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남자 vs 남자

[도서] 남자 vs 남자

정혜신 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이 책은 직장의 독서 동아리를 통해 읽게 되었다. '정혜신의 심리평전'이라는 부제가 무겁게 와 닿았고, 직장의 독서 동아리에서 선정한 책이니 부담스러운 내용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의외로 가벼운 마음으로 흥미 있게 책장을 넘길 수 있었다.

이 책은 21명의 인물(남자)들을 비교하는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그 비교 대상이 예상을 뛰어 넘는 파격이었다. 예를 들어서 '김대중VS김영삼'이나 '박정희VS장준하' 같은 식으로 비교를 했다면 쉽게 수긍을 했을 것이다. 김대중과 김영삼은 한때 민주화 투쟁의 동지였지만 3당합당을 계기로 해서 다른 길을 걸었다. 또, 박정희와 장준하는 한 사람은 일제강점기 때 만주군 장교로 친일의 길을 선택했고, 다른 사람은 학병을 탈출한 뒤 광복군에서 활동했다. 같은 시대를 살아가면서 어떻게 처신했는가를 비교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나 이 책에서는 '김영삼VS김어준, 이건희VS조영남, 장세동VS전유성, 이수성VS강준만, 박종웅VS유시민, 김윤환VS김윤식, 봉두완VS이외수, 정형근VS마광수, 김우중VS정동영, 김종필VS앙드레김, 이회창VS이회창'으로 대비시켜서 분석하고 있다. 삼성그룹의 총수인 사업가 이건희와 대중가수 조영남이 어떻게 비교가 되고, 보수 정치가 정형근과 대학교수이자 소설가인 마광수가 어떻게 대비가 된단 말인가? 마지막에 가서 이회창은 '이회창VS이회창'이라고 하였으니 동명이인이 있단 말인가?

그러나 저자는 독자의 예상을 뛰어 넘는 기발한 방식으로 남자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고 있다. 그의 눈에 비친 김영삼은 '내 맘대로 왕자'이고 김어준은 '니 맘대로 독재자'이다. 이건희는 '완벽하지 못한 황제'이고 조영남은 '망가지지 않는 광대'였다.

저자는 어느 누구의 편을 들지 않는다. 다만 정신과 전문의로서 대상 인물을 분석하고 비교할 뿐이다. 마치 현미경으로 뇌 속을 들여다보듯 의식의 흐름을 세세하게 파헤치면서도 글의 곳곳에서는  대상 인물은 물론 독자들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다. 그 마음은 저자의 머리말 서명에 다음과 같이 표현되었다.
'아버지와 남편과 세상의 남자들에게 이 글을 바친다.'

아직 글을 읽지 않은 분들을 위해 한 마디만 덧붙이겠다. 왜 마지막에 가서는 '이회창VS이회창'이라고 했을까? 이회창은 비교할 대상이 없었기 때문이었을까? 그에 대한 부제는 '칼의 이회창, 저울의 이회창'이다. 이회창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각이 두 가지라는 의미일 것이다. 그를 가차 없는 보복과 인간적 신의도 배신할 수 있는 칼 같이 무서운 사람으로 보는 사람도 있고, 대쪽이라는 애칭처럼 법의 엄정성과 공정성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보여주는 법의 상징같은 존재로 보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이회창의 심리를 통해 그의 양면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재미있게 읽었다. 사람을 바라보는 시각과 방법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독자들은 이 책에 소개된 21명 중에 어느 한 유형 이상에 속하지 않을까? 자신이 어떤 유형인지 스스로 분석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2

댓글쓰기
  • 이야.... 굉장히 흥미로운데요? 어떻게 전혀 접점이 없을 것 같은 사람들이 저렇게 비교가 되는지요.

    2011.07.31 14:29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목연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시각에 몇 번이나 감탄하였지요.
      의식의 저변을 예리하게 찾아낸 후
      그것을 분석하며 비교하는 능력에...

      2011.08.01 10:29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