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나도, 에세이스트


미국에서는 대부분 카펫 생활을 한다. 카펫 특유의 아늑함도 있고 이런저런 장점들이 많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바로 청소가 힘들다는 점이다. 어제 오늘 얼룩진 자국은 그래도 금방 지울 수 있지만 이 정도야 뭐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가 나중에 보기 싫어 지우려면 그 때는 이미 늦었다. 방법은 두 가지. 아깝고 미련도 많이 남지만 과감히 버리든가 어차피 그 얼룩지게 만든 사람이 나인데 그 얼룩 안고 반성하며 살든가.

 

그러다 문득 우리네 인간관계도 별반 다르지 않을까 싶었다. 과거에 생긴 서로의 상처가 얼룩으로 남아 지금까지 힘들다면 아프지만 더 아프기 전에 그만 관계를 끝내거나 본인의 잘못으로 생긴 상처일진대 속죄하는 마음 안고 평생 같이 살거나.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드라마 <미생>에서는 정답은 몰라도 해답은 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장그래 씨처럼.” 하는 대사도 나오는데 인간관계에서는 답이 없다는 말이 답인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이라는 말도 이토록 오래 회자되지 않았을 테니까.

 

그래서 얻은 나만의 인간관계 노하우라면 인간관계라는 말 자체에서 찾았다. ‘사람관계라는 말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사람보다 인간이라는 것은 부정적인 요소를 그만큼 더 포함한다고 생각했다. 이를테면 사람성이 아니라 인간성이라고 하는 것, 그리고 그 인간성이라는 말은 보통 부정적인 말과 호응함을 염두에 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관계는 다분히 부정적인 면을 더 많이 내포한다는 걸, 나아가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까지 이르렀고 그래서 마음을 더 비우고 그것이 성급한 일반화든, 자기 합리화든 어떤 오류라 할지라도 인간은 원래 그렇기 때문이라는 마음가짐을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한다.

 

영화 <가족의 탄생>에서는 제일 많이 나오는 대사가 너 나한테 왜 그래?”. 일상에서도 우리는 어떻게 나한테 그럴 수 있어?” 하는 식의 말을 많이 하고 듣는다. 하지만 라는 마땅한 이유 없이, 또 충분히 그럴 수 있는것이 사람, 아니 인간이다. 남들 다 보는데 아무렇지 않게 무단횡단 하는 인간이 그 위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는 남들 아무도 안 보는데도 또 아무렇지 않게 자기가 버린 것 마냥 주워서 근처 쓰레기통에 버리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 혼자서도 그러한데 이렇게 납득하기 어려운 또 다른 인간이라는 존재와 서로 관계 맺기가 쉬울 리 없고 답이라는 게 있을 리 없다. 한편으로는 바로 그 때문에 인간관계를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고, 굳이 답을 찾을 필요도 없다는 생각이다.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마다 인간은 원래 그렇다는 마음과 함께 나라는 인간이 먼저 어떤 어려움을 주었기 때문에 지금 저 인간이 저렇다는 마음을 먹는다. 그리고 오래된 관계라면 카펫 얼룩을 다시 생각한다. 이만큼 안고 살았으니 이제 그만 버릴 것인가 아니면 또 이만큼이나 안고 살았는데 그대로 둘 것인가. 어쩌면 이거야말로 햄릿의 본질적인 고뇌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그대로 둘 것인가(to be), 말 것인가(not to be)

 

아쉽게도 이 결정에는 노하우가 없다. 있었어도 그 선택이 맞았다고 속 시원했을 때보다 아니어서 후회막급이었을 때가 인간인지라 당연히 더 많았다. 꼭 그래서는 아니지만 미국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지금도 나는 부러 카펫 생활을 한다. 놔뒀어도 되었던 작은 얼룩은 금방 지웠으면서 정작 얼른 지웠어야 할 얼룩은 여전히 안고 자는 내 모습에 오늘밤도 이불킥 할 거면서.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