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그림으로 보는 가구 구조 교과서

[도서] 그림으로 보는 가구 구조 교과서

빌 힐턴 저/안형재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서양 가구 역사를 개괄적으로 설명한 부분이 좋았다.

가구가 나라마다 시대마다 변화한다

가구가 겉모습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새삼 실감했다. 하나하나 구조와 실용성을 감안하여 많은 생각 속에 만들어 졌다

각종 결구와 디자인에 대해서 다시 보게 되었다

가구의 표준 사이즈가 있고 그것이 왜 그러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부분이 좋았다

가구가 겉으로 보기에는 같은 모양일 수 있지만 왜 가격이 차이 나는지 알 수 있었다. 좋은 가구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본문 요약

지은이의

책은 수백 장의 그림을 통해 여러분들에게 가구의 내부로 안내하고, 오래된 가구 구조상의 문제점들에 대한 전통적인 해결방안을 보여준다

2이음과 짜임 100가지 이상의 상상할 있는 모든 짜임 방법이 수록된 결구법에 대한그림백과사전이다

3부분별 구조에서는 상판, , 서랍 그리고 다리를 조립할 짜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있다

4가구 제작의 실제 짜임과 부분별 구조들이 어떻게 조합되는지를 알려준다. 가구들이 표준형 제시, 경험적인 디자인 표준들이 책에 담겨 있다

옮긴이의

목가구 제작에 대한 전문 지식에 목말라 있던 , 책은 가뭄 단비였다. 자세한 제작 방법이나 치수, 기계세팅 방법 등을 사진으로 보여주던 일반적인 목공 서적이 아닌, 자세한 분해도를 보여줌으로써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머릿속으로 나만의 가구를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도움을 주었다

서양식 가구를 제작하는

추천의 글

쓰지 않는 동안에도 조형적 미감 발현이 우선시 돼야 하는쓰는 조각품 편이성보다 조형성이 중요한 가치이다

1장 가구의 기초

01 가구 구조도

가구의 용어를 아는 것이 가구 스타일을 구별하는 날카로운 눈을 가질 있게 해주며, 좋은 디자인과 가구 제작 기술을 인지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02 가구의 역사와 스타일

바로크(Baroque) (Queen Anne) 스타일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왔고, 로코코(Rococo) 치펜데일(Chippendale) 같은 스타일이다. 혼란을 가중시티는 것은 스타일의 시기가 서로 겹치기 때문이다

스타일에 대해 시작과 끝을 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트렌드는 일반적으로 외국에서 발생하여 도시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전역으로 퍼져 나간다

미국 이주 시대, 필그림Pilgrim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그리고 영국 디자인에 기반을 식민지 시대의 가구로, 영국의 제임스 1세의 라틴어 이름을 따라 자코비안(Jacobean) 스타일이라고 부른다. 튼튼하지만 무겁고, 장부 맞춤을 사용한 원목가구

.굵고 장식 없는 목선반 작업

.목선반 작업된 기둥을 둘로 쪼개 붙인 스플릿스핀들(Split-spindle) 장식

.대규모 조각 작업

.폭이 넓고 사방으로 둘러진 다리버팀대(Stretcher)

윌리엄 메리 William and Mary

바로크 양식이라고 부른다. 검은색이 많은데 호두나무(Walnut) 사용하거나 검은색을 칠한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조형적 조각

.붓모양의 스페니쉬 가구발

.눈물방울형 손잡이

.장식적 무늬목 작업

Queen Anne

우아한 곡선을 가진 스타일 가구는 각진 윌리엄 메리 스타일 디자인과 대비된다. 스타일은 우아한 S형의 캐브리올 다리로 미국에 소개되었으며, 캐브리올 다리가 주된 포인트다. 스타일은 윌리엄 메리와 후기 치팬데일과 겹친다

.유동적인 곡선

.캐브리올(Cabriole) 다리와 패드발

.중국풍 장식

.공들여 조각된 조개, 장미, 나뭇잎 모티브

.지붕 위에 피니얼 장식

.무늬목이 붙여진 서랍판과 의자 등판무늬

.나비모양 서랍손잡이

치팬대일 Chippendale

영국 런던의 가구 제작자 토마스 치팬데일의 이름을 스타일로 중국풍과 고딕 스타일 그리고 로코코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치팬데일 스타일은 형태보다는 장식적 변화를 대표한다. 디자인 요소로 직선이 다시 나타나는데 탁자가 종종 직선적이며 사선 처리되지 않은 곧은 다리를 가진다

.서펜타인 곡선의 봄베 형태의 몸통

.파이 껍질 모양의 탁자 상판

.장식적인 다리버팀대

.공을 움켜진 갈고리 발톱모양의 가구 (Ball-and-claw feet)

.중국풍 또는 고딕 스타일의 투각 장식

.로코코 스타일의 조개 장식

.몸체 기둥에 4등분의 원기둥 장식

페더럴 Federal

패더럴 스타일은 신고전주의 양식인 미국 초기 단계의 스타일을 설명할 등장하는 이름으로, 고대 로마와 그리스 영향을 받은 스타일(엠파이어 양식은 페더럴의 후기 스타일)이다. 패더럴은 앞선 로코코 양식에 대한 반응으로 등장했다

.가늘고 뾰족한 다리

., 화살 모양의

.탬부어 문판

.낮은 부조 조각

.무늬목의 사용

.공들인 상감 무늬

엠파이어 Empire

신고전주의 번째 단계로 나폴레옹 시대의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건너왔다. 그리스, 로마의 클래식한 모티프에서 영감을 얻은 엠파이어 스타일의 가구는 더욱 화려한 장식으로 만들어졌다

.반쪽의 둥근 기둥

.사브르형(기병도) 다리

.중앙 기둥

.동물의 발과 C자형

.굵은 조각

.둥근 세로

.스텐실, 채색, 금박

컨트리 Country

이는 도심 밖에서 생산되었던 가구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이다. 가구의 특징은 종종 도시에서 생산되는 전형적인 스타일의 형태를 간략화(어떤 제약도 받지 않고)하여 만든 것으로 간주된다. 컨트리 스타일 가구는 장식보다는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며, 결구방법도 실용적이며 복잡하지 않다.

.심플한 몰딩

.심플한 곡선 절단

.넓은 전면 프레임

.나무로 만든 손잡이와 걸쇠

.노출된 경첩

펜실베이니아 더치 Pennsylvania dutch

전통을 증시하는 펜실베이니아의 독일인들은 가구의 특징을 계승해왔다. 단단한 구조와 화려한 민화는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심플한 까치발식 다리(발만 따로 붙이는 )

.간단한 손잡이

.하부 또는 궤에 서랍

셰이커 Shaker

스타일이 간결한 선들은 미국의 여러 주에서 독신주의 공동체인 셰이커 교도들의 가치를 표현했다

.장식 몰딩이 없음

.날씬한 목선반 작업

.목선반 작업된 원형의 나무 손잡이

.단순한

빅토리안 복고주의 Victorian design revivals

고딕, 로코코, 르네상스의 복고 스타일로 각각 과거보다 장식이 많다

디자인 리폼 Design reform

19세기 중반의 개혁가들은 특색 없는 디자인과 과도한 장식 그리고 기계의 지배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들은 장식적인 것을 없애고 손으로 만들어낸 가구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목선반 가공된 둥근 기둥과 살대

.스크롤 커팅된 까치발

.낮은 부조

.매입형 장식 패널

.밝은색의 마감

아트 크래프트 Art and crafts / 미션 Mission

단지 하나의 디자인 양식이 아닌 공예 운동이다.

산업혁명이 폐해를 극복하는 일환으로 가구 제작에서 수작업의 가치를 복원

.사각의 디자인 요소

.노출된 결구

.간결한 경사판

.가죽 커버

03 나무의 수축과 팽창

목공예는 나무가 움직일 공간을 만들어주면서 나무를 고정하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오늘날 표준 건조방법은 특별한 건조로(Klin)에서 열을 이용해 나무의 수분을 낮추는 방식이다. 건축용 목재는 10~20% 함수율로만 낮추어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구용 목재는 그보다 절반 이하의 함수율로 건조해야 한다

판재의 함수율 (MC, Moisture Content)

평형함수율(EMC, Equilbriun Moisture Content): 나무의 함수율이 공기 중의 함수율과 같아질 때의 상태

판재의 움직임은 주로 판재의 길이 방향(거의 변하지 않음)보다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나무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판목제재(Flat-sawn): 나무의 중심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고, 두께 방향보다는 방향으로 수축

평할제재(Through-and-Through): 나이테의 방향에 따라 위의 판목제 재목과 같은 형태로 수축

추정목제재(Rift-sawn): 나이테 동심원방향의 수축과 나이테 접선방향 수축의 결합

정목제재(Quarter-sawn): 폭과 두께가 약간 줄어드는데 피죽쪽(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많이 감소

기둥재 또는 목심(Dowel): 타원형으로 수축

사각재: 다이아목드형으로 수축

가구 제작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마호가니(Mahogany), 티크(Teak), 레드우드(Red Wood), 개오동나무(Catalpa), 사양 측백나무(Northern white ceder) 등은 치수안정성이 좋다

참나무(Oak) 같은 종류, 적참나무(Red Oak) 변동량이 크다

생나무(건조 e 자연건조 14% 함수율 e 인공건조 7% 함수율

   254mm       e           241mm       e        238mm  (판목제재한 참나무)

수축 팽창 대응방법 Dealing with movement

  1. 프레임-패널 구조 Frame-and-panel construction : 개의 세로대 사이에 개의 가로대를 끼워 넣은 방식. 나무 판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안하여 홈의 깊이 설정
  2. 상자형 구조 Chest construction: 결방향을 일정하게 맞춤
  3. 책장형 구조 Case construction: 부재의 움직임을 고려해서 맞춤
  4. 인공목재 Not quite wood: 합판, MDF
  5. 마감 Finishing: 보이는 곳만 칠하는 것이 아니라 가구의 전체 면에 칠해야 한다

2장 이음과 짜임

01 측면이음 Edge Joints

장의 판재보다 여러 장을 붙인 판재가 튼튼한가? 답은 예이다. 본드로 집성된 결합은 매우 강하다. 나무결 방향이 면과 면은 본드로 결합된다. 결방향을 맞춘 면결합은 나무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충돌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1)측대측 이음(Edge-to-edge joint) : 넓은 판재용

꽂임촉이 판재들을 밀어내지 않도록 크기를 맞추어야 . 꽂임촉(Splined) 16mm (유격0.4mm)

목심을 사용하는 것은 판재를 정렬하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Doweled edge-to-edge point)

나비장 Butterfly key: 추후 분해 가능하도록 접착재 없이 판재를 결합하는 사용

2)측대면 이음(Edge-to-face joint): 장이나 기둥의 모서리

겹합용 철물은 접착제의 결합을 강화시키지는 않지만 접착제가 마를 때까지 접합부를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3)면대면 이음(Face-to-face joint): 견고한 벤치 상판이나 작업대 상판용

제혀이음 Tougue-and-groove joint 에서 혀의 크기는 부재 두께의 1/3이다. 그래서 혀와 홈의 벽이 거의 같은 강도를 가지게 된다

혀의 두께보다는 길이가 중요

홈의 깊이: 판재의 폭이 작은면 혀의 두께 정도, 폭이 넓으면 판재 두깨의 절반 정도. 홈의 깊이는 1.5mm정도 깊이 판다

제혀이음부를 감추기 위해 구슬형 비드홈과 V 홈이 사용됨

턱이음 Rabbet joints: 판재의 끝부분을 L자형으로 잘라낸

겹침이음 Shiplap joint: 제혀이음 대체 방법이다. 그러나 결합은 판재들의 표면을 평면으로 유지할 수는 없다

측면 연귀이음 Edge miter joints: 어떠한 횡절단면도 수가 없다. 짜임의 최대 단점은 조립이 어렵다는 .(조립쇠의 압력에 저항이 심함)

루터를 사용한 측면이음 Routed edge joints

꽂임촉(Splined) 16mm (유격0.4mm)

목심을 사용하는 것은 판재를 정렬하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Doweled edge-to-edge point)

나비장 Butterfly key: 추후 분해 가능하도록 접착재 없이 판재를 결합하는 사용

02 상자형 짜임 Case Joints

맞짜임 Butt joints: 반드시 도움이 필요하다

주먹장짜임 Dovetail joints: 나무를 연결하는 매우 실용적인 수단이었다. 목재의 수측.팽창을 허용한다

주먹장은 숫장부(Tail) 숫장부 사이에 삼각형 구명으로 들어가는 암장부(Pin) 구성되어 있다. 판재의 측면 끝에 위치한 핀을 하프핀(Half-pin)이라고 부른다.

사개짜임 Box joints: 사각형의 핀을 가진 기계 가공된 통주먹장의 좋류. 결점이라 생각되는 것은 체스판 무늬이다

연귀짜임 End miter joints: 중대한 문제는 아무리 맞춘 연귀도 나무의 계절적인 수축.팽창으로 인해 결합부가 열리게 된다. 동안만 맞는다

다중 장부짜임 Multiple joints: 장부촉은 부재 전체 두께를 사용해야 한다

얽힘짜임 Lock joints: 주로 서랍 앞판과 측판의 결합에 사용

다도짜임 Dado joints: 다도홈은 판재의 나무결을 가로 지르는 사각의 홈이다. 홈파기가 다도짜임의 전부이다. 왜냐하면 모든 접착면에 횡단면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 강도는 제한적이다

턱짜임 Rabbet joints: 턱짜임에서는 모든 접착면이 횡단면-결방향 결합이다. 보통 턱짜임은 접착제 대신에 고정용 철물로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모서리 각재짜임 Corner block joints

비스킷과 접착제로 결합된 모서리 각재는 합판으로 책장형 구조를 만드는 회고의 방법 하나이다.

다중 꽂임촉 짜임 Multiple-spline joints

03 프레임 짜임 Frame Joints

지지 프레임(Web frame): 책장 구조를 묶어주며 서랍을 받쳐주고 분리해준다

전면 프레임(Face frame): 책장 구조의 전면부를 마무리해주며 책장 구조를 튼튼히 잡아주고 , 서랍의 영역을 구분해준다

프레임-패널 구조(Frame-and-panel construction): 책장의 몸체(측판, 뒤판, 천판) 그리고 문에 사용한다

04 가로대 짜임 Rail Joints

장부 결합 같은 가로대 결합법은 다리-가로대 구조, 기둥-가로대 구조에서 사용된다

가로대 결합의 비결은 결방향 결방향의 접착면에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결합에서는 부재의 결과 다른 부재의 결은 서로 교차되기 때문에 습도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충돌은 피할 없다. 하지만 결방향과 절단면을 붙이는 것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얻을 있다

3장 부분별 구조

01 기둥-가로대 구조

수직인 기둥과 수평의 가로대가 만드는 구조는 목가구 제작에서 가장 튼튼한 구조 중에 하나다

서랍 달린 탁자를 만들 탁자가 길어질수록 서랍-가로대 구조가 쳐질 있다는

서랍-가로대 구조의 전체 폭이 150mm 넘지 않도록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하다. 탁자에 앉았을 다리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

02 책상 상판의 연결

공기 중의 습도 변화에 의해 나무는 결의 직교 방향으로 수축.팽창하며, 결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거의 없다.그래서 탁자 상판은 장의 판재로 만들었든, 측면 결합으로 만들었든 간에 탁자 상판의 폭은 수종에 따라 최소 4mm정도 움직인다

상판이 팽창되면 휘어지고, 줄어들면 갈라지게 된다

03 상자형 구조

역사적.구조적으로 최고의 정답은 프레임-패널 구조로 대부분의 한정적인 원목 상자 구조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합판이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미적으로는 원목에 같고 수치 안정성 면으로는 프레임-패널 구조와 같기 때문이다

집성한 판재도 같은 폭의 단일 판재와 같은 양으로 수축.팽창한다

일반적으로 보강 프레임의 부재들은 서로 접착되지는 않지만 측판에는 접착된다. 대부분의 경우 러너를 뒤쪽에서 살짝 자게(3mm) 만들어주는데, 측판이 수축하면 러너는 밀어내지 않고, 대신 러너의 뒤쪽 가로대 사이의 틈이 닫히게 된다

04 문의 구조

어떤 문을 만들지 결정하는 있어서 재료나 짜임 방법을 고민하는 것보다. 문을 어떻게 여닫을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실제적인 출발점이다

05 서랍의 구조

제작 방법은 서랍의 앞판과 앞판과 부착되는 서랍 통과의 관계에 의해 구분되곤 한다

06캐비닛의 받침대

분리형 받침대는 매우 튼튼해서 프헤임을 보강할 있다

07 몰딩

몰딩은 스타일을 결정한다. 단면형상으로 부르는 오목하고 볼록한 면들은 가구의 외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몰딩은 영역을 분할하고 모서리와 모퉁이 그리고 여러 경계 부분을 시각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부분과 면들 간에 시선을 쉽게 이동할 있게 해준다. 몰딩의 크기와 형태는 시각적 균형이나 작품의 비례들을 개선(또는 약화) 해주거나, 심지어 동적인 착시를 일으키기도 한다

몰딩면이 시선 방향을 향해야 한다

4장 가구

01 식탁

기본규격만 염두에 둔다면 테이블을 만들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테이블 높이: 바닥부터 탁자의 상판까지의 높이 711~762mm

다리 공간: 바닥부터 가로대 아래까지의 거리, 다리를 위한 수직공간이며, 최소 공간은 610mm

무릎 공산: 테이블의 모서리에서 다리까지의 거리. 의자를 테이블 쪽으로 끌어당겼을 무릎 앞의 여유 공간을 측정 최소 254~406mm 적정 356~457mm. 다리 위치에 영향

허벅지 공간: 의자 좌판에서 가로대 하부까지의 거리. 의자에 앉았을 허벅지를 위한 수직 여유 공간을 측정. 최소 165mm. 테이블의 높이에 영향

팔꿈치 점유 공간: 테이블에 앉은 각각의 사람에게 주어진 공간 허용치. 최소는 610mm 이나 762mm 훨씬 낫다.테이블의 길이에 영향

팔을 뻗은 거리: 각각의 앉은 사람에게 주어진 공간 깊이 허용치, 305mm 이하이면 너무 작고, 457mm 보다 크면 너무 크다. 테이블 폭에 영향

의자 공간: 의자를 뒤로 빼서 일어날 , 테이블의 끝에서 벽까지의 공간 허용치. 최소 914mm, 최적 1118mm. 테이블의 설치 위치와 크기에 영향

테이블의 : 최소 813mm 최대 1219mm 평균 914~1067mm

테이블 지름: 최소 762mm 최대 1829mm 평균 1524mm

02 보조 테이블

보조 테이블의 치수는 그들이 동반하는 가구나 활동에 맞춰져야 한다

소파용 협탁: 소파나 안락의자의 팔걸이보다 약간 높은 테이블. 일반적으로 높이 610~660mm, 길이 356~406mm, 508~584mm이다

커피 테이블: 상대적으로 길고 낮은 소파 앞에 놓도록 디자인된 길고 낮은 테이블로 테이블 자체 또는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건들이 소파에 앉은 사람과 안의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판의 높이와 깊이는 앉아 있는 사람의 손이 테이블의 끝까지 닿을 있도록 결정한다. 크기 범위는 높이 381~457mm, 길이 915~1524mm, 559~762mm

침대용 협탁: 높이는 일반적으로 매트리스 높이거나 약간 아래로 한다. 상판은 보통 작은데 정사각형 457~508mm

복도 테이블: 길고 좁아서 특별한 장소에 맞는다. 우편물이나 작은 장식품들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고 혼자 놓이는 가구

사이드 테이블: 762mm 정도의 높이로, 일반적으로 소파용 협탁보다는 다소 넓어서 508~610mm 폭을 가진다

03 책상

책상 높이: 바닥부터 책상 상판 표면까지의 거리. 평균적으로 686~762mm

다리 공간: 바닥부터 책상 상판 아래까지의 거리. 610~737mm

허벅지 공간: 허벅지부터 책상 상판 아래까지의 거리. 최소 165mm

무릎 공간: 앉은 사람의 다리가 걸리는 장애물까지의 거리. 356~457mm

리치: 앉은 자리에서 팔이 닿는 수직 거리. 483~508mm

키보드 높이: 책상 상판의 높이보다는 약간 낮은 610~686mm

시선의 각도: 키보드를 내려다보는 시건과 모니터를 보는 시선 사이의 각도가 60 넘지 않게 한다

04 궤와 서랍장

: 기본형은 뚜껑이 있으며, 가장 낮은 높이의 보관함이다. 305~610mm, 깊이는 381~610mm, 길이는 762~1524mm

서랍장: 서랍은 아래에 작은 서랍은 위에 배치한다. 사용하기 쉬운 가장 서랍은 높이는 305mm, 깊이는 610mm, 폭은 1219mm이다

이층 서랍장: ‘남자의 서랍장으로 불리움. 높이 1929~2134mm, 폭은 914~1219mm, 깊이는 457~610mm

침실용 서랍장: 높이는 737~864mm, 크기 1796mm

05 수납장

벽걸이 찬장: 최대 깊이는 305mm 높이는 2032mm이하

진열장: 선반 사이 간격은 보통 254mm 이상이지만 변경도 가능. 높이 2032mm 이하, 최대 깊이 610mm 이하

책장: 일반 서적 깊이 203mm, 높이 254mm. 깊이 305mm, 높이 330mm, 높이 2032mm

사이드보드: 높이 914mm

서류함: 높이 2 서랍용 711mm, 4 서랍용 1321mm, 폭은 파일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 깊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

옷장: 옷장 깊이 610mm, 셔츠.자켓의 길이 762~914mm, 코트.드레스 1422~1626mm

06 붙박이장

부엌가구는 다은 어떤 가구보다도 치수가 표준화되어 왔다

부엌 상부장: 깊이 305mm, 높이 762~1067mm. 설치 높이 1981~2032mm or 2438mm. 상부장은 하부장의 상판 위로 406~457mm위에 설치

부엌 하부장: 표준 높이 876mm, 표준 깊이 610mm. 상판까지의 높이 914mm, 깊이 635mm. 걸레받이 76mm, 높이 76~102mm

화장실용 세면대: 표준 높이 864mm, 표준 깊이 508mm

07 침대

매트리스(우리나라 표준 사이즈): 청소년 싱글(TS) 2000*900mm, 싱글(S) 2000*1000mm, 슈퍼싱글(SS) 2000*1100mm, 더블(D) 2000*1400mm, (Q) 2000*1500mm, (K) 2000*1680mm, 라지킹(LK) 2000*1800mm

침대 높이

450mm: 매트리스까지의 높이가 의자 높이와 비슷하다.

600~680mm: 일반적인 침대 높이

900mm: 키가 높은 가구와 높은 천장의 침실에 적합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