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시절일기

[도서] 시절일기

김연수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시절일기>는 작가가 십년에 넘는 기간 동안

쓴 일기기 묶여 있는 에세이다. 

10년이란 시절의 일기를 관통하는 것은

'죽음'이라는 키워드다. 

특히 2014년 4월 이후에 쓴 작가의 일기에는

죽음과 타인의 고통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에 천착하는 작가의 모습이 보인다.


 2014. 6. 28

이십 년도 더 넘게 소설을 쓰면서, 

나는 타인의 죽음을 이해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들어가도 되냐고 묻고 또 물어도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건,

그 누구도 타인의 죽은음커녕 손가락 끝으로 파고든 가시만큼의 고통 속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진실 뿐이다. 타인의 고통과 그의 죽음은 그통한 견고한 것이라

결코 이해되지 않은 채로 우리 마음속에 영영 남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건 분명히 괴로운 일이리라. 누군가,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죽음을

가슴에 묻고 살아가야 한다면 말이다. 그럼에도 남은 삶은 계속된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세월호' 참사는 작가를 절망케했지만, 작가는 그럼에도

글을 계속 써서 견뎌야 한다고 답을 낸 것 같다.


p.94 (2015. 4.15)


어둠 속에서 우리는 어둠만을 볼 뿐이다.

그게 바로 인간의 슬픔과 절망이다.

어둠 속에 있는 사람이 이 세계를 다르게 보려면 빛이 필요하다.

슬픔에 잠긴 마리아 막달레나와 절망에 빠진 두 자제가 처음에

부활한 예수를 알아보지 못한 건, 그래서 당연하다. 그 상황에서

예수를 알아본다는 건 빌을 알아본다는 뜻이고, 이 세계를 다르게 바라보는

방법을 배운다는 뜻이다. 어떻게 하면 슬픔과 절망에서 벗어나 이 세계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다만 하룻밤 자고 일어났더니

온 동네 꽃들이 모두 피어나던, 내 고향의 부활절 풍경이 그런 새로운 빛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짐작만 할 뿐.


이 책은 어둠이 깊은 시절,

문학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에 대한

작가의 깊은 물음이 담겨있는 에세이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