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운곡선생 선비정신 학생교육은 다음과 같이 이어지는 포스팅입니다.

(1~2는 네이버, 3~7은 예스24 블로그에 탑재할 예정입니다.)

 

1. 원주시 자원봉사센터  : http://blog.naver.com/yyhome53/220077937053

2. 봉선루 : http://blog.naver.com/yyhome53/220079470564

3. 운곡선생 묘역과 석경사 (1) : http://blog.yes24.com/document/7762865

   운곡선생 묘역과 석경사 (2) : http://blog.yes24.com/document/7771833

4. 각림사 터 : http://blog.yes24.com/document/7772585

5. 노구소? : http://blog.yes24.com/document/7772960

6. 노구사 : http://blog.yes24.com/document/7773086

7. 태종대 : http://blog.yes24.com/document/7773165

 

노구소를 지나서 노구소마을과 노구사를 답사한  일행은

다시 노구소까지 돌아온 뒤에 버스를 타고 마지막 답사지인 태종대로 이동했습니다.

 

태종대 앞

태종대란 지명은 부산에도 있습니다.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이 잠시 머문 것을 기념하여 세운 집이 태종대이니

태종이 머물었던 곳에는 비슷한 건축물이나 지명이 있겠지요.

이곳은 횡성군 강림면 강림2리의 태종대입니다.

 

태종대에 오른 학생들

이곳은 장소가 매우 협소합니다.

좌우에 공간이 없이 빽빽하게 들어선다고 해도

수십 명 정도밖에 오를 수 없는 곳이지요.

  

태종대

사방을 바라보면서 경치를 감상하는 전망대가 아니라

태종이 다녀간 곳이라는 것을 기념하는 의미의 집입니다.

당연히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건물 전체를 카메라에 담기가 힘들 정도로 장소가 협소했고요.

 

태종대 안내문

태종대 옆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필대

"저 글씨는 왜 현판하고 달라요?"

어느 학생이 물어보았습니다.

현판은 태종대(太宗臺)이고, 안에 있는 표석은 주필대(駐蹕臺)입니다.

서로 다른 글자이니 다를 수 밖에 없겠지요.

 

- 태종대 : 태종임금이 머물었던 장소에 지은 집.

- 주필대 : 임금의 말이 머물었던 장소에 지은 집.

 

원현식 선생님의 강의

선생님은 강의를 마친 뒤에 이곳이 마지막 답사지라면서

여기저기 돌아보면서 추억을 남기라고 권하셨습니다.

 

 

학창시절에

이곳에 왔었다는 것만으로도 좋은 추억이 되겠지요.

더구나 훌륭한 선생님으로부터 멋진 강의까지 들으면서

운곡 원천석 선생과 태종 임금 그리고 노구할미의 설화에 얽힌 현장까지 와보았으니

금상첨화의 시간으로 기억되리라고 믿습니다.

 

이제 답사를 마치고 귀가할 시간입니다.

 

태종대 주변(지도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과 약도를 함께 보면 위치를 짐작할 수 있겠지요.​

태종대는 위 약도에서 왼쪽으로 1km 정도 더 가야 합니다.

* 자료 출처 : 사진은 2014년 7월 30일의 풍경이고,

  글은 개인적인 생각을 담았습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