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미움받는 식물들

[도서] 미움받는 식물들

존 카디너 저/강유리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지난주 경주 여행 때 빛누리 정원에 갔을 때의 일이다. 아름다운 정원 사이를 정신없이 뛰어다니며 놀던 아이의 머리끈이 끊어졌고 시야를 가리는 머리카락이 성가셨던 아이는 풀숲 사이에서 강아지풀을 힘들게 뽑아오더니 그걸로 머리를 묶어달라고 했다. "이거 잡초인데..."라고 말하는 나에게 "응? 엄마, 이거 강아지풀이야. 정말 귀엽지 않아?" 얼마나 튼튼한지 잘 꺾이지도 않던 강아지풀은 아이의 머리카락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참으로 억셌다. 그런 다음 또 이런저런 자그마하고 이름 모를 꽃들을 꺾어온 아이는 머리에 핀처럼 꽂아달라고 했다. '잡초'나 '잡초다움'이라는 고정관념이 없는 아이에게 잡초는 그저 귀엽고 예쁜 풀, 꽃이었다. <미움받는 식물들>은 아이들의 눈에 귀엽고 예쁜 풀과 꽃의 이야기다. 그러니까, 잡초에 대한 이야기다. 소담하고 연약해 보이는 잡초를, 인간은 무슨 짓까지 하며 없애려고 했는지, 그런 인간에 저항해 잡초들이 얼마나 끈질기게 살아남았는지 어리석은 인간과 끝없는 저력을 가진 위대한 잡초의 이야기가 실렸다.


"잡초"라고 하면 흔하고 하찮으며 심지어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식물로 알려져왔다. <미움받는 식물들>에서 잡초는 인간이 건설해온 문명 속 거대한 자리를 차지해온 존재임을 이야기한다.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잡초 연구에 천착해온 자연 관찰자 존 카디너 박사는 서양민들레, 어저귀, 기름골, 망초, 가을강아지풀, 돼지풀 등 잡초 중에서도 가장 끈질긴 8가지의 잡초를 소개한다. 


민들레가 잡초였다니! 한때 약용으로 재배하기도 했던 민들레가 인간의 정원에 등장한 후부터 완벽하게 푸른 잔디를 원했던 인간의 '숙적' 돼버리고 말았다. 민들레를 제거하기 위해 방법을 강구하던 인간은 제초제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뿌리에 탄수화물을 축적했다 봄이 되면 다시 개화하는 기적에 가까운 생명력을 가진 민들레에게는 속수무책이었다. 민들레는 잔디밭에 적응했고 그렇게 진화한 민들레는 자신과 똑같은 씨앗을 복제해 다른 곳으로까지 옮겨갔다. 

 

어저귀 역시 처음에는 섬유작물로 재배되었다. 한때 어저귀 생산이 장려되기도 했지만 대두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어저귀의 효용은 인간의 기억 저 너머로 사라져버렸다. 그와 동시에 한때 인간의 사랑을 받던 어저귀는 잡초로 등극해버렸다.  


내가 말을 마치자, 꿰뚫는 듯한 눈빛의 기품 있는 여성 농촌사회학자가 동료들과 잠깐 눈빛을 교환하더니 나를 바라보았다. 이어서 양손을 포갠 채 경직된 말투로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전부 교육의 문제다.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이런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자살에 관해서라면 사람들은 어떻게든 수단을 찾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보고서에 농부들이 제초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쓴다면 여성들이 수백 년 전 조상들처럼 계속 밭에서 괭이질을 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식민 지배 세력은 사람들이 가난해야 다루기 쉽고 의존적인 상태가 되므로 일부러 겨우 먹고살 만한 수준을 유지하게 했다. 반드시 현대화가 필요하다. 물론 그 과정에서 오류는 발생할 것이다. 작물이 망가지고 잔류 농약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물고기가 죽고 사람들이 독극물로 사망할 것이다. 미국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지 않았나. (그분은 나를 노려보았다) 하지만 이곳 농부들도 미국 농부들과 똑같은 기술을 누려야 한다. 그것이 그들의 권리다. 다른 제안을 하려거든 잡초를 관리할 다른 방법을 제시해달라.
p.139

 

잡초를 없애기 위해 밭에서 괭이질을 하느라 고단했던 인류에게 '제초제'라는 약물이 등장한다. 잡초를 제거하는 데 탁월했지만 잡초는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그것에 적응하는 또 다른 잡초가 탄생했을 뿐이다! 쟁기질로 제거하기 쉬운 한해살이 잡초들은 사라졌지만 대신 제초제에 적응한, 제거하기 어려운 두해살이 혹은 여러해살이 잡초들이 그 자리를 대신한 것이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등장하면서부터는 잡초들이 제초제에 저항성을 띠기 시작했다. 놀랍지 않은가! 흔하고 하찮은 존재인 줄로 알았던 잡초는 인간이 감기를 앓은 후 특정 감기에 대한 항체를 가지는 것처럼 제초제에 면역력을 가지게 된 것이다! 잡초를 만든 주범은 바로 인간, 잡초를 없앤답시고 결국 더 끈질기고 악독한 잡초를 만들고 만 것도 인간이다. 인간이 자연을 통제할 수 있다는 오만함과 과학기술에 대한 맹신은 또다시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어쩌면 우리는 잡초에 대해 오해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 주변에는 수천 가지의 야생식물이 있고 그중 일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류에게 꼭 필요한 존재이기도 하다. 잡초는 인간이 식물들을 원래 있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경쟁 식물을 없애는 등 식물들의 환경을 교란할 때 발생한다. 그런 잡초를 제거하려는 인간의 인식과 방법부터 잘못된 셈이다. 인간의 잘못이 비단 잡초에 관한 것뿐일까. 식물에 그들 나름의 규칙이 존재하듯이 자연도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자연을 존중하려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잡초 이야기를 시작으로 인간의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저자의 목소리가 묵직하고도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