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출처] m.blog.yes24.com/document/7193766

 

 

이벤트 참여방법

 

    1. 이벤트 기간: 4월 11일~4월 17일 / 당첨자 발표 : 4월 18일
    2. 모집인원: 10명


    3. 참여방법
         - 이벤트 페이지를 스크랩하세요.(필수)
         - 이 책을 읽고 싶은 이유와 스크랩 주소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4. 당첨되신 분은 꼭 지켜주세요.

       - 도서 수령 후, 10일 이내에 'yes24'에 도서 리뷰를 꼭 올려주세요.

       (미서평시 서평단 선정에서 제외됩니다)

 

 

『어느 날 ‘엄마’에 관해 쓰기 시작했다』 그 후 10년간의 이야기


10년 전,『어느 날 ‘엄마’에 관해 쓰기 시작했다』는 고백이었다. 누구의 엄마든, 엄마를 구전하는 이야기로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는 걸 깨닫게 한 작은 혁명이었다. ‘어머니라는 우주를 조촐하게 기록한 아들의 글’은 낯선 이미지와 생경한 언어들을 조합한 『지큐 코리아』 이충걸 편집장 특유의 미문(美文)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에세이가 되었다.


그 후 10년이 흘렀다. 독자들은 책과 함께 나이를 먹어갔다. 그리고 가끔 이 사랑스러운 모자(母子)가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지 궁금해했다. 우리의 엄마가 그렇듯, 조금 더 늙고 조금 더 아프실 엄마와 100년이 흘러도 철들지 않을 것 같은 아들은 어떻게 서로의 삶을 보듬고 있을까….
예담에서 출간된 『엄마는 어쩌면 그렇게』는 그 마음에 대한 화답이다. 2002년에 나왔던 『어느 날 ‘엄마’에 관해 쓰기 시작했다』의 개정증보판으로 ‘지금’의 모습이 담겨 있다.


지난 10년간 ‘엄마 병’은 열 가지가 넘게 생기고 아픈 엄마를 업고 응급실에 달려가는 일이 잦아졌지만, 아들은 남은 시간이 길지 않다는 생각에 붙잡혀 울고 있지만은 않았다. 함께 시장에 가고, 텔레비전을 보고, 예쁜 옷을 사드리고, 작아서 못 입겠다 하시면 가차 없이 화를 내며 여전히 곁에 있다. 그리고 엄마의 이야기가 여전히 전개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이 책을 기록했다. 엄마의 좋은 시절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되뇌며.

 

“그러니까 이충걸은 엄마를 사랑하는 방법을 발명했다고 말해도 좋다”


『엄마는 어쩌면 그렇게』는 지금껏 세상에 나온 엄마에 관한 얘기들과는 지점이 좀 다르다. 희생과 헌신의 세레나데로 누선을 자극해 눈물 바람을 만들지도 않고, 잠든 모습을 보면 가슴이 찢어진다는 엄마의 옆얼굴에 대한 참회도 없다. 엄마의 고난과 역경에 바치는 헌사나 상패가 아닌 것이다. 이 책은 오히려 엄마의 정면 얼굴에 대한 뚜렷한 관찰과 어딘지 엇박자이되 묘하게 리듬이 딱딱 맞는 두 사람의 즐거운 생활, 쾌활한 연주에 가깝다.


이충걸의 엄마는 자식에게 맛있는 음식을 해주기 위해 된장을 담그고 고등어를 굽지만, 피곤하다며 늦잠을 자는 아들에게 “나는 네 나이 때 네 세 배 일했다!”고 일갈한다. 영원히 철들지 않을 것만 같은 아들은 아픈 엄마의 머리맡을 애타게 지키다가도, 예후가 좋아지면 또다시 늦은 귀가에 몸을 맡긴다. 하지만 하얀 면화송이처럼 첫눈이 내리는 날, 나팔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순간, 두 사람은 함께 기쁨을 나눈다. 모자지간보다는 친구 사이, 보살피고 공양하기보다는 서로의 삶을 지켜보고 기억해주는 동지로서 함께한 긴 세월을 축복하며.


아침 밥상에 꽁치조림이 올라오자 “우리 엄마는 마법사구나, 마법사!”를 외치는 아들과 생일선물로 무얼 갖고 싶냐는 질문에 “즐거움!”이라고 대답하는 엄마. 이들의 앞으로 10년 후 이야기가 다시 궁금해지는 건 이 때문이다.
어느 날, 이충걸은 엄마표 된장찌개를 흉내내려다 이내 포기한다. 혹여 자신을 양육한다는 책임으로부터 엄마가 편안해질까봐, 그래서 무력해질까봐. 그러니 이충걸의 어머니는 더없이 사적인 어머니지만, 우리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을지 모른다. 『엄마는 어쩌면 그렇게』의 모든 이야기가 우리의 이야기가 아니라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

 

지은이 이충걸


개명한 스타일의 남자를 위한 잡지 『지큐 코리아』의 편집장. 대학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했으나 잡지 에디터로서 오랫동안 일하면서 매달 문화 전반에 걸친 강렬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낯선 이미지와 생경한 언어들을 조합한 그만의 독특한, 때로는 불편한 조임까지 주는 ‘이충걸적인 글쓰기’로 일군의 마니아에게 찬사와 질투를 동시에 받고 있다. 당대 명사들과의 인터뷰를 모은 『해를 등지고 놀다』, 일생 동안 겪은 숱한 이별의 순간을 들추어 추억한 『슬픔의 냄새』, 미처 탐구되지 않았던 쇼핑에 대한 뜻밖의 기록 『갖고 싶은 게 너무나 많은 인생을 위하여』, 소설집 『완전히 불완전한』을 펴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