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서평에 대해서 아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학창시절에 독후감은 써보았지만
서평 또는 리뷰는 써보지도 않았고 쓸 생각도 안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인터넷 서점이나 출판사에서 서평단을 모집해서
서평이라는 것을 쓰고 있고요.
하지만 서평이 무엇인지 독후감과는 어떤 차이가 모르는 상태에서
서평단에서 받은 책을 끄적거린 수준에 불과합니다.
제가 쓴 글은 서평이라기보다 그 책에 대한 생각을 쓴 잡문에 불과합니다.
조금 더 긍정적으로 본다면 독후감에 가깝고요.
그런데 새로 개편된 교과서에 서평쓰기라는 단원이 있더군요.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교재연구를 하다 보니
서평이 무엇인지 감이 잡히는 듯도 하고요.
교과서에 실린 서평 단원의 글을 여기에 소개합니다.
지학사 생활국어 3학년 1학기 146쪽
[3] 서평 쓰기
인용과 해설의 개념, 기능, 방법
서평이란 책이나 글의 내용에 대해 평가하는 글(서평의 정의)이다. 서평을 쓸 때에는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글의 내용을 전개(서평의 내용 전개 방법)한다. 인용이란 서평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알맞은 글이나 자료를 활용하는 것(인용의 정의)이다. 해설은 책의 내용이나 사건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방법(해설의 정의)이다.
⇒ (146쪽 1문단) 서평과 인용, 해설의 개념 및 특성
책이나 글을 읽은 뒤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기
독자들은 책이나 글을 읽은 뒤에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얻게 된다. 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은 읽은 내용을 내면화(정신적ㆍ심리적으로 깊이 마음속에 자리 잡힘. 또는 그렇게 되게 함./ 내면화? 좀 어려운 말이지요. 비유하여 설명하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회의 기준, 혹은 신념을 받아들이고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무신론자가 하느님이나 부처님의 진리를 받아들였을 때, 그는 신앙을 내면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독서에서 내면화란 무엇일까요? 책의 내용을 받아들이고 자기것으로 했다는 의미겠지요.)하는 2차적 읽기 활동(독서 경험의 심화 확장/ 1차적 읽기 활동이 책을 읽는 것이라면,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내면화한 뒤 자신의 생각을 서평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 2차적 읽기 활동이 되겠지요. 즉 서평을 쓰는 것은 넓은 의미로 보아서 독서 활동인 것입니다.)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읽은 뒤에 얻게 된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이고 정교하게 가다듬을 수 있다.(서평쓰기의 효과)
⇒ (146쪽 2문단) 서평 쓰기의 의의
인용과 해설의 방법으로 서평 쓰기
책이나 글의 내용을 알기 쉽게 소개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서평을 쓸 때에는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전개하는 것이 좋다. 서평을 쓰는 활동을 통해 글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의 삶과 세계를 창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서평 쓰기의 효과)
⇒ (146쪽 3문단) 인용과 해설의 방법으로 서평 쓰기의 효과
교과서 146쪽에 실린 본문 중에 핵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서평의 개념(정의, 뜻)
- 책이나 글을 읽고 그 내용을 평가하여 쓴 글.
* 서평의 특성
- 책에 대한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평가를 담아낸다.
- 글쓴이의 의견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용, 해설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 서평쓰기의 효과
- 독서 경험과 사고를 확장, 정교화할 수 있다.
-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글이나 책의 의미를 재구성, 재해석하여 내면화할 수 있다.
- 의미를 재구성하는 능력, 자신의 삶과 세계를 창의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인용과 해설
- 인용 : 알맞은 글이나 자료 등을 가져와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는데 활용하는 방법. (서평에서는 작가의 문체나 경향 등을 풀이하기 위해 책의 글을 인용하는 경우를 말함.)
- 해설 : 어떤 내용이나 사건을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하는 것. (서평에서는 책속의 인물이나 사건 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풀이하는 것을 말함.)
* 자료 출처 : 본문은 지학사(대표 저자 방민호)에서 펴낸
중학교 3학년 1학기 생활국어 146쪽이고,
내용을 풀이하거나 문단 요약 등은 참고서 또는 인터넷 등의 자료로 구성했고,
간혹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147쪽 이하는 교재연구가 되는 대로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