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

[도서] 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

홍원표,고옥 등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2006년 한나 아렌트 탄생 100년을 기념하여 학자들이 모였다. 그리고 다양한 생각을 나누고, 한 권의 책이 탄생했다. 여러 시각으로 접근한 한나 아렌트 연구들. 읽는 동안 구체적인 텍스트의 내용보다, 한 사람을 향한 많은 열정들이 더 마음에 닿았다. 많은 사람들이 한나 아렌트에게 가지는 관심과 애정. 덕분에 그녀가 궁금해졌다.  


한나 아렌트를 알게 된 것은 유대인이었던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를 내놓으며 유대인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이 너무나 유명했기때문이다. 그 유명세 덕에 그녀의 이름과 한 권의 책을 귀동냥으로 들었을 뿐, 한나 아렌트가 정치철학자였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알았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녀가 다양한 시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느꼈다. 


유대인이지만 유대인 편에 서지 않았기에 유대인으로부터 소외되었고, 정치철학자였으나 베버처럼 직접 정치를 하며 생각을 펼칠 수 없었기에 정치에서 소외되었고, 여성이지만 여성 노동력에 대하여 남성적인 사고를 한다는 비판으로 페미니스트로부터 소외당했다. 비전공자의 지성으로 꼼꼼히 텍스트를 읽기가 쉽지 않아 완독을 하지 못하였음에도, 그녀의 '소외'가 보여 안쓰러웠다. 


시간이 지나도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계속 읽히는 것을 두고 그것은 시간이 지나 계속해서 다른 해석이 가능하기때문이라는 말을 해주신 분이 계셨다. 한 학자를 두고 이렇게 다양한 시각의 접근이 가능한 것도 그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문득, 한 사람의 사상을 이해하려는 연구들. 그것은 그녀가 난해한 학문을 연구한 학자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렵고도 수고스러운 일인가. 어려운 책을 앞에 두고 다소 시시하지만 꽤 근사한 영감을 얻은 것 같아 기분 좋은 독서였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