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책의 관건은 당신이 몇 권을 독파하느냐가 아니라 그중 몇 권이 당신을 독파하느냐에 있다.__모티머 애들러
독서 권태기를 지나며. .
(본격적으로) 『책 읽는 삶』을 추구한 지 24개월을 넘기면서 처음으로 독서가 즐거움보다는 부담감으로 다가오는 몇 주를 보내고 있다. 그러나 이 부담감이 싫거나 불편하지는 않다. 지금 나에게 딱 필요한 감정이라고 생각하며 받아들이고 있다.
불편함은 변화의 욕구다. 아마 2년에 걸쳐 굳어진 독서습관을 점검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성장하고 싶은 마음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이 책은 나에게 독서 점검표였고, 휴게소였으며, 쉼표가 되었다.
(사적인) 독서 점검표
1.독서를 하는 이유는?
재미? ㅎ
자아확장과 간접적 경험을 통해 시야의 편협성을 줄이기 위해서
2.책에 연령 제한을 두는가?
뒀었음!/늦게 시작한 독서라 초.중.고 학생들 필독서를 읽을 때면 살짝 부끄.. ??(이 책을 읽은 후 이제 그럴 필요가 없음을 깨달았다)
3.삶에 영향을 준 책들을 꼽을 수 있는가?
팀 켈러,『하나님을 말하다』☞용서에 대한 이해의 변화
하퍼리,『앵무새 죽이기』☞어른으로써의 양심과 태도에 대한 각오
무라키미 하루키,『상실의 시대』☞죽음과 상실의 분리
로맹 가리,『자기 앞의 생』☞내 생(生)위의 사람들을 사랑할 용기
4.읽었 던 책을 다시 읽는가?
umm…정리해둔 문장들을 주로. . .
5.문학책을 읽는가? 이유는?
yes/간접적 경험을 통해 낯선 나를 만나는 희열 때문에!?
6.고전을 읽는가?
umm…문학은 좀 읽지만, 철학 고전은 . .????
7.하루에 고정적으로 책 보는 시간이 있는가?
yes
8.독서할 때 나쁜 습관이 있는가?
yes/ 의미 없이 줄 긋기(집중 안될 땐 무작정 긋고 있음. ??)
9.배우고 싶은 독서습관은?
저자의 색인 만들기 습관
10.자기만의 독서법이 있는가?
1책 3독 법(오디오북 1독 후?속독으로 1독?내용정리 및 글귀 정리하며 1독)
11.좋아하는 장르의 책은?
다양한 장르의 책을 두루두루 읽는 편. . (넓고 얕게 보는 편. . 이지만 좁고 깊게 읽는 독서력이 갖고 싶음)
12.싫어하지만, 성장을 위해 읽고 싶은 책은?
역사 고전 영역의 서적. .쓸모 있는 독서 모드로 전환해야 할 때. .인 듯??????????
여담
나는 책을 좋아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책을 읽은 후 나에게 가장 필요한 질문인 것 같다. 머릿속에서 이 질문이 떠나지 않고 맴돈다. 저자의 말마따나 책을 읽는 사람들은 많다. 그러나 그들이 모두 책을 좋아하는 것인가? 라는 냉철한 질문 앞에 나 또한 서본다.
저자는 '그냥' 책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은 삶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지만, 책을 '진짜' 좋아하는 사람의 삶은 책이 중심이며 모든 선택이나 사고의 기준이 된다고 한다.
저자의 기준을 두고 요 며칠을 생각을 거듭하다가 소심하게 답을 내린다.
"나는 소심하지만, 확실한 애독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