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사라진 소녀들의 숲

[도서] 사라진 소녀들의 숲

허주은 저/유혜인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이 책을 쓴 작가는 고려 시대 이곡이라는 학자가 공녀 제도에 대해 쓴 편지에서 소재를 얻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공녀는 고려 시대와 조선시대에 원나라와 명나라로 공물로 바쳐졌던 여성들이다. 공물로 요구하는 인원수에 맞춰 강제로 끌려갔다. 끌려가지 않기 위해 조혼이 성행했고 숨기는 일도 많았다.

소설의 모티브가 공녀이다 보니 사라진 소녀들 역시 공녀로 징발되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읽게 되었다.

 


 

 

제주도에서 관에서 일하던 아버지가 서울로 자리를 옮기며 환이는 아버지와 함께 한양으로 이사를 하고 동생인 매월이는 제주도 노경심방의 집에 맡겨진다.

어느 날 계집아이 열세 명이 사라진 사건을 수사한다며 제주도로 떠난 아버지가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다. 친분이 있는 기 대장과 주변 사람들은 아버지가 죽었을 거라며 수사를 종결시켜버린다.

그런 환이에게 복선이라는 여자가 심하게 타버린 아버지의 일지를 보내온다. 일지를 보고 아버지를 찾아 제주도로 향하게 된다.

 

 

 

제주에 도착하여 노경심방의 집에 기거하고 있는 매월을 만나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다니며 그동안 마음속에 숨겨놓은 섭섭함과 오해를 풀며 사건에 한 걸음 더 다가간다.

사건에 연루되어 보이는 인물들이 계속 눈에 띄지만 증거가 부족하여 범인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죽을 고비도 넘겨가며 진실을 확인하게 된다.

 

현모양처로 혼인하여 지아비를 따라야 하는 삶을 살아가야만 했던 여성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안타깝기도 했지만 제주목사나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이들 모두 방관자의 자세를 취할 때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에서 희열을 느꼈다.

 

 

사건의 끝에 다가섰을 때 사라진 소녀들의 비밀은 시대에 흐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벌어진 사건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추악했다. 그 소녀들에게는 대체 무슨 죄가 있다고 그런 가혹한 현실을 겪게 하는지 묻고 싶어졌다. 나라의 힘없음이 권력층이 자신들의 밥그릇만을 지키기 위해 백성을 위해 나서는 일이 결코 없는 그들만의 세상이었다.

 

 


 

 

나는 너희 둘 다 사랑했단다.

처음부터 그랬어.

너희가 태어나기 전부터.

부디 서로를 아껴다오

 

 

사건은 포기하지 않았던 환이와 매월이 자매로 인해 밝혀졌다. 그리고 아버지의 바람대로 둘은 제주도에서 새로 시작하게 된다. 또다시 서러움을 겪게 되는 일이 생기더라도 자매의 우애는 끝까지 함께 하기를 바라본다.

 

 

사건이 전개되는 중에 대체 범인이 누구일지 의심하며 짐작해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중간에 커다란 힌트가 있었음에도 범인은 맞추지 못했지만 사건이 무사히 해결되어 다행이었다.

열세 명의 소녀들이 모두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 역시 간절했다.

 

'공녀'라는 소재로 이렇게 흥미롭게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알게 되었다. 아울러 여성들이 수모를 겪게 되는 일은 없기를 바라본다.

 

 

**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