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집 지을 때 토목 및 철근 부분이 약했는데, 철근 시공을 감독할 수 있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아주 큰 것을 짓는 것 아니지만 내게 필요한 것에 대해서 아리송한 부분이 많이 해결 되었다. 큰 건설사에서 나오신 분들이나 토목 공사 하시는 분들이 왜 철근 부분에 강한지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구조 도면 볼 때 많이 편해 질 것 같다.

  내게 필요한 부분에 대해 요약해 놓았다. 내진 설계가 지금은 어떻게 변경 되었는지 모르지만 일반 철골에 슬래브와 기둥의 조인트 부위를 보강 하는 것 만으로도 얼마나 내진에 버티는지 모르겠다. 생각보다 내진 설계는 강해 보이지 않는다. 물론 예전에 비하면 철근이 많이 사용 된다고 하는데 ….

 시공 관련한 도면은 있고 실제의 시공 사진이 없어 아쉽다

 

 콘크리트, 파일 작업 및 토목 부분에 대해서는 부족한 부분을 많이 채워야겠다

 

요약문

 

발간사

건축공사는크게철근콘크리트공사와철골공사로구분할수있습니다. 그중에서철근콘크리트공사는공장에서대부분의가공이이루어지는철골공사와는달리현장에서기능공들에의해철근이가공, 조립되고있습니다. 하지만현장에서작업을수행하는기능공들은배근에대한전문적인지식을가지고있지못하고, 잦은이직등으로말미암아체계적인교육을실시하기도어려운것이현실입니다

철근콘크리트공사현장에서누구나쉽게활용할수있는기본자료를제공하기위하여이책을발간하게됨

머리말

 

1999년건설교통부에서고시한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과 2000 6월고시된건축물하중기준을근거로하여기존의표준배근도를보완함과동시에, 철근배근에대한기준을제시함으로써시공품질을향상시키는데그목적을두고있습니다

Chapter 1. 일반사항

약어

B.O.F :기초하부 (Bottom of Foundation)    T.O.F :기초상부 (Top of Foundation)

T.O.C :콘크리트상부 (Top of Concrete)           D : 이형철근의공칭지름 (mm)

Φ:원형철근의공칭지름 (mm) 파일의직경(mm)    CL : 중심선 (Center Line)

@ :간격                                          TYP. : Typical

CONC. : Concrete                                   ST’L : 강재(Steel)

N.T.S : Not To Scale                                 FL. : 바닥높이 (Floor Level)

EL. :표고, 입면높이(Elevation Level)

1) 철근표시

   15 ? D 22 @ 250  (철근개수?이형철근 / 철근직경 @ 철근간격)

2) 층수및부재의표시예

C(층별번호 / 구조부분별표시기호 / 부재일련번호)

3) 부분단면도


도면번호

( C토목, L 조경, A 건축, S 구조, M 설비, E 전기)

4) 부분상세도

5) 레벨표기

평면

6) 부재표시기호및표시기호

기초   // 기둥 //  벽체  //                    //          슬래브

                              // 큰보 // 작은보 // 기초보 // 켄틸레버보 // 일반슬래브 // 컨틸레버 // 계단

표시                          //   G   //    B   // FG,FB  //  CB, CG

기호   F,WF  //  C,BT // W,BW //                 G                        //     S       //    CS   //  SS


기호

콘크리트타설시슬럼프(SLUMP) 의표준값 (cm)은다음과같으며, 슬럼프는운반, 치기, 다짐등의작업에알맞은범위내에서될수있는대로작은값이어야한다. <진동기사용할경우임>

종류

슬럼프값 (cm)

철근콘크리트

일반적인경우

6  ~  18

단면이큰경우

4  ~  15

무근콘크리트

일반적인경우

6  ~  18

단면이큰경우

4  ~  13

시공이음

-이어치기위치는될수있는대로적게하고, 위치및형상등은설계도및특기시방서에따른다

현장에서는반드시사전에이어치기계획을작성하고이에따른시공상세도등준비를철처히함

-부재의전단력이가장적은곳에치는것이원칙. , 바닥, 슬래브및지붕슬래브에서는경간(span) 중앙

부근에두고, 기둥및벽에서는슬래브또는기초의윗면에둔다. 컨틸레버부분에서는이어치기를하지

않아야한다. 이음부의단면은부재의주방향에직각되게한다

-수평의이어치기는레이턴스의모임을막기위하여거푸집에구멍을뚫거나적당한방법으로표면에고인물을

제거한다

-방수에유의할부분은이어치기를하지않아야한다

매립물

시공자는콘크리트타설전에모든매립물이제위치에제대로고정되어있는지확인해야한다. 또한시공자는다음사항의매립물을위치및배치에대한추가상세도작성을위하여관련되는설비, 전기및기타설계도면을참조해야한다.

a. 앵커볼트의정착물

b. 전기도관, 전기기구및피뢰접지도관                                                                c. 기구및잡철물고정을위한매립철물                                                                  d. 파이프슬리브, 금속매립물, 바닥배수구, 트렌치및도관, 기타

사용되는모든철근은별도의특이사항이없는한이형철근을사용한다

(, 나선철근, 긴장재그리고용접철망용으로원형철근을사용할수있다)

이형철근마구리색표시

SD30A, 30B :초록색

SD35 :적색

SD40 :노란색

SD50 : -

벽체또는슬래브에서휨주철근의간격은벽체나슬래브두께의 3배이하로하여야하고또한 40cm이하로하여야한다.

2개이상의철근을묶어서사용하는묶음철근은이형철근으로, 그개수는 40개이하이어야하며, 이들은스터럽이나띠철근으로둘러싸여야한다

보에서 D35를초과하는철근은묶음으로사용할수없다

책임기술자가승인한경유를제외하고모든철근은상온에서구부려야한다

표준갈고리가아닌경우의최소구부림내면반지름 5db 이상으로해야한다

접합부모서리부분의외측에연하는철근의구부림내면반지름 10db 이상으로한다

피복두께는철근을보호하고부착응력을확보하기위해설계자가결정

직접기초-80 파일기초-150 슬래브, 벽체, 기둥, -40~60

인장철근 :인장응력을받는주철근

정착길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을 단단히 부착하는 데 필요한 길이. 콘크리트의 허용 부착 응력에 따라 결정된다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인장철근의 이음길이 : A, B급으로 분류 (:슬래브)

압축철근의 이음길이 (:기둥)

표준갈고리의 구부림과 여정 :주근 90°HOOK 180°HOOK / 스트럽(Stirrup), 띠철근(Hoop,Tie)  90°HOOK 135°HOOK

철근 고임대(BAR SUPPORT) 및 간격재(SPACER) 등의 재질 및 배치 등은 공사시방세에 따른다

철근 고임대 및 간격재 배치 표준

기초 : 8/4m2  슬래브 : 상부철근, 하부철근 각각 1.3/m2  지중보, , 지하외벽, 보 간격1.5 m 가 많음

Chapter 2. 슬래브 배근

일방향슬래브 :긴변이 짧은 변의 2배 이상되는슬래브로서슬래브 하중의 90%이상이 짧은 변 방향으로 전달

이방향슬래브 :긴변이 짧은 변의 2배 미만의 슬래브로서 하중이 양 방향으로 전달

플랫 플레이트(FLAT PLATE): 보가 사용되지 않고 슬래브가 직접 기둥에 지지되는 구조

플랫 슬래브(FLAT SLAB): 기둥 주위의 지판(drop panel)이나 주두(column capital)로 지지되는 구조

개구부 크기가 슬래브판 크기에 비해 작을 경우 개구부에 의해 절단되는 철근과 같은 단면적의 철근을 개구부 양쪽에 보강하여야 한다

Chapter3. 보 배근

첫 번째 스트럽은받침부면으로부터 5cm이내의 구간에 배근하여야 한다

단부에 정착되는 하부근은 표준갈고리를 사용하여 장착한다

폐쇄형 스터럽 : 한 쪽에만 슬래브가 있는 테두리 보와 같이 비틀림(Torsion)이 작용하는 보와 지중보에 사용함

보를 관통하는 슬리브 보강

1) 보 관통 슬리브 최대직경은 H/3 이하이여야 한다

2) 슬리브 중심간격은 직경 또는 폭의 3배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3) 슬리브의 위치는 보의 중앙에 둔다

4) 슬리브의 최대직경이 H/10 이하인 경우는 보강하지 않아도 된다

Chapter4. 기둥 배근

기둥 상하부 기둥치수가 다를 경우 최대 경사 1:6 이하로 주근을 배근한다

모든 모서리에 있는 축 방향 철근과 하나 건너있는 축 방향 철근이 135°이하로 구부린 철근의 모서리에 의해 횡 방향으로 지지되게끔 해야 하며, 띠 철근 주위에 있는 축 방향 철근은 횡 방향으로 지지된 철근으로부터 그 순간격이 15cm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내진 설계 시 띠 철근은 슬래브 상?하부 접합부에 많이 한다  

Chapter5. 벽체 배근

벽체의 개구부의보강근은 양방향 모두 보강한다

벽체는 이에 작용하는 편심하중, 수평하중 및 기타 하중에 대하여 안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수직 및 수평철근의 간격은 벽두께의 3배 이하, 또는 40c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지하실 외벽의 두께는 2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Chapter6. 기초 배근

기초판의저면적, 말뚝의 개수와 배열은 기초판에 의해 흙 또는 말뚝에 전달되는 외력과 모멘트, 그리고 토질역학의 원리에 의하여 개산 된 허용 지내력과 말뚝의 허용내력을 사용해서 산정해야 한다. 이때 외력과 모멘트는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사용하중을 적용해야 한다

기초판 상단에서부터 하단 철근까지의 깊이는 흙에 놓이는 기초의 경우는 15cm 이상, 말뚝기초의 경우는 3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지반의 설계 허용지내력(f?)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값 이상 확보해야 한다

양방향 중 기둥으로부터 파일중심 까지의 거리가 긴쪽을하부근으로 하여 배근한다. e 무슨 뜻인지 모르겠음

설계도서에서 표기되지 않은 파일 사이의 간격은 최소한 파일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하여 기초측면과 말뚝중심의 간격은 파일 직경의 1.25배 이상이어야 한다

Chapter7. 기타 배근

캔틸레버형 계간의 주근은 D13이상이고 보조근은 D10 이상, 계단 지지벽 면에서 50mm 위치에 보조근을 배근한다

공동구 파일간격(S) 6m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건물진입부 및 시점에서의 파일 간격(P) 1m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