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김영삼 대통령께서 오늘 서거하셨습니다.

한 시대가 마감되는 것을 느끼면서

개인적인 인상을 몇 가지 적어보았습니다.

 

첫째, 대통령선거에서 가장 많은 국민의 지지를 받은 대통령

물론 산술적으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사람은 박정희 씨일 것입니다.

유신시절 체육관 선거에서는 단독으로 출마해서

90%이상의 표를 얻기도 했으니까요.

하지만 그것을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라고 믿는 이들은 거의 없겠지요.

단독 출마하여 찬반을 묻는 형식이었으니

당시 국민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또한 반대표를 찍기에는 두려운 분위기가 조성된 측면도 있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네 번 출마를 하셨지만,

늘 비슷한 사람들에게 지지를 받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호남지역이나 진보를 포함한 야권 성향의 국민에게 지지를 받았지만,

영남지역이나 보수나 여권 성향의 국민들 중에서

김대중 대통령에게 표를 던진 이들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세 번이나 출마를 하셨던 이회창 씨의 경우는

충청권 내지 여권 성향의 국민들의 지지를 받은 듯하며,

진보와 야권 성향의 국민들의 지지는 받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그밖에 윤보선, 김종필 씨 등 대선에 출마했던 분들도

대개 어느 한 진영의 지지만 받았을 것입니다.

이승만 씨의 경우는

박정희 씨와 비슷한 상황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경우는

야당 시절에는 야권과 진보 진영의 표도 받았을 것이며,

삼당합당 이후에는 여권과 보수 진영의 표를 받았을 것입니다.

현대 40대 이상의 국민들은

어떤 선거에서든 한 번 정도는

김영삼 대통령을 선택하였을 듯하고요.

그런 의미에서 대한민국에서 각종선거를 통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분은 아마도 김영삼 대통령이 아닌가 싶습니다.

 

둘째, 확실하게 역사를 바로 세운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은 집권하자마자 두 사람의 전직 대통령을

법정에 세우고 재판을 통해 응징하셨습니다.

성공한 쿠데타는 응징할 수 없다.’는 통념을 깨뜨린

우리나라의 유일한 통치자였고,

어쩌면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가 아닌가 싶습니다.

 

혹시 현실의 정치에서 실망을 넘어 좌절을 느끼는 국민이 있다면

김영삼 대통령의 발자취는 그들에게 희망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국민의 뜻을 저버린 파렴치한 독재자가 있다면

언젠가 제2의 김영삼 대통령이 등장하여

시효에 관계없이 응징하는 날이 올 것이라는…….

 

셋째, 사학비리 척결의 물고를 튼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은 집권한 이후 상지대학교 김문기 씨 등

비리 의혹이 있던 사학재단을 강력하게 응징하였습니다.

비록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이들의 집요한 방해로 인해

그것이 확고하게 자리 잡지 못하고 용두사미에 그친 감은 있지만,

사학비리를 척결한 선례를 남겼다는 것은

교육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미래의 희망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밖에 금융실명제, 하나회 해체 등 굵직한 일들도 많고,

시민혁명으로 군부정권을 응징할 절호의 챤스를

김대중대통령과의 단일화 실패로 인해 재집권을 허용했고,

외환위기를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과오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그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니 제가 언급할 일은 아니고요.

 

양김시대, 삼김시대 등이 지루한 면도 있었지만,

그 한 축이었던 김영삼 대통령의 존재가

그만큼 뚜렷했다는 반증이기도 하겠지요.

 

김영삼 대통령님!

그동안 많은 일을 하셨습니다.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죽음을 각오한 단식 등의 민주화 투쟁에 대해서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런저런 아쉬움이 있으실 지도 모르지만,

그것을 덮고도 남을 만큼 큰 족적을 남기셨으며,

90 가까이 누리셨으니 천수를 다했다고 할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 세상의 모든 일은 이제 훌훌 털어버리시고

저 세상에서 편히 쉬시기를 기원합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안녕히 가시옵소서.​

* 자료 출처 : 사진은 네이버의 추모게시판에서 가져왔으며,

  글은 개인적인 생각을 담았습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