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필경사 바틀비

[도서] 필경사 바틀비

허먼 멜빌 저/박경서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이 책은 『모비딕』의 작가 허먼 멜빌의 단편집이다.

사실 「필경사 바틀비」에 다시 한번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을 진작부터 하고 있었다.

책을 읽는 시기와 배경에 따라서 책의 맛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금 읽으면 어떤 감성으로 읽을 수 있을지 나를 시험해보고 싶었다.

이렇게 말하는 데에는 지난번 읽었을 때 그다지 감흥이 오지 않았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솔직히 고백한다.

『모비딕』와 「필경사 바틀비」가 같은 작가의 작품이라는 것을 처음에는 믿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다시 읽어보니 왜 이 글을 썼는지를 이제 어렴풋이 알 듯도 하다. 그만큼 내가 달라졌다는 이야기인가 보다.

허먼 멜빌 단편선 『필경사 바틀비』를 읽어보게 되었다.

허먼 멜빌

Herman Melville 1819.8.1. ~ 1891.9.28.

19세기 미국 낭만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멜빌은 뉴욕에서 태어났다. 풍족한 어린시절을 보내던 중 가세가 기울며 아버지가 사망한 뒤 순탄치 않은 시간을 보냈다. 학교 중단 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가 스무 살이 되던 해인 1839년 상선 '세인트로렌스호의 사환으로 취직해 처음으로 배를 탔다. 그 뒤로도 포경선을 타고 작살로 고래를 잡는 모험을 체험하거나 군함의 수병이 되는 등, 선원 생활의 경험을 쌓았다.

이런 경험들이 『모비딕』을 비롯한 바다 배경 해양소설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 그 외의 작품으로 남태평양의 방랑생활을 담은 『오무』, 상선 생활을 그린 『레드번』, 군함 생활이 깔린 『하얀 재킷』, 부유한 평민 집안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피에르』 등이 있다.

멜빌은 단편소설도 많이 썼는데, 이 책에 수록된 「필경사 바틀비 : 월가의 이야기」, 「꼬끼오! 혹은 고결한 베네벤타노의 노래」, 「총각들의 천국과 처녀들의 지옥」과 같은 작품들은 빼어난 수작으로 꼽힌다. 멜빌은 이 작품들을 통해 자본주의가 성숙해 가는 19세기 미국의 산업사회에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을 절묘하게 비교하고 대조한다. 자본주의의 비극성을 이미 놀랍게 간과하고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책날개 중에서 저자 소개 전문)

이 책에는 허먼 멜빌의 단편소설 세 편이 수록되어 있다.

먼저 「필경사 바틀비」를 만나게 되었다. 이 소설은 멜빌이 쓴 최초의 단편이라고 한다.

역자 해설에 보면 이 작품은 멜빌의 작품 중 가장 모호한 작품으로 이해하기가 만만치 않다고 언급한다.

"안 하는 편이 더 좋겠습니다."라는 말을 되풀이하는 바틀비의 모습을 보며 당시 월가의 상황을 짐작해본다.

바틀비는 아무 일도 안 하고 타인에게 불편함만 제공하는 정신병적 징후를 가진 무기력한 자인가? 아니면 자본주의 조건하에서 그의 소극적 저항이 인류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의미인가? (194쪽)

이 소설은 어느 상황의 단면만을 보던 나에게, 다른 면으로도 바라볼 수 있도록 생각의 폭을 넓혀주었다.

「꼬끼오!」, 「총각들의 천국과 처녀들의 지옥」 모두 비슷한 시기에 쓰였고 자본주의의 비극성을 간파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단순히 작품 겉으로 드러나는 상황 말고, 행간을 읽으며 그 시대의 사상을 엿볼 수 있었다.

허먼 멜빌은 『모비딕』으로 유명한데, 그의 단편소설 「필경사 바틀비」 또한 허먼 멜빌의 작품이라는 데에서 더욱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모비딕의 작가가 자본주의의 비극성을 엄중히 경고하였으니, 그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 시대의 상황을 마음속으로 그려보았다.

게다가 「필경사 바틀비」가 미국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고 하니, 더욱 눈여겨보게 되었다.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작품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