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다시 한번 날게 하소서

[도서] 다시 한번 날게 하소서

이어령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제목: 다시 한번 날게 하소서

글쓴이: 이어령

펴낸 곳: 성안당

 

 

지난 2월 큰 별이 떨어졌다. 초대 문화부 장관, 대한민국 문학 평론가, 저술가, 언론인, 교수직을 겸한 국어 국문학자. 삶의 매 순간 깨인 생각과 미래를 내다보는 눈으로 우리나라의 고급 문화 창조에 엄청난 기여를 하신 이어령 선생님. 소천하셨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잠시 멍하니 시간이 멈춰버린 듯했다. 왜 진작 그분의 말씀에 더 귀 기울이지 못했는지, 무지했던 자신을 원망하며 이어령 선생님이 남기신 책을 차근차근 읽어보려고 다짐. 이번에 만난 성안당 출판사의 《다시 한번 날게 하소서》는 고 이어령 선생님의 마지막 서원을 기록한 책으로 <생각의 생각>이란 제목을 달고 오래도록 묵혀 두었던 원고와 함께 세상에 빛을 보게 된 귀한 작품이다. 2022년 새해를 맞아 온 국민이 하늘로 훨훨 날아오르길 바란 이어령 선생님의 간절한 염원과 함께 끝없이 솟아나는 생각의 샘에서 퍼 올린 특별한 이념이 이 책에 켜켜이 담겨 있다.

 

 

 

고정관념은 상상력의 적, 사고의 자유를 꾀하라!

 

 

국민학교 3학년 시절,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며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했다는 이어령 선생님은 최종 학력이 대학원이지만, 실질적으로 학교에서 공부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고 한다. '고정관념과 틀에 박힌 생각을 찍어내는 학교는 생사람을 잡는 곳'. 학교 책상에 앉아 있어야 할 시간에 하늘을 보고 바람을 맞고 꽃을 즐기고 날아가는 새를 보며 계속 책을 읽은 소년은 훗날 대한민국 문화의 큰 기둥이 되었다. 계속 자라는 아이들 물건일수록 버릴 것이 많다. 우리도 아이처럼 매일 자란다. 하여 쓸모없어진 상식과 지식은 버려야 한다. 우리를 괴롭히던 고정관념, 집념 그리고 원한까지도. 어른의 신발을 몰래 신은 것처럼 크고 헐렁한 미키 마우스의 신발. 그 공백엔 미래를 만드는 꿈과 창조적인 사고가 담겨 있다. 한 치의 틈도 없이 딱 들어맞는 신데렐라의 유리구두에서 미키마우스의 신발로 바꾸는 게 21세기 우리의 생각 바꾸기다. 한국의 전통 물건과 음식 등을 주제로 펼친 이어령 선생님의 특별한 생각은 독특한 가락을 지닌 민요처럼, 신명 나게 가슴 속으로 파고든다. 병풍의 공간은 하나이면서 전체. 우리의 육신과 영혼을 허공으로 자유롭게 날게 하는 멍석. 한국의 음식 맛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하는 것'.

 

 

 

 


 

 

 

 

뒤집어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모든 삶에는 거꾸로 된 거울 뒤 같은 세상이 있다.

불행이 행이 되고, 행이 불행이 되는 새옹지마의 변화가 있다.

우물 속같이 절망의 극한 속에서 불행을 이용하여 행운으로 바꾸는

놀라운 역전의 기회가 있다.

《다시 한번 날게 하소서》 p56

 

 

 

시대의 지성이 남긴 마지막 서원과 열세 가지 통찰의 지혜!

 

 

통찰력과 지혜라는 단어가 더없이 잘 어울리는 글이었다. 마치 이 글에 관한 감상을 표현하기 위해 두 단어가 탄생했다고 느껴질 만큼 이 책과 함께한 매 순간이 놀라웠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이란 표현이 있지만, 그저 근심 걱정과 잡생각에 한한 표현이라 여겼다. 하지만 이어령 선생님의 생각은 통통 튀는 앵두알처럼 어디든 자유롭게 노니며 그 꼭지를 놓지 않는다. 사회적 위치와 학식을 고려하면, 자칫 잔소리처럼 느껴지는 고리타분한 훈계로 이어질 수도 있건만, 이어령 선생님의 글에는 어떤 강압도, 짜증 섞인 훈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창의력이란 무기로 훨훨 날아 펼치는 자유로운 사고. 일상의 다양한 소재를 전혀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접근하며 풀어낸 글을 읽으며, '이렇게도 접근할 수 있구나' 경탄의 연속이었다. 역시 언어의 연금술사! 대한민국 문화사에 큰 획을 남긴 이어령 선생님의 특별한 시선과 값진 지혜를 음미한 더없이 소중한 시간이었다.

 

출판사 지원 도서입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