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목조주택시공실무

[도서] 목조주택시공실무

최현기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현장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게 쓰여져 있다

못 박기와 지붕 공사에 대해 다시 자세히 봐야겠다

본문 요약

서  문

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뛰어난 전문가들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현장을 알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책이라는 것을 통해 공개해 공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공구

보안경(Goggle) 나무를 자르거나 합판을 자를 때는 매우 높은 집중력을 필요로하는데, 톱밥이나 이물질이 눈에 들어가면 순간적으로 당황하여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하는 것을 생활화해야 한다

겨울철 하의는 활동하기 편안하며 체온을 보호해 주는 스키복바지가 좋다

윗쪽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는 물건을 던지거나 내려놓으려고 할 때 반드시 큰소리를 질러서 아래쪽에 있는 사람에게 알린 후 낼 놓는다

목조주택용 망치는 595.35g정도의 무게가 좋다

목조주택용 계산기 www.masterbuilder.co.kr에서 무료 다운로드

Miter saw로 목재를 짧게 잘라야 할 때는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마이터 쏘 바닥 틈새에 새끼와 약지손가락을 끼워 넣고 엄지와 검지는 나무토막을 가볍게 잡고 자른다. 이렇게 틈새에 손가락을 끼워 넣는 이유는 목재가 톱날에 물려 튕겨나갈 때 목재를 잡고 있던 손가락이 누루는 힘에 밀려 톱날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Skil saw로 목재를 자를 때는 거의 다 자를 때쯤 잘려나간 목재가 아래로 쳐지면서 톱날에 물려 순간적으로 톱날이 뒤로 밀려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자칮 잘못하면 다리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엇보다 자세가 중요하다. 구조재를 자를 때는 톱날이 있는 쪽의 오른발을 한 걸음 뒤로 하고 올린 다음 왼손으로 목재를 잡고 눌러준다. 그 다음에 목재를 받치고 있는 왼발의 앞꿈치부분을 들어올려 지면에 닿지 않게 올려 주면 자를 준비는 모두 된 것이다.. 이제 스틸 쏘를 작동시키는데 스킬 쏘의 스위치를 당겨 공회전을 먼저 시키고, 서서히 목재에 가까이 대면서 자른다. 이때 스킬 쏘는 힘으로 밀면서 자르는 것이 아니고 들고 있는 스킬 쏘를 서서히 아래로 내려주면서 내려오는 힘으로 자르는 것이다. 목재가 잘려나간 후에 스위치의 작동을 멈추고 톱날의 회전이 모두 멈춘 후 자세를 풀어야 한다

자재

Visually graded lumber

  1. 경량골조용(Light Framing)

Const(Construction)과 Stand(Standard $ better), Util(Utility) 3가지

수직부재로만 사용 가능

  1. 구조 경량골조용(Structural Light Framing)

최상급 SEL STR(SELECT STRUCTURAL), No.1, No.2, No.3

2*6는 없다

  1. STUD

10피트 미만으로만 사용

  1. 구조 수평부재용(Structural Joist & Plank)

최상급 SEL STR(SELECT STRUCTURAL), No.1, No.2, No.3

2*4는 없다

바닥장선이나 서까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부재

Machine stress-rated graded lumber)

경량골조용(플레이트,스터드에 사용)

2*2 ~ 4*4

구조수평부재용(장선,서까래,헤더에 사용)

2*5 ~ 4*18

CONST(CONSTRUCTION)

SEL STR

(SELECT STRUCTURAL)

NO.1

STAND

 

(STANDARD & BETTER)

UTIL(UTILITY) ? 스터드 사용불가

NO.2

STUD(STUD)

NO.3

방부목

수용성 방부제 C.C.A(Chromated Copper Arsenate:크롬화비산동)라는 약품처리를 한 방부목을 가장 많이 사용해왔으나 C.C.A에도 약간의 독성이 함유되어 있어 이보다 독성이 없는 것은 A.C.Q(사기암모늄동)의 방부제를 사용한 방부목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Above Ground : 방부목을 지표면 위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

Ground Contact : 방부목이 지표면에 닿는 경우에 사용

Permanent Wood Foundation : 방부목을 지표면 속에 묻는 경우 사용

O.S.B (Oriented Strand Board)

1/2인치 두께를 가진 합판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과 지붕에 많이 사용하며, 3/4인치(T&G) 합판은 바닥합판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CDX합판(Plywood)

CDX라 함은 단판으로 되어 있는 단판 C등급과 D등급을 앞면과 뒷면에 외부용 접착제(X:엑스)로 접착시켜 만든 합판이다. 외장형으로 가능

EXTERIOR : 외부 또는 수분에 영구적으로 노출 가능한 등급(영구적 외부용)

           [O.S.B에는 EXTERIOR 등급은 없다

공학용 목재

글루램(Glulam)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고, 동시에 미적인 부분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I-Joist

아이 조이스트에 구멍을 뚫을 때는 가급적이면 아이 조이스트의 중앙선 부근에 구멍을 뚫는 것이 좋으며 벽체와 인접한 부분에 구멍을 뚫을 때는 아이 조이스트의 규격에 따라 다른데 이것은 아이 조이스트 표를 참고로 확인해 보도록 하자

구멍은 4각으로 구멍을 뚫기 보다는 원형으로 뚫는 것이 좋다. 4각인 경우에는 원형과 달리 정확하게 구멍을 뚫어야 한며, 구멍을 뚫으면서 톱날이 기준치 이상을 잘라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LVL (Laminated Veneer Lumber)

LVL은 단판을 적층시켜 접착하여 만든 것으로 글루램(Glulam)이 가로로 적층을 시킨 것과는 반대로 LVL은 세로로 접착시켜 만들어졌다. LVL과 글루램은 12%의 함수율 조건으로 만들어져 함수율이 고른 평형상태로 유지되며, 치수의 변화가 거의 없을 만큼 최소화되어 만들어진다.

경간거리가 길어야 하는 상가나 커다란 구조물이 많은 곳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제재목에 비해 휘어지거나 틀어짐 등의 변형이 적어 글루렘과 함께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8d와 16d이다. 8d는 주로 합판을 박는데 많이 사용하며, 16d는 구조재를 박는데 주로 사용한다

무도금(Bright) : 도금을 하지 않음

전기아연도금( Electro Galvanized, EG) : 못 표면이 균일한 것에 비해 도금두께가 얇다.(비가 많이 오고 염분의 농도가 높은 해안지역에는 적절치 않음)

기계아연도금(Mechanical Galvanized, MG) : 전기아연도금보다 도금두께에 의한 편차가 적고 못 표면이 균일하다

용융아연도금(Hot Dip Galvanized, HDG) : 도금두께가 가장 두꺼우나 표면이 거칠고 두께편차가 있다

못박기 방식

경사 못박기(Toe Nailing) : 끝면 못박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데 경사못박기는 끝면 못박기에 비해 그 힘이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즉 끝면 못박기로 2개의 못을 박았다면 경사못박기는 4개의 못을 박아주어야 같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점쇄선은 경계선을 나타낸다. 대지경계, 동경계, 읍면경계 등

D100@300: 지름 10mm 철근이 중심과 중심간격이 300mm로 일정하게 배치

Φ30@300: 지름 30mm인 파이프의 중심과 중심간격이 300mm로 일정하게 배치

콘크리트 기초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겨울에 땅이 어는 지역이므로각 지역에 해당되는 동결선을 반드시 지켜 동결선 밑으로 최소 1피트(12인치) 이상의 지점에 기초판이 놓이도록 시공한다

내부 내력벽에 대한 독립기초 허용범위 : 독립기초의 폭과 길이는 표의 기초판 폭의 두 배이고, 독립기초와 독립기초의 간격은 최대 6피트 이내로 한다

고정볼트는 토대(Mud sill) 끝에서 12인치 이내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외벽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위에 얹혀질 플레이트가 서로 교차되는 것을 감안하면 외벽인 경우 2*4,가 놓여질 때는 7~12인치 이내에 설치 되어야 하고, 2*6 벽체가 놓여지는 경우에는 11~12인치 이내에 설치하는 것이 토대를 기초 위에 오려 레이아웃을 할 때 볼트가 걸리지 않아 좋다

레이아웃

Layout을 하기 전에 콘크리트 기초를 깨끗이 청소한 다음 레이아웃을 시작

레이아웃이 끝난 뒤 비가 온다면

  1. 라인 교차점에 연필로 진하게 긋는다

투명래커를 라인 교차지점에 뿌린다 시공계획서에서의 공사순서

외벽

스터드 간격 표시

16인치 간격으로 표시하는 방법에서 시작은 15 1/4인치로 하고, 다음은 16인치간격으로 한다 (이유: 4피트 또는 8피트의 합판 끝선이 스터드 중앙에 걸리게 하지 위해서이다)

개구부의 크리가 6피트 이상인 경우에는  Trimmer를 각각 2개씩 보강하고, 개구부가 10피트 이상인 경우에는 트리머를 각각 3개씩 보강해 준다

Trimmer를 만들 때 못은 16d의 못을 사용하여 16~20인치 간격으로 못을 박고트리머의 아래쪽에서 6인치를 띄우고 못을 박는다. 이것은 마감작업시 몰딩이나 걸레받이를 설치할 때 못이 박혀 있으면, 마감못이 박히지 않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Top plate와 Double top plate)의 연결이음매는 스터드 위에서 만나 이어져야 하며, 끊어진 이음매의 간격은 최소 4’이상 되어야 한다

4’이하의 간격으로 이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헤더 위쪽에서 만나 이어지는 것은 간격과 무관하다

벽체가 만나는 코너에 못을 박을 때는 맨 아래 부분부터 못을 박는다

내벽

외벽과 내벽은 실을 이용해 벽체의 휘어진 부분을 찾아낸다

구멍뚫기 규정을 지켜 구멍을 뚫은 다음에는 네일 스톱 플레이트(Nail stop plate)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내부에 있는 전기선을 외부의 못 등으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함

 

임시지지대 설치 방법

  1. 헤더 부분에 임시목 설치
  2. 이중윗깔도리와 윗깔도리 부분에 먼저 못을 박고 벽체 수평을 정확하게 맞춘 다음 밑깔도리에 목을 박는다

바닥장선

욕실변기는 변기를 기준으로 옆 벽체에서 16인치, 뒤쪽 벽체마감에서는 12 1/2인치에 직경 4인치 배관이 놓여지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위치에서 바닥장선이 놓여지지 않도록 장선의 간격이 최대 간격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장선이 옮겨져야 한다. 시공자는 반드시 이것을 사전에 점검해야 하고, 설계자 또는 건축주 사전에 변기치수와 위치에 대해 재확인되어야 한다

욕조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간견을 좁히거나 장선을 이중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사용

장선을 3등분한 중앙부분은 구멍을 뚫거나 파내서는 절대 안 되며, 그 외에 장선의 끝부분에서도 1/3이내에서만 파냄 또는 구멍뚫기 작업이 이우러져야 한다. 장선의 홈을 파내는 것은 장선두께의 1/6을 초과해서는 안 되고 폭은 1/3을 넘어서는 안된다

1층과 2층의 벽체간에는 벽체 방향과 위치를 고려하여 구조계산을 해야 하는데 구조계산이 필요없이 설치 가능한 경우가 있다.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장선을 바닥에 설치할 때는 휘어져 굽은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장선의 길이가 짧아 한 번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중간벽체 위에서 연결되어 설치 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장선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Lap Joist인 경우 벽체 위에서 최소 3인치 이상 겹쳐져야 한다.

Lap Joist가 설치된 벽체는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이 되며 장선과 장선 사이에는 보막이(Blocking)룰 반드시 설치한다

합판을 바닥에 깔 때 합판이 시작하는 바깥벽 쪽의 면은 Tongue이 되도록 하고,안쪽면으로는 Groove가 향하도록 설치한다

바닥합판은 같은 이음매가 만나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바닥합판의 못 간격은 벽체를 만들 때 합판의 못 간격과 동일하게 합판의 바깥쪽은 최대 6인치 간격으로 하고, 합판의 안쪽은 최대 12인치 간격 이내로 못을 박는다. 이 때 사용되는 못은 8d 꽈배기 못을 사용한다

계단

Headroom: 디딤판(Tread)과 챌판(Rise)이 만나는 모서리 끝에서부터 천장 아래까지의 수직공간 높이(6’-8”이상)

계단은 Run은 10인치 이상, Rise는 7 3/4인치 이하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실로 내려가는 계단의 문은 지하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열리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지하에서 올라오는 사람과 위에서 내려오는 사람이 문을 사이에 두고 동시에 밀고 당기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 지하에서 올라오는 사람이 밀려 위험할 수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하실의 랜딩은 최소 2피트 6인치 이상의 길이를 확보해야만 안전하게 계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계단의 핸드레일 높이는 계단의 경사진 곳에서 수직으로 34~38인치 사이에 설치해야 한다

천장장선

가급적이면 외벽의 스터드 위에 지부서까래와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것이 좋으며,천장장선이 서까래 옆에 접합되어 서까래와 삼각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 좋다

Raffer 위로 나온 Joist는 Framing square를 이용해 경사각에 맞추어 잘라낸다

박공지붕

경사지붕의 경우에 지붕의 경사각은 12:3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보다 낮은 경사각인 경우에는 지붕구조재의 선별을 위한 하중계산에서도 12:3이하의 지붕경사는 장선으로 구분하여 구조계산을 하고 있다

지붕의 경사 12:8(33.69도)까지는 지붕작업을 하면서 서서 이동이 가능하지만 그이상의 경사에서는 이동이 불가하므로 작업자는 지붕경사와 난이도를 고려해 공사기간을 예측해야 한다

마룻대의 규격은 서까래 치수보다 한 치수 위의 치수를 사용하며 마룻대 폭이 서까래의 잘라낸 경사길이와 같거나 길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지붕에서의 하중에 의해 서까래가 결방향으로 갈라지거나 쪼개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오버행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창문 위에 마감재를 설치할 자리가 나오지 않는다.기본적으로 창문 위에 설치될 Moulding의 두께와 Soffit의 두께를 더한 길이 이상이 나와야만 처마마감 처리가 가능해진다

벽체 위에 버드마우스가 얹혀질 수 있는 최소길이는 2인치 이상이여야 하고, 버드 마우스를 너무 많이 잘라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HAP의 길이가 좁아지게 되는데 HAP가 허용하는 최소길이는 2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버드마우스와 걸침턱 길이를 벽체두께와 똑같이 해야 한다. 그 이유는 서까래의안쪽 면에 석고보드 마감 작업시 매끄럽지 못하다

칼라타이는 풍압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지붕높이의 위에서부터 1/3지점에 위치해 설치한다

지붕 천장에 합판을 설치할 때 합판 사이에는 합판 클립을 끼운다. 이것은 계절과 날씨 변화에 의한 합판의 수축팽창을 고려해 1/8인치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지붕합판 끝과 Fascia와 만나는 부분에는 지붕마감공사를 하기 전에 Flashing 처리를 해야 한다

지붕 맨 위 마룻대(Ridge) 지점에서 10피트 이내에 굴뚝이 있는 경우에는 마룻대 지점에서 최소 2피트 이상의 높이로 굴뚝을 높여주어야 하며, 이때 굴뚝의 높이는 최소 3피트 이상이어야 한다

지붕 맨 위 마룻대 지점에서 10피트가 넘는 지점에 굴뚝이 있는 경우에는 굴뚝과 지붕경사가 만나는 윗 지점에서 마룻대 방향으로 10피트를 수평으로 이동한 지점에서 위로 최소 2피트 이상 올라간 높이가 굴뚝높이가 되어야 한다. 이때 굴뚝의 높이는 최소 3피트 이상이어야 한다

굴뚝 작업시 꿀뚝 뒤에는 빗물이나 눈이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해 반드시 크리켓(Cricket)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크기와 상관없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모임지붕

불규칙 모임지붕은 지붕공사 중 가장 난이도가 높다고 해고 과하지 않을 정도로 어렵다

불규칙 모임지붕은 서로 다른 지붕경사가 만나 같은 처마길이를 갖기 위해 힙서까래의 위치가 바뀌고 많은 벽체가 만들어지면서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므로 정확한 작업을 위해 신중을 가해야 한다

도머(DORMER)

도머의 종류 SHED DORMER, 박공 도머, 모임 도머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머 지붕은 메인 지붕보다 건물 폭이 같거나 좁은 것이 좋다

메인 지붕과 도머 지붕의 경사는 같은 것이 좋다. 메인 지붕의 서까래 부재크기와 도머의 서까래 부재크기는 같아야 하, 다를 때에는 지붕 합판면이나 내부의 실내 석고보드면 어느 한 쪽의 마감이 매끄럽지 않다

Valley Rafter: 골서까래, 지붕골을 따라 만나게 되는 벽체와 마룻대를 있는 서까래

베이창

창문을 넣기 전에 창문의 아래를 받칠 프레임을 만든 수 창문을 끼워 넣고 고정시킨다. 이렇게 창문을 끼워 넣은 다음 창문의 위쪽에 서까래를 설치한다

현관문과 창문

바닥 Sill부분 중에서도 Hinge가 있는 부분쪽의 바닥 Sill을 반대쪽보다 높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맨 아래 힌지부터 고정을 시킨다

슬라이더 창은 창문을 열고 닫으며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다른 창문에 비해 밀폐가 덜 된다는 단점이 있다

Low-E-Glass: 두 개의 유리 속에 외부 방향면에 보이지 않는 금속성의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여름에는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내부의 열을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코팅 시스템이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