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제 일기장에서 나눈 문답입니다.

목연샘!

그대는 11월 20일에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요?

--------------------

1948년의  오늘은 국가보안법이 통과된 날입니다.

반 세기를 넘어서 60년이 지났고, 70년을 바라보고 있는 지금도

이 법은 그 날카로운 발톱을 날름거리면서

4대강 파헤치기처럼 이 땅을 할퀴고 있습니다.

 

이 법이 없어지는 날

우리나라는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가 될 수 있겠지요.

 

◁1363  인도 승려 지공(指空) 입적하다(?∼). 8세에 중이 되었으며, 중국에서 활동하면서 1328년(고려 충숙왕 15년) 우리나라에 왔다가기도 하였다. 고려 중 혜근(慧勤)은 그에게 선종을 전수받았다.

 

◀1528  고려 문신 고형산(高荊山) 별세하다(1453∼).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 일파를 숙청하였다.

 

◀1591  조선 문신 권문해(權文海) 별세하다(1534∼). 운자에 의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20권을 저술하였다.

 

◁1602  독일 물리학자 O.게릭케 태어나다(∼1686). 진공펌프를 발명하였으며, ‘마크데부르크의 반구(半球)’ 실험으로 유명하다.

 

◁1873  프랑스 군이 하노이를 점령하다.

 

◁1894  러시아 작곡가 루빈스타인이 별세하다.

 

◀1897  독립문을 준공하다. 독립협회가 프랑스의 개선문을 모방해서 서대문구 현저동에 세운 것이다.

 

◀1905  <황성신문(皇城新聞)>, ‘是日也放聲大哭(시일야방성대곡)’으로 정간되다. 광무 9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를 반대한 <황성신문>의 사장이자 주필인 장지연은 ‘시일야 방성대곡(이날을 목놓아 우노라)’이라는 사설을 써서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전국민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이에 일본 당국은 <황성신문> 발행을 정지시켰다. <황성신문>은 광무 2년(1898) 남궁억, 나수연, 장지연 등이 주 2회 발행되던 <대한황성신문>을 인수, 이름을 바꾸어 국한문 혼용체의 일간지로 창간․발행한 신문이다. 정간된 <황성신문>은 수개월 만에 복간되었으나, 일본의 국권침탈로 한일합방이 되자 융희 4년(1910) 8월 30일 <한성신문>으로 이름을 바꿔 발행하다가 9월 14일 제3470호로 폐간되었다. 장지연은 그후 변절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랐다.

 

◁1910  러시아 작가 L.N.톨스토이 별세하다(1828∼).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대표자이다. 작품-「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등

 

◀1918  미국교민단체가 윌슨대통령에게 독립요망진정서를 제출하다.

 

◀1942  일본제국주의자가 조선징병제도실험요강을 발표하다.

 

◁1945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이 개정하다.

 

◀1947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결혼하다.

 

◀1948  국가보안법이 통과되다.

 

◁1952  이탈리아의 철학자 베네데토 크로체가 별세하다.

 

◀1954  미8군사령부가 일본으로 이동하다.

 

◀1958  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발족되다.

 

◁1961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이 서독총리 아데나워와 회담하다.

 

◁1962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이 쿠바 해안 봉쇄 해제를 선언하다.

 

◁1963  유엔총회가 인종차별철폐를 선언하다.

 

◀1966  충남선(논산-부여 24km) 기공하다.

 

◁1969  프로축구 선수 펠레가 900경기 만에 천 골을 달성하다.

 

◁1970  유엔총회가 중국 대표권 문제를 중요의제로 채택하다.

 

◀1975  대구 서문시장에 화재가 발생하여 1800여 점포가 소실되다.

 

◁1975  에스파냐의 정치가인 프랑코(1892.12.4~ ) 총통이 별세하다. 그는 장군이 되어 사관학교 교장을 지냈으나 공화제가 수립되고 좌천되었다. 모로코로 가서 반정부 쿠데타를 일으키고 세력이 커지자 국민당 정부 수반 및 군총사령관이 되었다. 이후 내란에 승리, 팔랑헤당(黨)의 1당 독재에 의한 파시즘국가를 수립하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실질적으로 독일 ·이탈리아를 지원해 국제적으로 고립되기도 하였다.

 

◀1980  정부가 공직자 재산 등록제 및 사기앙양 종합대책을 발표하다.

 

◀1982  박상은의 살해용의자로 지목되던 정재파가 대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받다.

 

◁1983  미국 ABC-텔레비전이 핵전쟁의 공포를 다룬 ‘그날이후’를 방영하다.

 

◁1985  MS윈도우 1.01리테일 버전이 출시되다.

 

◁1989  국제연합(UN) 총회에서 ‘유엔아동청소년권리조약’이 만장일치로 채택되다. 전문(前文)과 총 54개 조문으로 되어 있는 이 조약은 아동의 권리에 관하여 대단히 포괄적인 내용을 갖고 있는데, 아동권리에 국제적 보호 노력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속에서 존망의 위기마저 느낀 인류는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서의 아동을 보호하여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으며, 1924년 국제연맹 총회에서 ‘아동의 권리에 대한 제네바선언’을 채택하였다. 제네바선언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연합에 의하여 다시 검토되어 1959년 ‘아동권리선언’이 탄생하게 되었으며, 1979년 선언 20주년을 맞아 국제연합은 ‘아동권리선언’을 더욱 구체적이고 법적 구속력을 갖는 국제조약으로 발전시키자는 결의를 채택하였다. 10년 예정으로 진행된 이 작업은 마침내 1989년 11월 20일 국제연합 총회에서 ‘유엔아동청소년권리조약’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전문과 총 54개 조문으로 구성된 ‘유엔아동청소년권리조약’은 우리나라는 1991년 11월 20일 이 조약에 비준하였다.

 

◀1991  우리나라도 ‘유엔아동청소년권리조약’에 비준하다.

 

◀1991  우편물 차량배달제를 시행하다.

 

◁1991  마케토니아가 독립하다.

 

◀1994  남산 외인아파트를 철거하다.

 

◁1994  앙골라에서 19년간의 내전이 끝나다.

 

◀1997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인 처가 고향을 방문하다.

 

◀1998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방한하여 김대중 대통령과 대북정책에 대하여 논의하다.

 

◀2000  인천 국제공항을 잇는 영종대교를 개통하다.

 

◁2001  덴마크 총선에서 70여 년 만에 우파가 승리하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