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목구조로 집을 짓는 방법(실무경력자 집필)
실제 시공하시면서 단점 및 주의사항을 잘 기록해 주셨다
본문 요약
머리글
어떤 구조형태의 건축물도 기초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며 철근콘크리트를 모르고 집을 짓게 되면 기초의 부동침하 또는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기초 구조물의 부실로 상부구조물의 유격이 생기고 그 유격으로 인해 누수와 집 내부의 곰팡이와 함께 건강을 해치고 건축물의 수명 또한 현저하게 짧아지게 된다. 심지어 기초 터파기 후 흙바닥 위에 철근을 배근하는 업체, 흙바닥 위에 다공질인 벽돌을 놓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는 업체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어 철근이 부식하게 되면 철근의 체적이 2.6배 늘어나 콘크리트의 군열로 이어진다
목수반장 출신으로 30년 시공 경력의 건축한 교수가 건축 계획에서 완공까지 체계적인 이론과 실무를 바탕으로 셀프시공 지침서로 관계법규, 규준틀 설치, 공구 사용법, 토공사, 기초공사, 구조체공사, 지붕공사, 외부공사, 내부 인테리어공사, 데크공사를 재료의 종류에서부터 시공까지 특별 제본된 책자로 실전적인 교육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를 모르는 시공자는 있어서도 안 되며 설계만 내진 설계한다고 내진 성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제대로 해야 내진 성능이 있다
제1편 건축시공 일반사항
지형적 조건 / 환경적 조건 / 행적적 조건 / 사회적 조건
부지에 대한 행정적 법적 규제사항을 세밀히 검토하고 개발제한구역, 지하수 보전지역 등 검토, 주변지역의 치안상태 등도 검토
먼저 알아봐야 할 것이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지적도상에 나타난 번듯한 도로를 끼고 있으면 문제될 필요가 없겠지만 현황도로나 좁은 연결도로는 사도가 많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도로
- 법정 도로: 국토법에서 말하는 도로법, 사도법, 기타관계법령에 의하여 신설 또는 변경 고시된 도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 법정화 도로: 건축 허가 또는 신고 시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이 위치를 지정 공고한 도로
건축을 하는 지역의 대지가 도시지역이라면 법정도로와 법정화 도로를 접해야 건축 허가를 받을 수가 있고, 즉 지적도상에 나타나 있는 지목이 도로로 되어 있는 도로를 끼고 있어야 된다는 뜻이다
비도시 지역의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의 면지역이라면 현황도로도 건축 허가가 가능하다
하천 제방 위의 포장된 도로는 도로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건축을 하기 위한 도로와 대지
- 건축 대지에 2m이상은 도로에 접해 있어야 하고
- 막다른 도로가 10m 미만이면 도로 연접하는 면이 2m이상
- 10m이상 35m미만이면 3m이상 접해야 한다
- 막다른 도로가 35m 이상이면 도시지역은 6m, 비도시 지역은 4m 이상 접해야만 건축 허가를 받을 수가 있다
- 4필지 이상 단지를 개발시는 면지역이라도 6m이상 도로를 확보해야 한다
<건축법 제2조 1항11호>
건축법상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만 확보되면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지만 溝渠 또한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 溝渠가 없으면 생활 하수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
자세한 사항은 시, 구, 군 사무실이나 건축사 사무실에 문의를 해야 한다
구거점용허가는 신청만 하면 다 나는 것은 아니다. 점용허가가 나지 않는 지역도 있으므로 반드시 관할 관청에 문의가 필요하다
농지전용 절차: 농지전용허가 신청서 작성e시, 군청 민원실 제출e농지전용 허가 심사(10일)e허가 수수료 5,000원
농지전용 부담금: 공시지가의 30%를 세금으로 내게 되는데 상한가는 1m²당 50,000원
산지전용 대상 ? 농림어업인의 주택시설과 그 부대시설의 설치
산지전용 부담금: 임야면적 * (단위면적당 금액 + 공시지가의 1%)
<단위면적당 금액>
준보전산지: 6,860원/m²
보전산지: 8,910원/m²
산지전용 일시 제한지역: 13,729원/m²
*산지전용 부담금은 해마다 다르므로 2020년 자료임
건폐율: 건축물이 땅 위를 차지한 면적
용적율: 지하층 및 1층 70%이상을 주차전용 공간으로 사용하는 피로티 공간을 제외한 각층 바닥면적의 합계, 대지의 크기에 비해 얼마나 많은 면적이 이용되는지를 나타낸다
연멱적: 사람이 실제 사용하는 면적으로 지하층을 포함한 각층 바닥면적의 합계
- 전용주거지역: 건폐율 50%이하 용적율 100%이하
- 제1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60%이하 용적율 200%이하 저층 주택
-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60% 용적율 150~200%이하 중, 고층주택
- 제3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50% 용적율 200~300%이하 고층주택
- 준주거지역: 건폐율70%이하 용적율500%이하
- 일반상업지역: 건폐율 70%이하 용적율1,000%이하
- 중심상업지역: 건폐율 90%이하 용적율1,500%이하
- 녹지지역: 건폐율 20%이하 용적률 100%이하
- 생산, 보전관리지역: 건폐율 20% 용적율80%이하
- 계획관리지역: 건폐율 40%이하 용적율 100%이하
수기로 계획도면을 작성한 후 건축주의 협의가 되면 기본도면을 작성하게 된다
기본설계라 함은 쉽게 말해 인허가를 받기 위해 인허가 기관에 제출하는 도면을 말한다
일괄계약 방법 / 직용계약 방법 / 실지정산 방법
실비 정산에서 가끔 공사업자들이 덤터기를 씌우려고 하지만 견적단가는 관급공사든 민간공사든 변경이 불가하며 견적 잘못으로 인한 손실은 유책사유로 시공자가 책임져야 한다
관급공사는 청렴계약서라 하여 발주청에서 작성해놓은 서식에 따라 발주청의 요구대로 첨부서류를 갖추어 공사계약을 하고 시공을 하는 것이다
계약서에 필수적으로 기재되어야 할 사항
- 도급인과 수급인
- 건축물의 위치와 규모
- 건축물의 공사기간
- 공사금액과 대금 지불방법
- 안전사고 방지이행에 대한 조치 및 책임관계
- 계약 및 하자담보 이행에 대한 책임관제
- 계약 당사자간 직인 날인 및 계약일자
민간공사계약서 첨부서류
- 설계도서(도면, 내역서, 시방서)
- 단독주택은 기본 내역서가 없으므로 시공자의 상세견적내역과 시공자가 국토부 표준시방서를 근거하여 작성한 시공방법, 즉 시방서
- 계약이행 보증증권(서울보증) 공사금액의 1~2%
- 하자이행 보증증권이나 이행각서(서울보증) 공사금액의 1~2%
- 사업자등록증 사본
- 건설업 등록증 및 사본 및 수첩
- 사용 인감계 및 인감
- 법인 등기부등본
- 안전관리 수칙 산업안전 보건법을 적용한 시공자가 작성한 현장수칙
관급공사계약서 첨부서류
- 공사 청렴계약서 2부: 관공서에서 작성 50~100페이지 정도
- 공사계약 특수 조건: 관공서에서 작성
- 공사계약 이행 각서 또는 증권
- 안전관리 계획서: 업체에서 작성
- 사업자등록증
- 건설업등록증
- 건설업등록 수첩
- 사용 인감계
- 법인 인감증명서
- 법인 등기부 등본
- 총괄 내역서: 관공서에서 설계용역으로 작성
- 도급내역서: 총괄내역에 낙찰률을 적용한 내역서로 시공자가 작성
착공신고 첨부서류
- 착공 신고서
- 계약서: 시공자 계약서, 설계자 계약서, 감리자 계약서
- 설계도서: 설계도면, 내역서(견적내역서), 시방서 등
- 공사 예정공정표
- 현장 관리자(현장 대리인) 신고서
- 현장대리인 재직 증명서
- 기술자 수첩사본(현장대리인)
건축허가는 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1년 이내 공사를 착수, 6개월씩 두 차례 연기 가능
제2편 도면 파악
중심선 간격을 치수선으로 표기
파선(점선)은 숨어 있는 것과 배선 배관을 나타낸다
일자쇄선은 건축물의 중심선을 표시한다
이점쇄선은 경계선을 나타낸다. 대지경계, 동경계, 읍면경계 등
D100@300: 지름 10mm 철근이 중심과 중심간격이 300mm로 일정하게 배치
Φ30@300: 지름 30mm인 파이프의 중심과 중심간격이 300mm로 일정하게 배치
제 3 편 건축목공 현장안전(가설공사)
현장안전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근로자의 안전
-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시설물안전
외부비계는 구조체에서 30~45cm 떨어져서 쌍줄비계 설치
비계다리 설치기준
- 비탈면의 경사각은 30도 이내로 하고 미끔럼막이 간격은 30cm이내
- 경사로의 폭은 최소 90cm 이상
- 길이가 8m 이상일 때 7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낙하물방지망 설치기준
- 낙하물방지망 설치는 높이 10m이내 또는 3개층마다 설치
- 낙하물방지망의 내민 길이는 비계의 외측에서 2m 이상 방지망의 겹침 길이는 150cm이상으로 하고 수평면과 방지망의 경사 각도는 20~25도 이내
제4편 건축공사(건축목공) 시공계획
시공계획서에서의 공사순서
- 연속적인 공사와 간헐적인 공사의 배치를 잘하여야 공정 마찰을 줄일 수 있다
공정계획 작성 시 문제점과 유의사항
- 항상 투입시점과 공사 중 이벤트를 기록하고 수시로 확인
- 할 수 일만 계획한다
“평당 얼마입니까?”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건축비는 건축 예산에 맞추어 공사하는 것
제5편 시공 준비
세부공정표(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자원 5M: 자재관리, 자금관리, 장비관리, 노무관리, 공사관리
Materials, Money, Machines, Manpower, Method
5M |
분 석 항 목 |
Manpower |
직원들의 업무 능률은 적절한가? 직원들의 책임과 역할이 분명한가?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있는가? |
Materials |
상품 제조를 위한 자원의 공급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자원은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가? 갑작스러운 수요증가에 대비할 수 있는 재고는 충분한가? |
Money |
비즈니스를 위한 현금 보유고는 충분한가? 현재 자본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얼마나 되는가? |
Machines |
기계는 조직의 생산성을 얼마나 증가시키는가? 기계의 가용 가능한 기간은 어는 정도 되는가? 기계를 유지보수하는 비용은 얼마나 들어가는가? |
Method (체계) |
조직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화는 무엇인가? 조직의 시스템은 얼마나 효율적인가? 관료주의적인 체계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은 얼마나 되는가? |
콤푸레샤
- 내외장 목공은 보통 3HP 또는 2.5HP를 많이 사용한다
- 1개월에 1~2회 정도 에어탱크 하단부에 있는 배수 밸브를 열어 물을 빼 준다. 물을 빼지 않으면 에어공구 사용 시 물이 묻어 나오기도 하고 특히 동절기에는 탱크 내부가 얼어 콤푸레샤 작동이 되지 않으며 심한 경우 에어탱크가 터지는 경우도 있다
타카
- 422타카
사용되는 핀은 스테풀형이며 폭이 4mm 길이가 22mm이므로 422이라 부르며 핀의 종류는 422, 415, 49, 46 등
석고판을 붙이거나 5mm이하 합판 MDF 등 얇은 판재를 취부 시에 사용
49,46핀은 주로 이미지월 부분에 사용되는 패브릭 원단을 붙일 때 사용
- F30타카
사용되는 핀은 F30이라 부르며 일자형이며 길이가 30mm
핀은 F30, F20, F15, F9 등 다양
9mm 이상 두꺼운 판재를 취부 시에 사용하며 특히 마감 면이 깨끗하여 인테리어 공작물 제작 사용
- 630 타카(실타카)
30mm 25mm, 20mm, 18mm, 15mm, 9mm, 6mm등 다양하다
부재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다른 핀을 사용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노출 시멘트보드 접합용으로 스텐 재질로 된 핀이 사용되기도 함
주로 몰딩이나 레핑판을 취부 시에 사용되며 못의 머리 부분이 보이지 않아 최종 마감 부분에 사용
- 64 대타카(왕타카)
DT핀과 ST핀이 사용되며 핀의 길이는 64mm~18mm로 부재의 두께에 따라 사용되는 핀의 길이 또한 다양하다
DT핀은 목재와 목재를 접합 시에 사용된다. 주로 벽틀 또는 반자틀 제작 시에 사용되는 핀
ST핀은 목재를 콘크리트에 접합시나 목재를 강재에 접합 시에 사용되는 핀이며 재질은 스텐이다
- 레일건
목조주택에서 레일건은 필수 조건
구조체 공사에 사용 90mmn 못을 박는 타정기로 구조목의 두께가 38mm로 일반64타카로는 접합이 불가능하다
붙이는 부재의 두께보다 못의 길이 12~23정도가 고정된 부재에 박혀야 못의 부착력이 제대로 발휘된다
재6편 가설공사
공사순서로는 가설공사 e 토공사(터파기,되메우기) e 지정공사 e 기초공사 e구조체 공사 e 지붕공사 e 외부공사 e 내부공사 e 부대공사
공통 가설공사(간접적 역할): 가설물, 가설 울타리, 가설 운반로, 공사용수, 공사용 동력, 시험조사. 기계기구, 운반 등
직접 가설 공사(본 건물 축조에 직접적 역할): 대지측량, 규준틀, 비계, 건축물보양, 보호막설치, 낙하물방지망, 건축물 현장정리, 먹매김
Bench Mark
- 건축공사 중 높이의 기준이 되거나 건축물 인근에 설치하는 표식
- 바라보기 좋고 공사의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 건물 부근에 2개소 이상 지반면(GL)에서 0.5~1m정도 위치에 설치
- 공사착수 전에 설정하며 공사 완료까지 존치한다
- 현장일지에 위치를 기록해 둔다
규준틀
- 수평규준틀: 기초 파기와 기초 공사 시 건물 각부의 위치, 높이, 기초너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과 변형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한다
- 세로규준틀: 조적공사에서 높낮이 및 수직면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이 없도록 유지관리에 주의한다
제7편 토공사
터파기는 자연상태의 흙을 파 내려가기 때문에 흙의 성질, 형상에 따라서 굴착부위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터파기 할 때는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얕게 파는 경우는 적당한 경사면을 주어 팔 수도 있다
흙의 전단강도: 전단강도란 기초의 극한지지력을 파악할 수 있는 흙의 가장 중요한 역학적 성질
지반조사법
- 지하탐사법: 터 파 보기, 찔러 보기, 물리적 탐사
- 보링공법: 철관 박아 넣기, 시료채취, 관입시험, 베인 테스트
- 토질시험: 불교란 시료 채취
- 지내력시험: 하중시험
토질에 따른 터파기 경사도(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 제1항 별표7)
토질 |
경사도 |
경암 연암 모래 모래진흙 사력질흙, 암괴 또는 호박돌이 섞인 모래질흙 점토, 점성토 암괴 또는 호박돌이 섞인 점성토 |
1 : 0.5 1 : 1.0 1 : 1.8 1 : 1.2 1 : 1.2 1 : 1.2 1 : 1.5 |
어스앵커공법의 단점: 단가가 다소 높으며 인근 구조물이나 지중 매설물에 따라 시공이 어려워지기도 하고 인근 지반 침하의 위험성이 존재해 주변 건축주 및 도로 관리자에게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한다
기타 터파기공사 유의사항
▶ 공사 착수 전 준비사항
- 지하매설물의 위치 확인
- 수평규준틀을 설치하여 건물의 위치 확인, 2개소 이상의 Bench Mark를 설치하고, 배치도에 의한 정확한 규준틀 작업
제8편 지정공사
기초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반개량을 하는 공법으로 다짐공법,탈수(배수)공법, 고결공법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터파기 완료 후 지정공사를 하게 되나 배수공법은 터파기 이전에 한다
- 배수공법
- 웰포인트 공법
단점: 펌프의 양정에 따라 깊이 7m 이상에서는 곤란하다
- 샌드드레인 공법
모래말뚝 형성 후 지반 중 물을 유출시키는 공법
- 페이퍼드레인 공법
모래대신 흡수지를 사용. 시공속도가 빠르고 공사비가 싸다
- 잡석지정
다짐: 길이 1m의 D19철근을 1m 높이에서 힘껏 내려찍었을 때 깊이 10mm 이상 흙이 패이면 다짐 불량이다
- 말뚝지정
제9편 기초공사
수화열 저감대책
-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및 철근에 살수
- 다짐철저 및 마무리 시간 단축
- 하계에는 오후 및 야간 등 비교적 낮은 온도에 타설
- 타설과 동시에 양생제 및 비닐을 쳐서 바람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온도의 급격한 온도 저하를 방지
수화열에 의한 균열: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가 높아 팽창하려는 성질이 있으나 표면은 온도가 낮아 수축하려는 성질이 있어 이때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며 허용인장응력 초과시 균열이 발생한다
어떤 기초든 버림콘크리트는 25-14-12로 타설하고 기초판, 기초벽, 바닥판 등은 25-24-12이상의 콘크리트로 타설하며 반드시 철근의 피복두께는 유지시켜야 한다
맨앞 25는 최대골재치수, 중간의 14,24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끝의 12는 반축질기이다
제10편 철근콘크리트구조(Reinforced Concrete)
팽창 시멘트: 수축율 20~30%감소, slab균열 제거용, 이어치기 콘크리트용
철근 방청상 염분이 0.04% 이하의 해수는 무방하다. 무근 콘크리트는 해수를 사용해도 된다
혼화재: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계산에 관계되는 것
혼화제: 사용량이 적어서 배합 계산에서 무시(시멘트 사용량의 1% 미만
물 시멘트 비
-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많이 영향을 준다
- 물이 많으면 반죽 질기는 좋으나 강도가 저하되고 재료분리 현상 발생
보의 띠철근인 스트럽은 135도 갈고리로 해야 함에도 90도 갈고리로 하는 것은 부실공사다
표준갈고리 12d b
현장 철근팀장들이 보통으로 사용하는 정착길이
구분 |
압축력 |
인장력 |
보통콘크리트 |
25d 이상 |
40d 이상 |
경량콘크리트 |
30d 이상 |
50d 이상 |
위치계수: 상부철근(이음길이 300초과) 1.3, 일반철근 10
기초바닥 슬래브는 복배근일 경우 상부근은 인장근이고 하부근은 압축근이다
보 또는 상부 슬래브의 양단부는 상부근, 중앙부는 하부근이 인장철근이다
최소 정착길이는 8d이상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인장력이 적은 곳에서 이음을 하고 동일 장소에서 철근수의 반 이상을 잇지 않는다
D29이상의 철근은 겹침 이음을 하지 않는다
보의 철근 이음은 상부근는 중앙, 하부근은 단부에서 한다
기둥의 주근: 기초에 정착
보의 주근: 큰 보에 정착
철근의 조립순서
- 철근 콘크리트조: 기둥 e 벽 e 보 e 슬래브
-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기둥 e 보 e 벽 e 슬래브
철근의 피복두께
- 공기 중에 노출되는 부분 40mm
- 흙에 영구적으로 묻히는 부분 80mm이상
- 수중에 영구적으로 묻히는 부분 100mm이상
철근과 철근 최소간격 결정
- 주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 2.5cm 이상
-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4/3(1.33)배 이상 셋 중 큰 값
가스압접: 접합하는 두 부재에 1,200~1,300의 열을 30Mpa의 압력을 가압하여 접합하는 것 (단점: 철근공과 용접공의 동시 작업으로 혼돈의 우려가 있으므로 숙력공이 필요하다
미국의 콘크리트 건축물 수명은 100년으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슬래브 철근 피복두께를 40,mm로 하고 있어 알칼리성 콘크리트가 공기 중에서 중성화가 되어 가는 과정이 100년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아파트 슬래브 피복 두께가 25mm로 콘크리트 중성화가 되어 가는 기간이 40년으로 따라서 아파트 재건축 년한이 40년이 정답이다
스트럽(늑근) 설치 목적: 전단력 보강, 주근의 위치 고정, 주근의 좌굴방지
후프(기둥의 띠철근)
- 후푸철근의 정의를 보면 “폐쇄띠철근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폐쇄띠철근은 양단에 내진갈고리를 가진 여러 개의 철근으로 만들 수 있음.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은 그 양단에 반드시 내진갈고리를 가져야 함)”으로 되어 있다
- 내진갈고리의 정의를 보면 “ 지름의 6배, 75mm 이상의 연장길이를 가진 135도 갈고리로 된 스터럽, 후프철근, 연결철근의 갈고리”로 되어 있다
- 연결철근의 정의를 보면 “한쪽 끝에서는 적어도 지름의 6배 이상의 연장길이(또한 75mm 이상)를 갖는 135도 갈로리가 다른 끝에서는 적어도 지름의 6배 이상의 연장길이를 갖는 90도 갈고리가 있는 철근”으로 되어 있다
거푸집에 폼타이를 폼 1장에 3개씩 절대 누락 없이 체결
수직거푸집용 PVC스페이서를 폼 1장당 1개씩 최외단 철근에 끼우고 반대쪽 거푸집을 설치한다
동결지반 위에는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동바리를 지반에 설치할 경우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두께 45mm 이상의 받침목, 전용 받침 철물, 받침판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파이프서포트는 높이 2m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설치하여 변위 방지조치를 해야 한다(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332조)
스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붕괴사고는 가새설치 생략으로 발생한다
단변방향의 철근이 주철근이고 길이방방향의 철근을 온도철근 또는 배력근이라 한다(주근 먼저 설치)
콘크리트 타설 전 점검사항
- 급,배수 오수 등의 설비배관 상태 확인
- 전선입선 상태 확인
- 철근의 피복 두께 확인
- 콘크리트의 종류 및 사양
- 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
- 4주 압축강도: 21Mpa, 24Mpa
- 슬럼프: 12cm
콘크리트 타설계획
- 타설계획서 작성
- 펌프카 위치, 믹서트럭 배치, 신호수 및 안전간판 배치 등 표기(도면)
- 레미콘 품질사항 기록
-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작성
- 콘크리트 펌프카
- 콘크리트 믹서트럭(신호수 포함): 누락시켜서 고노부 점검 시 지적당함
- 도로점용허가 및 경찰서 신고
- 대기차선에 대한 도로 점용(구청)
- 작업사항 경찰서 신고(미 신고시 범칙금 발부)
- 레미콘 생산시간에 맞춰 타설 계획 수립
콘크리트 다짐시 다짐봉이 거푸집에 닿지 않도록 한다. 거푸집에 닿으면 거푸집에 물방울이 발생하여 거푸집 제거 후 기포자국(물곤보)이 생긴다
다짐봉을 철근에 닿지 않도록 한다. 철근에 닿으면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콘크리트 양생
- 급격한 수분 증발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후 4시간 경과 후 비닐이나 부직포로 덮어 수분증발을 방지하고 수축균열을 방지해야 한다
- 시멘트는 수경성 재료로 수분이 있어야 경화가 되며 압축강도가 제대로 나온다
- 일사광에 노출시키면 급격한 수분증발로 균열이 생기고 굳는 것이 아니라 건조가 되어 압축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거푸집 해체시기
- 만곡강도는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경과 후 압축강도를 말한다
- 거푸집 존치기간 계산은 콘크리트 경화 중 최저 기온이 5°C 이하로 되었을 때 1일을 0.5일로 환산하여 존치기간을 연장한다
- 기온이 0°C 이하일 때 존치기간을 산입하지 않는다
이형 철근의 할증률 3%를 적용하면 된다. 정미수량 + 할증률 = 철근소요량
제11편 경량목구조
목재는 무게가 가볍고 가공이 쉽고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의 13배로 구조재로 사용할 수 있다
목구조는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우수하나 부재의 조립과 접합방법 여하에 따라 견고 또는 약하게 될 수 있다. 일명 가구식 구조이다
수십 년이 가도 변형되지 않고 원형이 보존되며 시공성이 좋고 정밀성이 충족됐을 때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목조주택의 장점
- 단열성: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다
- 시공성: 목재는 인장 강도가 압축강도의 13배에 달하고 비중은 0.6으로 가볍고 부드럽고 가공이 쉬워 시공성이 좋고 공사기간이 짧다
- 친환경성: 목재는 목재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으로 인하여 아토피성 질병이나 새집증후군으로부터 안전하다
- 내진성: 가구식구조로 내진성능이 우수하다
목조주택의 단점
- 화재로부터 취약하나 화재 시 인명피해는 콘크리트 건물보다 적다. 또한 방염처리로 화재로부터 안전성이 보장된다
- 내습성: 습기에 취약한 점이 있으나 레인스크린, 벤트 등 통풍이 잘되는 구조로 해결가능하다
- 목구조는 전문기술자가 필요하다. 기술의 정도에 따라 수명이나 수평력 등 현저한 차이가 난다
먹매김 e
상세도면 검토하기 e
토대설치
- 먹선에 따라 실실러를 설치한다
(실실러는 콘크리트에서 올라오는 수분이 목재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
- 토대는 방무목을 사용
안카볼트 위치를 토대목에 표시한 다음 표시된 위치에 드릴로 천공한 뒤 토대목을 안카볼트에 끼워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
- 토대목 위에 볼트를 잘라내고 구조목을 토대 위에 얹어 볼트머리를 표시한 후 안카볼트 너트자리를 파낸 다음 5인치 또는 6인치 대패로 밑깔도리(구조목)을 깎아내어 수평을 맞춘다
L형 토대 고정 볼트 주목적은 상항력과 횡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사용
장선: 바닥, 천장,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일련의 수평 구조부재, 규격재나 공학 목재를 사용한다
끝막이 장선: 장선 끝면과 직각으로 고정하는 수평부재
밑깔도리: 스터드 하단 끝면에 스터드와 직교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구조부재
장선띠장: 장선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선 하단에 접합하는 수평 가새, 가는 부내를 사용
보: 바닥과 지붕의 장선을 지지하는 큰 치수의 구조부재
바닥덮개: 장선의 윗면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목질판재(침엽수 합판, OSB)
스터드(샛기둥): 외벽 또는 내벽 골조에 사용하는 수직부재
위깔도리: 스터드의 상단 면에 스터드의 직교방향으로 설치하는 가로 부재로 윗막이 보
장선가새: 바닥장선 사이에 설치하는 짧은 대각선 가새. 장선의 좌굴방지
트러스: 지붕과 그 위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구조로 절충식 지붕틀이라고 한다
서까래: 지붕과 외력 즉 적설하중 등을 지지하는 경사부재로 장선과 조합되어 일종의 트러스 역할을 하는 부재
구조재 규격
명칭 |
규격(mm) |
사용용도 |
투바이투 |
2*2=38*38 |
주로 난간봉 또는 기타보강용으로 사용 |
투바이쓰리 |
2*3=38*63 |
지붕덮개 위에 서까래 간격으로 시공 후 단열재 삽입 후 OSB 부착 후 지붕마감 용 |
투바이포 |
2*4=38*89 |
내부칸막이 및 난간봉 지지대용 |
투바이식스 |
2*6=38*140 |
서까래, 데크마루 장선, 처마도리, 외부벽체, 난간손잡이용 |
투바이에잍 |
2*8=38*185 |
바닥장선, 서까래, 마루대, 처마도리, 기타 |
투바이텐 |
2*10=38*235 |
바닥장선 바닥 위 하중고려하여 사용 |
투바이투웰브 |
2*12=38*285 |
계단재로 사용 |
포바이포 |
4*4=89*89 |
난간기둥, 기타 |
식스바이식스 |
6*6=140*140 |
정자기둥 기타 |
원바이 에잍 |
1*8=19*185 |
박공용 |
원바이 텐 |
1*10=19*235 |
박공용 |
데크용판재(마루판) |
35*3600*15 |
보통 업소 앞에 설치된 마루판 |
데크용판재(마루판) |
120*3600*19 120*3600*21 |
전원주택 테크용 |
구조용 판재 규격
합판 4*8 |
규격(mm) |
OSB 4*8 |
규격(mm) |
규격(inch) |
1220*2440*3 |
1220*2440*7.9 |
4*8*5/16 |
||
1220*2440*5 |
1220*2440*9.5 |
4*8*3/8 |
||
1220*2440*7.5 |
1220*2440*11.9 |
4*8*15/32 |
||
1220*2440*8.5 |
1220*2440*12.7 |
4*8*1/2 |
||
1220*2440*12 |
1220*2440*15.1 |
4*8*19/32 |
||
1220*2440*15 |
1220*2440*18.3 |
4*8*23/32 |
OSB는 구조용 보강재로 사용되며 합판보다 단열이 우수하여 목조주택에 사용된다. 국내에서 목조주택용 OSB판재는 두께 11.9mm와 18.3mm 두 가지만 사용
탑플레이트 하나만으로 하중부담에 무리가 가므로 보강 차원에서 밑깔도리를 설치한다
도면상의 특기가 없는 경우 장선의 방향은 지간거리가 작게 되는 방향으로 한다
샛기둥(Stud) / 깔도리(Plate) / 윗막이 보(Header) / 서까래(래프터,Rafter) / 마루대(Ridge Beam) / 대공(그랜디, Grandee) / 마구리장선(월,Whorl)
장선의 길이가 긴 경우 2m 이내마다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장선부재와 같은 부재로 블로킹을 설치한다
조립(Nailling): 사용되는 못은 타정기를 이용할 경우는 90mm 아연도금 못 사용
망치를 이용할 경우 나선형 아연 못 (일명 꽈배기 못)
OSB 부착: 4*8*11T 또는 4*8*18T를 부착하여 30mm 이상의 피스나 나선형 못
구조부재는 침엽수를 사용한다. 침엽수는 목질이 부드러워 건조수축에 대응할 수 있어 구조용으로 사용하고 활엽수는 목질이 단단하여 가구용이나 내장재로만 사용 가능하다
지붕구조물 시공순서: 대공 설치 e Ridge Beam 설치 e 서까래 설치 e 처마돌림 e 박공(Face Board) 설치 e 합판부탁(OSB) e 후레싱, 물받이 설치 e 아스팔트 시트방수 e 슁글 마감
마루대는 서까래 치수보다 한 치수 큰 것 또는 같은 것을 사용
대공의 높이는 양쪽 처마끝 단 수평 방향 넓이의 1/4로 한다
대공은 지붕처마 넓이의 1/4, 이유는 우리나라 태양의 남중고도각이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30~36도로 일사량을 가장 많이 받는 각도이다(도리에서 지붕경사면각도 약32도)
OSB 부착은 아연피스(나사못)으로 30cm 간격으로 박아 부착한다
OSB 부착 시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500원 동전 두께 정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자착식 시트방수
- 자착식은 시트지를 OSB 표면에 지붕의 길이방향으로 100mm씩 겹쳐서 깔면 된다. 지붕 덮개 습기 침투 방지를 위해 지붕 양쪽측면 후레싱 부분은 아스팔트 프라이머칠을 하는 게 안전하다
- 방수지 1롤의 규격
두께는 1mm, 1.5mm, 3mm이고 폭은 1m, 길이는 10m로 10m²이나 실제 시공은 9m²이다. 목조 지붕에는 두께 3mm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시트방수 시 주의사항
- 기온이 5°C 이하는 작업을 중지해야 한다. 부착력 저하로 방수기능이 저하된다
- 자착식시트, 개량아스팔트시트 모두 다 후레싱과 물받이 또는 지붕 끝단 부분에는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바르고 시트지를 붙여야 한다. 이유는 빗물이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고 측면에서 치기 때문에 실험결과 수분이 OSB판재에 스며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어떤 종류의 방수라도 하자의 원인은 바탕청소에서 발생하므로 바탕청소를 잘 해야 한다
아스팔트 시트방수 표준시방서
- 방수용 재료
- 프라이머: 프라이머는 솔, 고무주걱 등으로 도포하는 데 지장이 없고, 8시간 이내에 건조되는 품질의 것으로 한다
- 개량 아스팔트 시트
- 보강 깔기용 시트
- 점착층 부착 시트: 뒷면에 점착층이 붙은 것으로 토치의 불꽃에 의하여 그 자체 및 단열재가 손상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한다
- 실링재: 실링재는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로 한다. 정형 실링재와 부정형 실링재가 있다.
- 관련 재료
육각 슁글, 사각 슁글은 수명을 20년으로 본다
이중그림자슁글은 수명을 40년으로 한다
박공벽(gable wall)의 스터드 간격은 벽틀(Wall)의 스터드 간격과 동일하게 하고 양측벽 박공벽에 밴트를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 외부의 통풍을 유지시킨다
방습지 시공
- 길이방향, 즉 횡방향으로 겹쳐서 타카로 부착하고 이음부는 방습지 부착용 테이프로 접착시킨다
- 방습지는 외부에서 발생한 습기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는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창호공사
- 창호의 창틀 바깥쪽에 고정할 수 있는 날개가 있고 건물 외부 쪽으로 날개로부터 25mm정도 돌출되어 있다. 사이딩 마감재를 시공 후에 몰딩 설치를 하면 그 두께가 맞아진다
- 시스템 창호는 주문 제작이 되지 않으므로 건자재 업체에 미리 그 치수를 알아 보고 개구부를 만들어야 한다
- 유리의 두께: 일반창(16mm Pair Glass,Grid 포함) / Patio Door(18mm Pair Glass Grid 포함)
- 창호 개구부의 크기는 창호 크기보다 10~15mm 정도 여유 공간 확보
- 창호 주위의 방수처리가 되어야 한다
- 시공: 방바닥이 지면에서 높이가 1m 이상이면 창틀 하단부 높이는 1.2m로 한다(건축법)
- 창호날개에 못을 박는다(창호 윗면날개에는 못을 박지 않는다)
외부 도어공사
- 골조 공사 시 문짝 크기에 상,하,좌,우 1cm 씩 넓게 개구부를 뚫어 놓는다
- 문손잡이를 바닥에서 1,000mm 높이에 설치한다. 문틀 주위를 철저히 독일산 피셔폼 작업을 한다
최근에 목조주택 외부 마감재를 드라이비트, 스타코 등 마감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드라이비트 및 스타코는 방수기능이 없다는 점과 또한 방수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OSB판재 외부에 방수시트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목재의 통풍에 문제가 있어 목재를 쉽게 부패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는 점을 참고하여 통풍 대책이 필요하다
시멘트 사이딩: 레인스크린 설치 후 시공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이유는 방습이나 단열 부분에서 훨씬 더 유리하다
아이큐브사이딩 시공
- 하지철물 금속재는 50*50*1.6T를 사용하고 목재는 2*2(38*38) 이상을 사용한다
- 하지 간격은 450mm 이내로 하되 패널 접합부와 코너는 이중으로 설치한다
패널시공: 패널은 뒷면은 공기유통을 위한 20m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나 현장 여건에 따른다
스크류 시공은 먼저 드릴로 구멍을 뚫은 다음 레일건으로 못을 박든가 스크류를 박고 실링재로 표면 처리하거나 퍼티작업 후 페인트로 스크류 자국을 없앤다
건축법상 처마는 건축물 중심선에서 처마길이가 1m 이내는 건축면적에 산입되지 않으니 건축재료의 소모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사업자들은 처마길이를 600mm 이내로 한다
루바 종류는 대개 120*2400 또는 120*3600
처마반자를 선시공하게되면 사이딩 마감재를 반자 높이에 맞추어 정밀하게 재단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처마반자를 후시공하는 것이다
바닥공사
- 방바닥 시공부터 먼저 한다(습식이기 때문에)
- 온수파이프의 난방열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로품, 질석단열재, 기포콘크리트 중에 한 가지를 50mm 이상 바닥에 깐다
- 차광막은 균열방지를 위하여 짚을 썰어 넣었던 것과 같은 역할을 하며 방바닥의 균열방지를 한다
- 몰탈의 두께는 온수온돌 파이프 상단에서 24mm 이상의 두께가 되어야 한다
- 내부마감 공사를 선 시공하는 자들이 있는데 내부마감 공사를 선 시공하면 시멘트몰탈의 수분이 OSB 또는 석고보드에 흡수되어 훗날 벽지 하단부 및 장판 밑에 습기가 차고 곰팡이가 피는 원인이 된다
- 방바닥 몰탈 두께는 국토부 표준시방서상 바닥 미장은 두께 24mm로 하도록 되어 있으며 미장두께가 얇으면 온수파이프 자리만 따뜻하고 열이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으며 시멘트의 응력 부족으로 온수파이프 자리가 균열 또는 파손된다
단열재
- Fibre Glass R ? Value 단열재
R수치가 높을수록 단열성능이 좋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그라스울의 밀도는 k로 표시하고 24k는 1m²에 유리가 24kg이 사용됐다는 것이다
단점: 수분 흡수 시 골조에 영향을 준다. 시간이 지나면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우레탄폼 단열
연질우레탄폼은 경질보다 밀도가 낮고 단열성은 떨어지나 수용성으로 건강에 좋다고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단점: 화재에 취약하다. 해충의 번식처가 될 수 있다
- 비드법 스티로품(EPS 보드)
- 알출법 스티로품(XPS 보드)
- 열반사 단열재
단열을 위한 중공벽에 공기층이 필요하다
R-Value에 따른 치수
R-Value |
Thickness |
Width |
Length |
사용처 |
R-21-15 |
140mm |
381mm |
2362mm |
외벽 |
R-30-16 |
260 |
406 |
1219 |
천장 및 바닥 |
R-11-15 |
89 |
381 |
2362 |
내벽 |
단열재와 그 위에 설치될 벽덮개 사이에 19mm(3/4”)의 공간이 남도록 하여야 한다
단열재의 종이날개는 25~50cm(10”~20”)간격으로 꺽쇠를 박아서 고정
벽체 내측에 부착하는 OSB 역시 구조재를 보강하기 위한 것임에도 일부 업자들은 OSB 대신에 석고보드 두 겹을 부착하는 업자도 있는데 석고보드는 열 겹을 붙여도 구조재를 보강할 휨강도나 응력이 없는 부실공사이며 반드시 OSB 위에 석고보드 또는 원목내장공사를 해야 한다
목조주택 내부공사는 반드시 벽체 내부에 OSB 부착하고 그 위에 석고보드 또는 원목 인테리어를 해야 하고 화장실은 방수석고보드 또는 시멘트보드를 사용해야 한다. 실제로 내가 공사한 목조주택은 화장실 내부는 시멘트보드 9mm를 부착 후 타일공사를 했다
마루는 받침기둥(동바리) 위에 구조부재를 격자방향으로 설치하여 마루판재를 덮어 시공한 것이다. 경량목조주택에서는 건축물의 길이방향으로 한옥에서는 그 반대방향으로 시공한다
시공순서
- 먼저 테크 설치할 범위를 지정하고 난간기둥의 위치를 표시하고 주춧돌을 설치하거나 또는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한다
- 콘크리트 위에 난간기둥을 설치해도 기둥하단에 습기 접촉을 줄이기 위해 보도블럭 또는 주춧돌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 데크마루 높이는 현관바닥 높이와 같거나 50mm 이상 낮게 설정하고 벽체에다 마루돌림대를 데크제 장선목재와 같은 목재를 스크류볼트 또는 안카볼트로 고정한다. 이때 마루돌림과 장선목재는 테두리 목재 상단에서 마루판 두께만큼 낮게 설치한다
- 데크난간 기둥은 동바리높이와 마루바닥판 위에서 1200mm가 되도록 계산해서 세우고 테두리각재를 마루판 상단높이와 같이 설치한다
- 장선목재를 건물의 단변방향으로 설치하고 멍에각재를 장선목재에 매어달고 동바리는 멍에 높이에 맞추어 절단한 후 단단히 받친다
- 데크재료는 방부목 마루판은 120*3600*21mm를 주로 사용하며, 테두리는 2*8, 장선은 2*6를 많이 사용하며, 난간 기둥은 4*4, 난간봉은 2*2, 난간 손잡이는 2*6를 사용하며, 난간의 높이는 1200mm, 난간봉 간격은 150mm 이내이어야 한다.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디도록 할 것(이하 건축법)
동바리와 난간 기둥이 일체화가 되지 않으면 난간 기둥은 2~3년 지나면 비틀림과 흔들림으로 망가진다
- 데크마루판 시공
마루귀틀은 레일건 또는 망치로 아연못을 박아 시공한다. 일반못을 사용
하면 녹이 슬어 목재에 녹물이 벌겋게 묻어 낭패를 볼 수 있다
마루판 시공은 아연피스(나사못)로 시공하되 마루판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두번째 골에 박는다. 나사못은 일직선이 되어야 하고 마루판은
짧을 경우 이음매가 어긋나게 해야 한다
- 2m 이상 넓은 데크마루 시공
데크설치할 범위와 높이를 설정하고 동바리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난간기둥과 테두리를 먼저 설치하고 마루 돌림을 테두리 높이에서 마루판 두께를 뺀 높이에 설치하고 마루돌림과 같은 높이로 장선을 설치한다
설치된 장선에 멍에를 90cm 간격으로 달아매고 동바리를 90cm 간격으로 설치한다
기초바닥의 크기는 건축물 외부 마감재보다 10~20mm 작거나 같아야 한다
기초 바닥판이 건축물 마감재보다 크면 안 되는 이유
- 단열재 위 와이어메쉬(온수파이프 고정용)를 깔고 온수파이프를 200mm 간격으로 배치하고 온수파이프 상단에 두께 24mm 시멘트몰탈 시공으로 이루어졌다
- 단열재는 비드법스티로폼, 압출법스티로폼, 질석단열재, 기포콘크리트 등이 있으나 모두가 다공질로 흡수율이 강한 제품들이다
- 기초 바닥이 벽체 마감재보다 크게 되면 빗물은 수직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각선 방향에서 기초바닥과 벽체 틈새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다공질인 단열재는 수분을 급격하게 흡수하여 포화상태가 된다
- 단열재에 흡수된 수분은 빠져 나갈 길이 없어 방바닥 장판 밑으로 올라오게 되어 장판 밑에 물이 고이고 벽지하단부는 곰팡이가 발생하고 세균 번식장이 된다
기초바닥이 벽체보다 큰 경우 방습조치
- 콘크리트 구조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시 지수판을 매립하여 기초판과 벽체 사이 방수조치가 필요하다
- 샌드위치 판넬 구조는 철판으로 베이스 찬넬을 절곡하여 바닥에 시공 후 그 위에 유바시공을 하고 샌드위치 판넬 벽체를 세운다
- 목구조 역시 샌드위치 판넬구조와 같은 방식으로 방습 방수조치를 해야 한다
- 모든 건축물 구조체와 기초 바닥판은 벽체 마감재보다 크게 되면 돈으로 막아야 한다는 소리다
지수판: 콘크리트 구조에서 지하실 바닥과 벽체의 이음부에 방수처리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이나 단독주택에서 기초바닥이 벽체 마감재보다 큰 경우 방습 방수조치로 필수적이다
제12 목공 인테리어
합판 및 MDF 규격
- 3*6 합판
910mm*1820mm*5mm, 7.5mm, 8.5mm, 12mm, 15mm
- 4*8 합판
1220mm*2440mm*3mm, 4.5mm, 7.5mm, 8.5mm, 12mm, 15mm, 18mm 등
목재는 시공 후 뒤틀림이나 갈라짐이 없도록 구조재와 완전 고정하여야 한다
합목을 할 경우는 나비촉 맞춤 방법으로 하며, 나비촉 맞춤의 개소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르고 추후 뒤틀림, 갈라짐, 휨 등의 변형이 없어야 한다
마감면의 모든 구멍과 균열은 원목 조각으로 채워서 결 방향으로 가볍게 마감처리 한다
방부처리: 외부 노출 부위는 특기가 없는 한 다음에 대하여 방부처리를 하여야 한다
- 구조내력상 주요 부분에 사용되는 목재로서 콘크리트, 벽돌, 돌 등 기타 이와 비슷한 포수성 재질에 접하는 부분
- 목조의 받침기둥을 구성하는 부재의 모든 면
- 급배수 시설에 근접한 목부로써 감독원이 지시하는 부분
- 습기 차기 쉬운 몰탈 바름, 라스붙임 등의 바탕으로서 감독원이 지시하는 부분
인테리어용 내장 각재는 라왕, 소송, 미송을 주로 사용하며 각재의 크기는 30*30 각재를 사용
인테리어용 목재는 서울 강남지역은 라왕각재를 사용하고 수도권은 소송각재를 많이 쓰고 기타지역은 미송각재를 많이 쓴다
라왕: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산출되는데 백나왕, 적나왕 등 여러 종류가 있음. 강도는 높지 않고 균질이다. 가공, 세공하기 쉬우므로 기구, 가구, 건축용재 등으로 쓰이며 가격대가 미송의 2배 정도 된다
소송: 러시아산 소나무로 미송보다 백색이며 변형이 적고 가벼우며 목질이 부드러워 내장 공사 각재로 많이 쓰며 미송보다 좀 비싸다
미송: 북아메리카산 소나무로 소송보다 무겁고 옹이가 많고 변형이 잘 되나 가격대가 비싸지 않아 우리나라 남부지방 공사업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석고보드 두 겹은 주로 마감면이 도장마감인 경우다
석고보드 한 겹은 주로 도배마감하는 단독주택 등에 적용
석고보드나 7.5mm미만 합판: 422타카 시공, 타카핀 간격은 50mm이내
벽체틀 제작
- 5mm 합판과 30*30 각재로 벽체 두께를 고려한 부재를 제작한 후 벽틀을 제작 설치한다
- 좌우방향 휨현상을 방지하고 정밀시공이 요구될 때 사용한다
콘크리트 슬라브 하부에 달대받이 30*30 각재를 벽에서 30~40cm 떨어져 콘크리트 타카로 고정하고 그 다음 달대받이는 90cm 간격으로 부착한다
5mm 합판 위 석고보드, 석고보드 2겹, 석고보드 1겹 시공 방법이 있다
벽체시공 석고보드는 주로 3*8(900mm*2400mm)으로 시공하고 천장은 3*6(900mm*1800mm) 석고보드로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천장 높이는 아파트, 빌라는 2,350mm, 단독주택은 2,500mm, 학교 및 사무실은 2,500~2,600mm, 무대장치 위는 4,000mm으로 한다
마루의 표면재 부착은 12mm 이상 내수합판 1겹 시공 후 후로링 마루판 부착 방법과 12mm 내수합판 격자로 2겹 시공 후 테코타일 마감 등이 있다
목공인테리어 적산
가벽 재료수량
- 가벽 1m²당 각재 6m, 판재(석고보드, 합판) 1m², 소요 할증률 각재 10% 판재 20% 적용
- 천장 1m²당 각재 6m, 판재(석고보드, 합판) 1m², 소요 할증률 각재 10% 판재 20% 적용
- 칸막이 1m²당 각재 5m, 판재(석고보드, 합판) 1m², 소요 할증률 각재 10% 판재 20% 적용
- 가벽 1m²당 각재 10m, 판재 1m², 소요 할증률 각재 10% 판재 15% 적용
일반적으로 목공사 견적은 재료비:노무비를 1:1로 보면 된다. 이렇게 적용하면 목공사 재료비 노무비 경비(식대, 장비대) 포함된 금액이 된다
창호기호에 의한 재질
창호기호 |
재질 |
창호기호 |
재질 |
WW |
목재창 |
WD |
목재 도어 |
AW |
알미늄 창 |
AD |
알미늄 도어 |
SSW |
스텐레스 창 |
SSD |
스텐레스 문 |
SW |
철재 창 |
SD |
철재 도어 |
PW |
합성수지 창 |
PD |
합성수지 도어 |
문을 달 때 문 하단에 500원 동전 하나를 올려놓고 문을 달면 정확히 맞는다
경첩의 위치는 문 상부에서 150mm 이격시키고 경첩을 설치하고 이격거리 150mm 두고 경첩 설치하고 문 하단에서 150mm 이격시키고 경첩을 설치한다
건축모공의 완성도 확인 및 허용오차
- 목구재 부재의 길이: ±1.5mm 이내
- 부재의 맞춤: ±0.01mm 이내
- 단위 면적: ±2mm² 이내
- 수직 수평 상태: 1m에 1mm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