선징악이라는 자연법적 정의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이런 식으로나마 다양한 단죄의 시도를 하게 되는 것 같다. 언제나 현실은 더 비루하고, 그래서 우린 이런 식으로나마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지도 모르겠다.
누가?
누구를 사냥하는가도 중요한 포인트지만, 사실 이 영화에서 좀 더 중요한 포인트는 누가 그 사냥을 하느냐다.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안기부 차장을 맡고 있는 박평호(이정재)와 김정도(정우성)인데, 각각 국내파트와 해외파트를 담당하는 인물이다.
영화 초반에는 이 두 사람이 서로를 치열하게 견제하는 모습이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둘의 전혀 다른 성격과 배경, 그리고 정체가 드러나면서 이야기는 훨씬 복잡해진다. 그리고 마지막 사냥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두 사람의 선택이 엇갈리는 장면에서 절정을 이루고. 이야기의 구조는 꽤 잘 짜여 있는 것 같다.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드는 건 두 사람의 배경이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한 사람은 북한과, 또 다른 사람은 군부 내 반독재세력과 연계가 있다. 그런데 두 사람의 목적이 일치한다는 점이 또 아이러니하다. 남한의 대통령을 제거해 생긴 혼란을 틈타 적화통일을 시도하려는 북한과 국민을 학살하며 정권을 유지하고 있는 독재자를 제거해야 한다는 군부 내 소장파. 두 사람 모두 죄 없는 민간인들의 희생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는 일치하고 있었지만, 또 이게 결말부에서 두 사람의 행동을 엇갈리게 만든다.
양쪽의 선택이 모두 어느 정도 공감이 가기 때문에, 일방적인 선악과 진영논리를 넘어서 생각할 여지를 제공해 준다.
왜?
영화의 소재가 된 아웅 산 묘소 참배 테러 사건은 실제로 일어났던 일이다. 전두환이 당시 버마를 방문했고, 수행원들과 함께 참배를 할 예정이었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예정 시간보다 늦게 도착했고, 영화처럼 수행원들만 죽음을 당했던 사건이다. 즉, 희생자를 많이 냈지만 애초 목적은 달성하지 못한 실패한 테러였다.
그런데 이 날 전두환이 목숨을 구한 건 정말 우연에 우연이 더해진 결과였다고 한다. 버마 외교장관이 영빈관에 있던 전두환을 만나러 오는 과정에서 차가 고장났고, 이 때문에 영빈관에서 나온 시간이 늦어졌다는 것. 묘소에서 대통령을 기다리던 중 미리 시험 삼아 불었던 트럼펫이 신호가 되어 폭탄이 먼저 터졌다는 설명이 유력하다.
워낙에 어이없는 행운이기에, 영화는 여기에 작은 상상력을 하나 더한다. 애초에 전두환을 죽이려 했던 북한의 의도에 불만을 품었던 내부자가 마지막에 생각을 바꿨다는. 사실 북한에 의한 남한 대통령 암살이 성공했다면 그 이후 정세가 어떻게 흘러갔을 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일이니, 꽤 개연성 있는 전개였다. 그렇게 픽션과 실제는 적당한 싱크로가 이루어진다.
전반적으로 꽤 괜찮게 볼 수 있었던 액션 영화다. 단순히 액션만이 아니라 적절한 심리전까지 더해져서 볼만한 영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