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목조주택으로 내집짓기

[도서] 목조주택으로 내집짓기

김집 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경량 목조주택은 한국식으로 변형되었음을 잊지 말자(바닥 난방)

주택은 지붕이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 (미학적기능적구조적)

기초 콘크리트 타설 할 때 바닥높이 표시를 해서 평탄화를 하면 후공정이 편안하다

타이벡의 중요성

무기질 재료와 유기질 재료 접착면을 잘 생각해서 처리 해야 함

천정의 공기흐름을 어떻게 유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목조 주택의 차음이 중요하다

 

목조 주택은 조립 주택이다조립 방법의 퍼즐화를 항상 생각하자단열과 결로방지를 어떻게 할까?

 

 

본문 요약

 

들어가는 글

정말 좋은 집은 5, 10, 20… 한 세대가 지나도 크게 변하지 않는 집이라야 합니다우리 주변에 그런 집이 있습니까그런 목조주택을 보셨습니까만약 그런 집이 없다면 목조주택에 대한 우리의 접근이 잘 못 되었습니다.목조주택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알아야 할 것은 빠뜨린 채 겉만 그럴 듯 한 집을 지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떤 유형의 집도 시간과 햇볕 그리고 세월 앞에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처음과는 달리 변하기 마련입니다

1.   목조주택의 문을 열며

●왜 목조주택인가

목조주택은 몇 가지 개선 내지 보완하기만 하면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주택으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임

●목조주택은 과학이다

단열재가 스티로폼이라면 습기와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단열이라는 본래의 역할에 미흡할 수 밖에 없습니다그러다 보니 벽이라는 원래의 기능즉 외부의 온도나 기후변화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며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로 인해 발생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처리하는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그러니 집안 곳곳에 벽지 위로 곰팡이가 피어나는 것입니다

목조주택에서 쓰는 인슐레이션이라는 단열재는 유리섬유는 미세한 조직 속에 공기를 내장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가장 좋은 단열재는 다름 아닌 공기입니다

목조주택에서 쓰는 시스템 창호는 창문에 날개가 달려 있습니다이 날개로 인해 외부의 차고 뜨거운 열기가 밖에서부터 차단되기 때문입니다또한 시스템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는 이중유리로 되어있는데그 유리 사이에 아르곤가스가 들어있습니다.

집 안의 열은 지붕(천장)에서 70% 정도 빼앗아 갑니다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천장의 단열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뜨거운 열이 천장의 차가움으로 인해 다 새어나가게 됩니다

목조주택은 처마를 통해 지붕 아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됩니다이 공기가 천장을 통해 지붕 용마루로 나가게 됩니다그러니까 공기가 집 안에서 서로 소통하는 것입니다뜨거운 여름지붕 밑 천장 안의 공기 또한 말도 못하게 뜨거울 것입니다그러나 처마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천장을 거쳐 용마루로 빠져나간다는 것은 공기가 흐른다는 것입니다이렇게 흐르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가 집 안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 줌

패널 형태로 공작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방식이렇게 좋은 방식의 집 짓기가 목조주택 시장에서 뿌리내리지 못하는 것은 설계하고 그 설계 검토하는데 6개월 정도의 시간을 갖지 않고 이루어지는 집 짓기 때문일 것입니다

목조주택이 우리의 주택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건축비의 군살을 빼야 합니다그 시작은 지붕에서부터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왜 그렇게 지붕의 선과 면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단순한 것이 아름답다라는 것은 목조주택도 예외가 아닐 것 입니다

2.   목구조양식의 역사

● ballon framing

발룬구조의 가장 커다란 약점은 벽체와 장선의 결합방식이 화염진행을 적적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1,2층에 이르는 부재의 공간이 연통의 역할을 하게 되며또한 스터드가 길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음

● platform framing

플랫폼구조의 장점

  1) 부재의 길이가 짧아지고 가벼워져 작업이 용이

2) 작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벽체를 신속하게 제작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3) 불이 났을 때 1층과 2층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불이 급격하게 이층으로 번지는 것을 지연시키는 역할

● 기둥.보 구조 (post & beam)

지중의 서까래(rafter)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용

부재를 노출시킴으로 발생하는 시공상의 문제점들은 설계에서 충분히 검토되어야 합니다지붕의 경우 전기시설을 하기 위한 또 하나의 지붕이 있어야 전기선을 감추고 단열도 할 수 있습니다

● 중목구조 (heavy timber framing system)

이 구조 방식은 기본적으로 기둥-보 구조와 같습니다가장 커다란 차이는 구조용 목재가 통재(heavy timber)라는 것

중량감 넘치는 제재된 원목이 집의 뼈대는 물론 지붕에까지 시공된 중목구조야 말로 목구조 건축물의 꽃임

엄청난 건축비기술적인 노하우그리고 부재로 쓰이는 목재의 건조상태 등 충족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보이지만 그만큼 매력적인 구조입니다

3.   목조주택이 좋은 점

경량목구조(lightweight wood frame construction) 기본적인 특성

●    가변성과 응용성

뼈대를 구성하는 부재가 가변성을 지니고 있어 거의 모든 양식어떠한 형태의 건축물에서도 쉽게 조립되어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구조의 변경혹은 증축 등에도 어려움이 없습니다

●    내구성과 안전성

주택의 뼈대를 이루는 목재가 갖는 특성은 외부에서 오는 물리적인 충격에 매우 유연하다는 것입니다

 

●    내화성

벽과 천정에 시공된 석고보드는 20분에서 2시간의 내화성능을 지닙니다

●    에너지효율

적절하게 시공된 경량 목 구조는 벽체가 다른 유형의 구조체보다 얇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편입니다무엇보다도 성능이 우수한 인슐레이션(유리섬유)이라는 단열재를 사용

●    차음 효과

우리나라에 지어지고 있는 목 구조 주택의 경우 차음효과에 의문을 갖을 수밖에 없습니다.

벽체의 경우 두 줄의 스터드를 양쪽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거나 1인치의 공기층을 둔 채 두 겹으로 배치하여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4.   한국에서의 목조주택 전망

선진국의 예로 보면 국민소득이 3만불일 때 전원에서 살게 된다고 보면

● 미래의 예측

난방비 걱정도 목조주택에서는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그만큼 단열이 뛰어난 주택입니다

● 현실적인 전망

목조주택이 우리나라에 보급되면서 하자가 많은 집비싼 집이라고 인식된 점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5.   목조주택에 사용되는 공구들

● 개인의 공구

공구주머니스피드스퀘어줄자망치쵸크통연필

● 공동의 공구

nail gun, speed square, tape, hammer, utility knife, chalk line, carpenters pencil, nail puller or cats paw, chisel, tool punch, air compressor, electric cord, sliding saw, air hose, circle saw, framing square

 

목조 주택에 있어서 모든 구조재의 위치는 합판을 붙이기 위한 간격입니다

6.   목조주택의 자재

● 구조재

목재의 등급은 각 개별 목재의 외양과 각종 결점들의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목재 등급 검수원의 시각적으로 검사하여 목재의 등급을 결정

  1) 목재의 갈램(목재가 마르면서 갈라진 틈)

2) 옹이

3) 나무결 등

 

공인 마크 구성

1) 목재의 수종

2) 함수율

3) 등급

4) 생산자 이름

5) 등급 결정 검사협회

 

2 X 4 의 실제치수는 38mm (1 1/2”)X89mm(3 1/2”)입니다. 1인치가 2.54cm이니까 정확한 치수는 5.08cm X 10.16cm가 맞는 데어찌 된 것일까요이것은 건조되지 않은 생나무를 먼저 2 X 4 규격으로 제재해서 건조과정과 대패마감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치수는 실제치수보다 작아진 것입니다

구조재는 주택에 사용되는 곳에 따라 크기가 다릅니다크게 3가지으 크기가 사용되는데벽체용조이스트(장선)지붕용으로 나뉩니다

2 X 4를 공칭치수라 하고, 38mm(1 1/2”) X 89mm(3 1/2”)를 실제치수(actual size)라고 부릅니다

구조재는 함수율이 18% 이내로 건조시킨 건조재를 사용

건조방법에는 s-dry는 자연상태에서 3~4개월 건조시킨 것이고, kd(kiin dry)는 인공건조 시킨 것임

● 구조용 판재

Douglas fir, southern pine, aspen과 같은 수종의 목재에서 얻어지는 장방형(사각형박판으로 제조됩니다일반적으로 4 X 8의 표준 크기를 지닙니다

구조용 판재는 합판과 O.S.B(oriented strand board)입니다이 구조용 판재는 목조주택의 벽체에서 수직하중은 샛기둥(stud)이 부담하고횡 방향 하중은 이 판재가 부담하게 됩니다

plywood

각 박판의 나무결 방향을 지그재그로 교차 접착시켜 강도와 강성을 극대화하고 수축과 팽창을 최소화하는

 

O.S.B

스트랜드라는 손가락 두 개 정도 크기의 나무 입자를 압착한 제품으로 판넬의 강도와 안전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소요 강도를 지니는 합판과 유사한 판상 제품입니다스트랜드는 방수성 수지로 도포되고 압착되어져 구조적 성능을 지니게 됩니다

OSB 4피트(1200mm) X 8피트(2440mm) 규격으로 나오는 데, OSB끼리 서로 팽창하여 간섭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실제로는 1/8인치 작게 만들어 실제치수는 1197mm X 2410mm 입니다따라서 OSB는 사용할 때 항상 3mm를 서로 띄어 주어야 합니다

● 방부목재 (pressure treated wood)

방부목재는 목조주택에서 딱 두 군데 사용되는 목재입니다.

기초판 위에 벽체를 세워두면 콘크리트와 접촉면이기 때문에 나무가 썩을 염려가 있습니다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위에 벽체가 설 자리에 실씰러(습기를 차단해 주는 방숩지이면서 콘크리트와 나무의 사이에 재료 분리의 역할도 한다)를 깔고 그 위에 방부목재를 깔게 됩니다그런 다음 이 방부목재 위에 벽체를 세움

모든 건축물의 기본은 수평과 수직입니다

 

다른 한 곳은 테크입니다

 

나무는 과도한 습기에 노출되면 부패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균류나 해충에 의한 부식으로 발생하게 됨

발생인자

1) 습기

2) 적정한 온도(대개 섭씨 10도에서 32)

3) 산소

4) 나무의 섬유질과 같은 영양분

    

7.   목조주택으로 내 집 짓기

●    목조주택의 모델

내가 짓고자 하는 집을 스케치해 보자

●    입체적으로 모델보기

진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여름에는 햇볕이 집안으로 얼마나 비껴가는 지겨울에는 햇볕이 얼마나 집안 깊숙이 들어오는 지를 알 수 있어야 설계하는 데 반영하게 되고또한 내 집이 완성되어 그 집에 살게 되었을 때 아쉬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8.    집 짓는데 2개월설계하는 데 6개월

●    집 짓기의 시작은 설계부터

집을 지으려면 먼저 건축설계사무소를 찾아야 합니다건축사와 만나 자기가 짓고 싶은 집과 예산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전문적인 조언을 들어야 합니다

예비건축주는 자신이 구상하고 원하는 주택의 밑그림을 최소한 설계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설계자는 이를 적극 받아들이되 구조적으로나 공법적으로 건축주의 무리한 요구가 있다면 대화를 통해 적극 설득하고필요하다면 대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    우리 주변에 왜 예쁜 집들이 없나

좋은 설계에서 좋은 집이 지어집니다건축 자체에 너무 신경을 쓰지 말고 설계하는 데 더 많은 공을 들이라는 말입니다왜냐하면 시공자는 설계 도면대로 지으니까요

주택의 설계는 근복적으로 심미성기능성단순성이라는 디자인의 3요소를 고려해서 완성됩니다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정서와 철학이 반영된 설계여야 좋은 설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9.    완성된 집에 내 터에 앉혀보기

●    시공 전에 검토해야

집이라면 적어도 여름에는 해가 집의 머리 위로 넘어가야 하고 겨울에는 해가 집 안 깊숙이 들어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내 터를 위에서 직접 내려다보면서 진입로라든지 옆집과의 관계라든지 거실의 위치라든지 현관을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한 검토를 해봐야 나중에 집이 완성되고 그 안에 살면서 그나마 아쉬움이 덜하게 됩니다

●    이것이 건축이다

집을 짓는 데는 크게 열 두가지 공정이 필요합니다

집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이랄까 물성은 알아야 하고 전기나 설비 같은 작업에 있어서 가장 신경 써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집의 골격이나 형태는 변하지 않지만 그 곳에 사용된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게 됩니다다시 말하면 그 변화에 따른 자재 선택이 중요합니다

10.  시방서와 공정표

●    시방서는 왜 필요한가?

시공회사가 제대로 된 자재를 써서 공정에 따라 일을 진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문서를 시공회사로부터 건축주가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집은 공정이다

집을 하나 짓기 위해서는 12가지의 공정이 필요합니다건축주가 공정이나 시방서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말고 지혜롭고 유연한 자세가 필요합니다

11.  주택의 기초

●    기초는 어떻게 하나?

건축물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것은 벽체나 지붕 같은 시공상의 문제보다는 기초부분 어디에선가 침하가 이루어졌거나기초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건축물의 기초를 함에 있어서 이 동결선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겨울철에 땅이 얼게 되면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데이것은 냉장고에 넣어 준 맥주가 얼게 되면 부피가 증가하여 맥주병이 깨지는 원리와 같습니다

시공할 때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지역의 기후조건에 따라서 동결선의 깊이를 반영해서 건축에 임해야 합니다

●    기초의 3가지 방법

1) 통기초 (Mat)

터를 파는 깊이는 성토(터가 낮거나 경사져서 다른 곳에서 흙을 가져다가 메우는 작업)를 한 곳이냐 원래부터 있었던 곳이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기초는 필요한 만큼 적절한 방식으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동결선까지는 기초판이 내려가야 합니다

2) 줄기초

기초의 높이가 아무리 높아도 이런 방식으로 하면 기초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습니다

유로폼 작업 후 줄기초 => 그 안에 흙 채움 => 구조체 세움 => 콘크리트 덮개

변형된 줄기초 : 외곽 바깥쪽만 유로폼을 세우는 것 => 내부를 모두 흙으로 채움 => 철근 콘크리트 덮개

줄기초라 할지라도 외벽과 내벽이 서는 곳은 모두 그림에서처럼 기초를 해야 합니다하지만 본문의 설명처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외곽만 용벽으로 하고 그 안에 흙을 채운 다음 매트(덮개판)을 치는 것도 또 하나의 줄기초 방식입니다

비용을 절감하는 것과 부실하게 시공하는 것은 별개의 일입니다.

사실 엄밀하게 따져보면 통기초나 줄기초나 공사금액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오히려 줄기초가 공정이 한 두 공정 더 많은 만큼 비용이 발생한다면 통기초가 더 나은 기초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장의 상황이나 집이 들어설 곳의 경사 여부 그리고 반지하가 있거나 하는 등의 여러 조건들을 고려해서 그곳에 맞는 기초 방식을 택해야 합니다

기초가 차지하는 총건축비의 포지션이 10%를 넘게 된다 (정통 줄기초:30평 남짓 건물)

3) 독립기초

경사지에 집을 짓는 데 그 경사를 그대로 살려서 지어야 하는 경우나 방갈로 같은 기초에 돈을 많이 들일 수 없는 경우통나무집과 같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야 한다든지 하는 경우에 쓰는 기초 방식입니다또 습식이 아닌 건식의 건축방식으로 목조주택을 짓고 싶을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독립기초는 원통으로 많이 합니다그 이유는 이 원통의 틀이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주름관이기 때문

어떤 방식으로 기초를 하든지 획기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목조주택이 습식보다는 건식이 좋다는 전제하에 기초에 지나치게 비용을 들이는 사례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 사람은 방바닥이 따뜻해야 한다는 것입니다.(서양주택은 반지하 건식 용법)

집이 미국에서 발전된 공법의 주택이라 하더라도 한국에 지어질 때는 한국인의 생활양식에 기초해서 지어야 함

●    기초 할 때 체크해야 할 두 가지

1) 피타고라스의 정리

집 지을터가 낮아서 상당한 높이까지 성토를 한 곳이라면 줄기초가 적절합니다그 흙이 시간이 지날수록 가라앉을 테니까요

가로 세로의 길이를 통해 대각의 길이가 정확하게 맞도록 해야 한다는 것

2) 기초판의 수평

기초판의 수평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그런 다음 가장 높은 곳을 기준으로 해서 콘크리트를 어느 높이까지 칠 것인가를 정해 그 위치에 먹줄을 놓음

집은 벽체가 서는 곳에 앵커볼트를 바닥 철근과 엮어서 군데군데 심어놓아야 합니다결국 이 앵커볼트가 그 위에 설 주택과 하나의 몸이 되도록 잡아주는 대단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앵커볼트를 제자리에 오차없이 심어놓는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입니다따라서 정확하게 해 낼 자신이 없으면 후공정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12. 집의 틀짜기

●    기초판 위에 먹줄 놓기

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라면 한가지 구조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실씰러와 방부목 깔기

실씰러는 벽체가 서는 모든 곳에 깔아야 한다이질적인 두 재료인 시멘트와 나무가 직접 닿지 않게 하기 위함

콘크리트라는 무기질 재료가 나무(방부목이라 할지라도)와 직접 닿아 있다는 것은 나무의 손상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따라서 실씰러를 깔아 두 재료를 분리시키는 것이지요

13. 벽체세우기

●    골조용어

밑깔도리(bottom plate) -> 샛기둥(stud) -> 뒷깔도리(top plate0 -> 이중깔도리(double plate) -> 옆막이장선(rim joist) -> 밑깔도리 (2) -> 샛기둥 -> 뒷깔도리 -> 이중깔도리 -> 지붕트러스(roof truss)

그 집의 마감재까지 살펴볼 수 있어야 사전에 건축주와 시공업체간의 분란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벽체용어

내력벽(bearing wall) 윗막이보벽 받침모서리 받침이 있음

비내력벽(nonbearing wall) 보조 윗막이보

작업자의 발이 땅에서 떨어지면 작업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최하 2배의 시간이 걸립니다거기에 들어가는 비용도 당연히 2배겠지요그럼으로 벽체가 제작되면 그 벽체 바깥쪽에 OSB를 대서 세우는 것이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작업이 됩니다

TYVEK(방습지시공은 목조주택의 수명을 좌우할 정도로 세심한 작업으로 벽체가 모두 서면 그 다음에 꼼꼼하고 치밀하게 집을 감싸주어야 제기능과 성능을 발휘합니다

석고보드로 최종 마감되어야 합니다이 석고보드는 단열보다는 내화마감재이기 때문

대개 목조주택 시공팀은 4명으로 구성                                                                 

  1) 구조재를 수치에 맞춰 잘라 주기만 하는 사람

2) 벽체를 양쪽에서 제작하는 두 사람

3) 이쪽 저쪽을 오가면서 일을 거드는 한 사람

팀장 계단 등과 같은 어려운 일을 하고 팀원들에게 맞춤한 일을 지시하여 일의 능율을 높임

14. 목조주택의 차음문제

사실 대개의 건축주들이 목조주택으로 자신의 집을 지을 때 간과하는 것이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필자가 보기에 가장 중요하다 여겨지는 것이 목조주택의 차음일 것입니다사실 이 문제는 시공자나 목조주택을 짓는 업체에서 정확한 실상을 공개해야 합니다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어쩔 수 없이 목조주택이 갖는 구조적인 한계성도 인정해야 목조주택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일보하게 될 테니까요

●    벽체의 차음구조

목조주택의 소음은 어떠해도 콘크리트 주택처럼 막을 수는 없습니다

●    음향전달을 줄이기 위한 시공

STC가 낮을수록 건물의 음향전달 감소 효율이 낮습니다

이중 석고소음찬넬차음보드이중샛기둥지그재그 샛기둥

역으로 말하면 목조주택 설계에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도 소음을 줄이는 데에 시간을 많이 할애해서 설계를 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

방과 방이 단 하나의 벽체로 구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

서로 맞닿은 벽에 옷장을 두거나 욕실을 두어 소음이 곧장 옆방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지대를 두라는 것

●    천장의 차음구조

천정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해 줘야 합니다소리는 그야말로 소리 없이 이곳 저곳에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15. 바닥장선

목조주택에 있어서 장선(joist)은 천정과 바닥의 의미가 있습니다

●    이중깔도리(button plate)

이중깔도리를 지그재그로 깔아줘야 합니다그래야 이 작업의 원래의 의미인 구조적으로 더 힘을 받도록 서로 맞물리도록 끼는 것이지요

●    옆막이장선(Limjoist)

옆막이장선의 작업은 장선을 깔기 위한 전초작업이기도 하고 1층과 2층의 벽체를 연결시켜주며 천장에 단열재를 넣는 공간과 전기선을 넣을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    장선(Joist)

2층을 올리기 위한 작업에 들어갑니다먼저 장선 위에 합판을 깔아야 합니다이 합판은 벽체에 사용되었던 OSB보다 두께가 더 두껍고 서로 요철이 있어 완전하게 결합되는 턱솔접합합판을 사용해야 합니다간혹 이 턱솔접합합판 대신 OSB 합판을 두 장 까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턱솔접합합판을 깔 때는 글루건이나 조이스트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에 시공해야 합니다그래야 사람이 걷고 뛰어도 크게 쿵쿵거리지 않게 됩니다

16. 2층 벽체 올리기

1) 안전입니다

2) 여유 있는 마음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2층의 벽체는 기초의 높이를 포함해서 벌써 3m 이상의 높이에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안전에 유의하면서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2층의 벽체를 세울 때 안쪽은 작업자들이 있지만 바깥쪽은 허공이고 아무도 도와주지 못합니다

지지목이 있어야 2층의 벽체를 세울 때 안심하게 된다

●    2층의 장선 올리기

●    벽체의 완성

실씰러는  콘크리트와 방부목재의 재료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방습지가 깔려 있습니다. OSB로 이 부분을 붙일 때는 실씰러까지 정확하게 붙이지 말고 그 아래로 최소한 10cm까지 내려서 OSB를 붙여줘야 합니다그 위에 붙여지는 마감재는 그곳으로부터 다시 10cm 정도 내려서 시공됩니다

17. 지붕 작업

지붕은 집에 있어서 하이라이트입니다말하자면 집의 꽃이자 맞침표입니다

설계를 하는 사람이 지붕에 대해서 조금만 더 신경 쓰면 집이 전체적인 propotion 비례가 맞아 안정감을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집을 보고 안정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뭔가 잘 못 된 집입니다

●    집의 Proportion

카레가 집의 70%를 덮고 있을 때 그 카레가 시각적으로 가장 맛있게 보인다고 합니다 이것이 비례입니다그리고 이것이 황금분할입니다건축도 예외가 아닙니다건축에 있어서 프로포션즉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의 비례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어떤 비례가 누구에게나 가장 보편적인 프로포션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그것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그들이 만든 신전들을 보면황금분할에 관련되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설계됨

13C 초에 피보나치(pibonacci)가 그 법칙을 찾아 책으로 펴 냈는데완벽한 프로포션이란 0.6180.34:1 ( 5:8)

●    지붕의 물매(경사)

황금분할이란 왜 아름다울까그것은 한마디로 자연의 비율이기 때문이다한옥이 아름다운 것과 같다

지붕의 경사각을 결정하는 여러 요소

  1) 벽체와 지붕의 프로포션을 살표야 함

  2) 단층이냐 이층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3) 주변의 지형도 고려해야 하고

4) 다락이 있느냐 없느냐

5) 거실의 천정을 평평하게 하지 않고 지붕의 경사각대로 경사지게 만드느냐 아니냐 등등

따라서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자기가 지으려고 하는 집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고 다각도로 검토해봐야 함

●    지붕의 종류

박공지붕(Gabel), 평지붕(Flat), 모임지붕(Hip), 나비지붕(Butterfly), 경사지붕(Shed or Skilon), 피라미드지붕(Pyramid), 맨사드지붕(Mansard), 맛배지붕(Gambrel), 독일식모임지붕(Dutch hip)

●    지붕구조의 명칭

마룻대(ridge board) 보통서까래(common rafter) 귀서까래(hip rafter) 골서까래(valley jack rafter) 귀반서까래(hip jack rafter)

●    버드마우스

새 주둥이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 버드하우스는 지붕과 벽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여준다

이 허리케인타이가 벽체와 지붕이 한 몸이 되도록 접어준다

●    지붕의 골조완성

30 2 4 1 7~8일 작업

●    지붕 덮개작업

집의 지붕의 소재를 무엇으로 하든지 OSB 위에 방수 시트를 깔아야 합니다

18. 마감을 위한 준비작업

●    외벽에 타이벡 두르기

벽체에 마감을 위한 작업을 해야 합니다그것은 TYVEK(방습지)를 두르는 작업입니다이 작업은 꼼꼼하게 해 주어야 하는 작업이므로 모든 벽체가 완성이 되고 나면 하는 것이 좋습니다

TYVEK의 특징

 1) 결로의 방지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이 있다

 2) 방수의 기능물에 젖지 않는다

 3) 에너지 비용 절감외부의 찬 공기 침입을 막고내부의 따뜻한 공기의 누출을 막아 기존 단열재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4) 복사열을 차단여름에는 외부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고 겨울에는 따뜻한 공기의 누출을 막아준다

 5) 환경친화적재활용이 가능한 HDP 계통으로 사람이나 환경에 무해하다

 

일반적으로 타이벡은 듀퐁사가 개발한 것으로 공기는 소통되고 물을 투습하지 않아 나무가 주재료인 목조주택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시공해야 합니다또한 이 타이벡을 시공할 때는 아래쪽에서부터 시공하되 특히 겹치는 부분에 주의하면서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이 타이벡을 두를 때는 집 전체(창문이나 문이 들어가는 곳도 예외 없이)를 감싼 다음 문이나 창문에 들어가는 곳의 타이벡을 X자로 잘라 안쪽으로 접어 마무리하게 됩니다

●    시스템창호의 구조

시스템창호가 단창임에도 불구하고 단열과 보온이 우리나라의 이중창보다 뛰어난 것은 유리사이에 들어있는 아르곤가스의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은 창호에 달린 날개에 있습니다

시스템창호의 가장 큰 특징은 창호 중간에 있는 이 날개에 있다이 날개로 인해 시공도 간편하고 무엇보다도 내부의 열을 밖으로 뺏기지 않게 해 준다단창임에도 단열과 보온이 뛰어난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문틀용어

위틀문경첩문지방문짝문틀

●    창틀용어

시스템창호의 가장 큰 특징은 누구나 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작업이 간편하지만 시공할 때 주의할 점은 창호 위아래의 공간을 일정하게 띄워야 한다합판을 작게 잘라서 창문턱 아래에 놓은 다음 창문을 올려 놓는다.

e  위 아래로 몰면 안 될까?

●    계단의 용어

디딤판 챌판 계단참 계단코 계단측판

●    박공벤트처마벤트용마루벤트

목조주택이 과학적인 시공방법을 가진 주택이라 하는 것은 공기의 흐름에 있습니다집 안 천정 위 그러니까 지붕 아래 공간이 있습니다이 공간은 여름에 태양으로 달구어진 지붕을 식혀 실내를 시원하게 하고 동절기에는 천장의 결로현상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차가운 공기나 뜨거운 공기가 머물게 되면 아무래도 집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이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이 바로 처마쪽 천장의 처마벤트와 박공지붕 아래 박공박트 그리고 지붕 용마루에 있는 용마루벤트입니다

처마쪽 처마벤트와 박공의 박공벤트그리고 용마루벤트가 서로 원활히 소통함으로써 공기흐름을 돕게 된다

19. 내부마감

●    단열재시공

목조주택의 단열 성능이 높은 것은 Insullation이라고 하는 단열재 때문입니다

●    석고보드시공

단열재를 넣기 전에 전기 배선작업을 해야 합니다

석고보드를 붙여서 마감하는 것이 추세입니다석고보드를 두 장 붙인다 하더라도 두드리면 퉁퉁거리고 못을 박기 위해서는 샛기둥을 찾아서 박아야 하는데 그러면 못의 위치가 애매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내부마감재

색다른 인테리어를 원한다면 처음 설계에 반영해야 합니다그렇지 않고 내부마감에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20. 외부마감

목조주택에 있어서 필자가 가장 아쉽게 느끼는 부분이 외부 마감재입니다.

비닐사이딩시멘트사이딩베벨사이딩원목사이딩드라이비트빨간벽돌마감 정도입니다

●    비닐사이딩 혹은 시멘트사이딩

●    드라이비트

드라이비트로 마감을 하기 위해서는 전공정과 후공정의 작업을 차질없이 해 주지 않으면 안 됩니다이 공정을 생략하거나 안 하면 금방 때가 타고 먼지가 내려앉게 되고 심지어는 합판 이은 부분이 겉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전공정으로는 외벽에 매쉬를 대고 초벌을 바른 다음에 그 위에 드라이비트를 발라야 합니다.

후공정은 드라이비트 위에 코팅을 하는 것입니다

스타코플렉스는 기존 드라이비트에 비해서 신축성이 2배 정도 좋고 밀착도가 좋아 수축 팽창에 따른 크랙이 가지 않는 특징이 있는 제품입니다

●    베벨사이딩 혹은 원목사이딩

베벨이나 원목사이딩은 나무라는 질감이 주는 따뜻한 느낌이 들지만 처음의 색이 햇볕에 퇴색해지면 주기적으로 목재를 보호하는 도료를 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이런 나무의 마감재는 외벽 전체에 사용하는 것보다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서로 이질적인 재료가 만나는 곳의 처리를 잘 해야 합니다재료분리를 깔끔하게 해야 합니다

지붕재로 올라갈 소재와 전체적인 색의 조화까지 고려

●    빨간벽돌

다른 어떤 마감재보다 우수한 것은 무기질 재료라는 사실입니다

제대로 지은 빨간벽돌 집만이 100그 이상을 갑니다

우리가 흔히 마감재로 사용하는 재료들도 이 햇볕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운가가 대단히 중요한 선택의 기준

빨간벽돌을 외벽에 한 키 쌓기 위해서는 타이벡 대신 슈퍼알이라는 접착면이 있고 그 반대쪽에 미세한 매쉬가 있으면서 숨을 쉬는 제품으로 집 전체를 감싸줘야 합니다.빨간벽돌 한 끼 쌓아서는 완벽한 방수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21. 지붕마감

건축비 같은 부분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다 보니 정작 내 집의 지붕이나 벽체 같은 마감재는 소홀하게 됩니다또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집의 전체적인 조화를 보는 눈이 아무래도 부족합니다

●    기와

기와를 지붕에 올리기 위해서는 두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1) 지붕에 올리는 기와의 색상과 벽체의 마감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

  2) 지붕의 마감은 지붕전문회사에게 맡겨야 한다는 것

●    아스팔트슁글

보편적인 지붕의 마감재입니다가격면세도 그렇습니다수명도 길고 시공도 간편하고 색상도 다양함

●    동 혹은 금속지붕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설계에서부터 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일반적인 박공 형태의 구조가 아닌 좀 더 모던한 주조여야 함

 

22. 건축비 정산

하지만 분명한 것은 싸고 좋은 집은 없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싼 견적보다는 비싼 견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왜 다른 회사보다 비쌀까제 값 받고 제대로 지어주는 회사일 수도 있습니다

●    자재목록

구조재 외장재 내장재 DOOR WINDOW 못과 소모품

●    견적내역서

기초공사 골조공사 창호공사 지붕공사 외벽마감공사 설비공사 전기공사 단열공사 내부마감공사 위생기기공사 바닥공사

옵션인허가를 포함한 설계비상수도 인입비싱크대 데크

●    이 집을 똑같이 짓는다면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